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13-4. 십팔계(十八界)가 곧 여래장
  •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2. 이성계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2. 이성계 2-2


능엄경언해 권3:40ㄴ

二. 依境辯
〔경문〕 若生於聲인댄 識이 因聲有ㅣ라 則不關聞리니 無聞면 則亡聲相所在리라 識이 從聲야 生고 許聲의 因聞야 而有聲相인댄 聞이 應聞識리며 不聞이면 非界리라

〔경문〕 다가 소리예 딘댄 주001)
딘댄:
날진댄. 난다면. 났다면.
識이 소리 因야 잇논디라 주002)
잇논디라:
있는 것이라(서).
드로매 븓디 주003)
븓디:
붙지.
아니리니 드로미 업스면 소릿 相 잇논 주004)
잇논:
있는.
 업스리라

능엄경언해 권3:41ㄱ

이 소리 브터 나고 소리의 드로 因야 소릿 相 이쇼 주005)
이쇼:
있음을.
딘댄 주006)
-딘댄:
-할진댄. -한다면.
드로미 반기 識 드르리며 듣디 아니면 界 아니리라

〔경문〕 만일 소리에서 났다면 ‘식’이 소리를 인하여 있는 것이라〈서〉 듣는 것에 붙지 아니할(=관계가 없을) 것이니, 듣는 것이 없으면 소리의 상(=실상)이 있는 곳이 없을 것이다. ‘식’」이 소리를 의지해서 나고, 소리의 들음을 인하여 소리의 상 있음을 허〈용〉한다면 들음은 마땅히 ‘식’을 들을(=들어야 할) 것이며, 듣지 아니하면 ‘계’가 아니다.

〔주해〕 若謂識이 生於聲인댄 則識이 因境야 有ㅣ라 自不關根리니 然이나 不因根聞면 何知聲所리오 許聲因聞 謂聲의 因聞 許也ㅣ라 然이나 識이 從聲生인댄 聲이 卽識矣ㄹ 則聞이 應聞識리며 設若不聞인댄 又非界義ㄹ 皆不可也ㅣ로다

〔주해〕 다가 닐오 識이 소리예 주007)
소리예:
소리에(서).
나다 딘댄 識이 境을 因야 잇논디라 제 根애 븓디 아니리니 주008)
븓디 아니리니:
붙지(=관계하지) 아니 할 것이니.
그러나 根 因

능엄경언해 권3:41ㄴ

야 듣디 아니면 엇뎨 소릿 고 주009)
소릿 고:
소리의(=소리가) (있는) 곳을.
알리오 소리 드롬 因호 許타 샤 소리 주010)
소리:
소리의.
드롬 因호 주011)
-호:
-함을.
許호 니시니라 주012)
니시니라:
이르신 것이다.
그러나 識이 소리 브터 주013)
브터:
붙어(서). 의지해서.
딘댄 소리 곧 識일 드로미 주014)
드로미:
들음이.
반기 識을 드르리며 다가 듣디 몯딘댄 주015)
몯딘댄:
못할진댄.
 界의 디 주016)
디:
뜻이.
아닐 다 올티 주017)
올티:
옳지.
몯도다 주018)
몯도다:
못하도다.

〔주해〕 만일, 이르기를, ‘식’이 소리에서 난다고 하면, ‘식’이 ‘경’을 인하여 있는 것이라, 스스로 ‘근’에 붙지(=관계하지) 아니할 것이니, 그러나 ‘근’을 인하여 듣지 아니하면 어찌 소리가 있는 곳을 알겠는가? 소리의 들음 인함을 허〈용〉한다 하심은 소리의 들음 인함을 허〈용〉한 것을 이르신 것이다. 그러나 ‘식’이 소리를 의지해서 난다면 소리가 곧 ‘식’이므로 듣는 것이 마땅히 ‘식’을 들을 것이며, 만일 듣지 못한다면 또 ‘계’의 뜻이 아니므로 모두 옳지 못하도다.

〔경문〕 聞면 則同聲야 識이 已被聞야니 誰知聞識리오 若無知者댄 終如草木거니

〔경문〕 드르면 소리 야 識이 마 드로 니버니 뉘 識 드로 알리오 다가 아로미 업딘댄 매 草木 거니 주019)
거니:
같은 것이로다.

〔경문〕 들으면 소리와 같아서 ‘식’이 이미 들음을 입〈었〉으니, 누가(=무엇이) ‘식’을 듣는 줄을 알겠는가? 만일 앎이(=아는 이가) 없다면 마침내 초목과 같을 것이로다.

〔주해〕 識 爲能聞이오 聲 爲所聞이니 若實聞識인댄 識이 則同聲야 已爲所聞이어니 誰爲能聞이리오 故로 曰誰知聞識이리오 시니라 能聞이 無知면 則如草木릴 又不可也ㅣ로다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3:42ㄱ

識 能히 듣 주020)
듣:
듣는.
거시오 주021)
거시오:
것이고.
소리 듣논 거시니 다가 實로 識을 드딘댄 주022)
드딘댄:
들을진댄. 듣는다면.
識이 소리 야 주023)
소리 야:
소리와 같아.
마 듣논 거시 외어니 주024)
외어니:
되거니.
뉘 能히 듣 거시 외리오 주025)
외리오:
되겠는가?
이런로 니샤 뉘 識 드로 알리오 주026)
알리오:
알겠는가?
시니라 能히 듣 거시 아로미 업스면 草木 릴 주027)
릴:
같을 것이므로.
올티 주028)
올티:
옳지.
몯도다 주029)
몯도다:
못하도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식은 능히 듣는(=들을 수 있는) 것이고, 소리는 들리는 것이니, 만일 실로 ‘식’을 듣는다면, ‘식’이 소리와 같아서 이미 들리는 바가 되거니, 누가 능히 듣는 것이 되겠는가? 이런고로 이르시기를 ‘무엇이 ‘식’ 들음을 알겠는가’라고 하신 것이다. 능히 듣는 것이 앎이 없으면 초목과 같을 것이므로 또한 옳지 못하도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딘댄:날진댄. 난다면. 났다면.
주002)
잇논디라:있는 것이라(서).
주003)
븓디:붙지.
주004)
잇논:있는.
주005)
이쇼:있음을.
주006)
-딘댄:-할진댄. -한다면.
주007)
소리예:소리에(서).
주008)
븓디 아니리니:붙지(=관계하지) 아니 할 것이니.
주009)
소릿 고:소리의(=소리가) (있는) 곳을.
주010)
소리:소리의.
주011)
-호:-함을.
주012)
니시니라:이르신 것이다.
주013)
브터:붙어(서). 의지해서.
주014)
드로미:들음이.
주015)
몯딘댄:못할진댄.
주016)
디:뜻이.
주017)
올티:옳지.
주018)
몯도다:못하도다.
주019)
거니:같은 것이로다.
주020)
듣:듣는.
주021)
거시오:것이고.
주022)
드딘댄:들을진댄. 듣는다면.
주023)
소리 야:소리와 같아.
주024)
외어니:되거니.
주025)
외리오:되겠는가?
주026)
알리오:알겠는가?
주027)
릴:같을 것이므로.
주028)
올티:옳지.
주029)
몯도다:못하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