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운허]13-3. 십이처(十二處)가 곧 여래장
  • 13-3. 십이처가 곧 여래장○1. 안색처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13-3. 십이처가 곧 여래장○1. 안색처 2-2


능엄경언해 권3:20ㄱ

二. 依境辯
〔경문〕 若復色塵이 生眼見者댄 觀空젠 非色이라 見이 卽銷亡리니 亡則都無커니 誰明空色리오

〔경문〕 다가  色塵이 누 주001)
누:
눈의. 「-」 매김토씨.
보 내딘댄 空 주002)
:
볼. 「-(/ㅭ)매김꼴씨끝」.
時節엔 色이 아니라 보미 곧 스러 업스리니 업스면 다 업거니 뉘 空色 기리오

〔경문〕 만일, 또 색진 주003)
색진:
안근·안식의 대경인 물질세계를 이름.
이 눈의 보는 것을 낸다면 ‘공’을 볼 때에는 ‘색’이 아닌 것이다. 보는 것이 곧 스러져 없어질 것이니, 없어지면 다(=아무것도) 없거니, 누가(=무엇이) ‘공’과 ‘색’을 밝히겠는가?

〔주해〕 色이 能生見인댄 則觀空之時예 見이 無所生릴 故로 曰銷亡이라 시니라 亡면 卽無見커니 誰明空色이리오 則計色이 生眼處 者ㅣ 妄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3:20ㄴ

色이 能히 보 내딘댄 空  時節에 보미 주004)
:
날.
고디 주005)
고디:
곳이. 「곳」[所].
업스릴 주006)
업스릴:
없을 것이므로.
이런로 니샤 스러 업스리라 시니라 업스면 곧 보미 주007)
보미:
봄이. 보는 것이. 보는 작용이.
업거니 뉘 空色 기리오 시니 色이 眼處 내니라 주008)
내니라:
내는 것이다.
혜요미 妄이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색’이 능히 보는 것을 〈만들어〉 낸다면, 공을 볼 때에는 보는 것(=작용)이 〈생겨〉날 곳이 없으므로, 이런고로 이르시기를 ‘스러져 없어질 것’이라〈고〉 하신 것이다. 〈스러져〉 없으면 곧, 보는 것(=작용)이 없으니, ‘누가 ‘공’과 ‘색’을 밝히겠는가’ 하시니, ‘색’이 안처 주009)
안처:
안근과 안경. 곧 눈과 눈의 인삭작용의 대상을 이름.
를 내는 것이라고 헤아리는 것은 허망한 일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누:눈의. 「-」 매김토씨.
주002)
:볼. 「-(/ㅭ)매김꼴씨끝」.
주003)
색진:안근·안식의 대경인 물질세계를 이름.
주004)
:날.
주005)
고디:곳이. 「곳」[所].
주006)
업스릴:없을 것이므로.
주007)
보미:봄이. 보는 것이. 보는 작용이.
주008)
내니라:내는 것이다.
주009)
안처:안근과 안경. 곧 눈과 눈의 인삭작용의 대상을 이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