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5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5]
그 주001)
그:
그때. 현대어의 ‘때’에 해당하는 중세어는 ‘’였다. 중세어의 ‘’는 현대어의 ‘끼니’와 같은 예의 ‘끼’에 남아 있다.
釋迦牟尼佛 주002)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석가모니 부처님이.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分身 諸佛 주003)
분신제불(分身諸佛):
분신이신 여러 부처님들.
바도려 주004)
바도려:
받[受]-+-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려(연결 어미). 받으려. 수용하려. 받아들이려.
샤 주005)
샤:
[爲]-+-시(주체 높임의 선어밀 어미)-+-아(연결 어미). 하시어.
八方 주006)
팔방(八方):
사방(四方)과 사우(四隅). 곧 동, 남, 서, 북, 동남, 서남, 서북, 동북의 여덟 방위. 여기에 상, 하를 합하면 시방(十方)임. ¶ 그 釋迦牟尼佛이 分身샨 諸佛을 바도려 샤 그럴 八方애 各各 二百萬億 那由他國을 다시 變샤 다 淸淨케 시니 (그때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분신하신 모든 부처를 수용하려 하시어 그러므로 팔방(八方)에 각각 이백만억 나유타국을 다시 변화시키시어 다 청정하게 하시니) 〈법화 4:123ㄱ〉.
주007)
팔방(八方)애:
팔방+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팔방에.
各各 다시 二百萬億

월인석보 15:75ㄴ

由他
주008)
나유타(那由他):
아승기(阿僧祇)의 만 배가 되는 수. 즉, 10⁶⁰을 이른다. 또는 예전에, 아승기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¹¹²을 이른다. 나술나유다라고도 하였다.
주009)
나유타국(那由他國):
아승기(阿僧祇)의 만 배가 되는 수의 나라. 또는 아승기의 억 배가 되는 수의 나라.
주010)
변(變)샤:
변화시키시어. 형태는 사동이 아니나, 내용은 사동의 뜻으로 해석된다.
샤 다 淸淨케 주011)
청청(淸淨)케:
깨끗하게.
시니 地獄 주012)
지옥(地獄):
육도(六道)의 하나. 또는 삼악도(三惡道)의 하나. 중생(衆生)들이 이승에서 지은 죄업에 의하여 죽어서 가게 된다는, 온갖 고통으로 가득찬 세계를 말함. 옥(獄)은 죄(罪) 지은 사람을 가두는 곳이니, 땅 아래 있는 옥이므로 지옥이라 함. 두 철위산(鐵圍山) 사이 어두운 땅에 벌려 있다는 상상의 세계. 지옥은 큰 지옥이 여덟인데, 그것은 활지옥(活地獄)·흑승지옥(黑繩地獄)·합지옥(合地獄)·규환지옥(叫喚地獄)·대규환지옥(大叫喚地獄)·열뇌지옥(熱惱地獄)·대열뇌지옥(大熱惱地獄)·아비지옥(阿鼻地獄)의 여덟이다. 이 여덟 지옥에 각각 여덟 한빙지옥(寒氷地獄)과 여덟 염화지옥(炎火地獄)이 권속(眷屬)되어 있고, 또 이 여덟 큰 지옥에 작은 지옥이 끝없이 딸려 있다고 함. ¶ 鐵圍山이 네 天下 밧긔 둘어 잇고 그 밧긔  鐵圍山이 둘어 잇니 두 鐵圍山  어드 해 地獄이 버러 잇니라 《獄 罪 지은 사 가도 히니  아랫 獄일 地獄이라 니라 굴근 地獄이 여들비니 活地獄과 黑繩地獄과 合地獄과 叫喚地獄과 大叫喚地獄과 熱惱地獄과 大熱惱地獄과 阿鼻地獄괘라 […] 이 여듧 地獄이 各各 여덟 寒氷地獄과 여듧 炎火地獄이 眷屬 외야 잇고  혀근 地獄이 그지업스니》 (철위산이 네 천하 밖에 둘러 있고, 그 밖에 또 철위산이 둘러 있으니, 두 철위산 사이 어두운 땅에 지옥이 벌여 있는 것이다. 《옥은 죄 지은 사람을 가두는 곳이니, 땅 아래 있는 옥이므로 지옥이라 하느니라. 굵은(큰) 지옥이 여덟이니, 활지옥과 흑승지옥과 합지옥과 규환지옥과 대규환지옥과 열뇌지옥과 대열뇌지옥과 아비지옥이다. […] 이 여덟 지옥이 각각 여덟 한빙지옥과 여덟 염화지옥이 권속(딸림)이 되어 있고, 또 작은 지옥이 그지없으니》.) 〈월석 1:28ㄱ~29ㄴ〉. 三惡道 세 구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삼악도는 세 가지 궂은 길이니, 지옥, 아귀, 축생이다.) 〈월석 7:67ㄱ〉.
餓鬼 주013)
아귀(餓鬼):
삼악도(三惡道)의 하나. 살아서 남의 재물을 많이 뺏고 인색하여 죽어서 태어난다는 굶주린 귀신의 세계 또는 그 귀신. ¶ 三惡道 세 구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삼악도는 세 가지 궂은 길이니, 지옥, 아귀, 축생이다.) 〈월석 7:67ㄱ〉. 餓鬼 주으린 귓거시라 (아귀는 주린 귀신이다.) 〈월석 1:46ㄴ〉.
畜生 주014)
축생(畜生):
삼악도(三惡道)의 하나로, 중생이 악업(惡業)을 지으면 죽어서 태어난다는 축생도(畜生道)를 말함. 또는 단순히 사람이 집에서 치는 짐승를 가리킴. ¶ 三惡道 세 구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삼악도는 세 가지 궂은 길이니, 지옥, 아귀, 축생이다.) 〈월석 7:67ㄱ〉. 畜生 사 지븨셔 치 라 (축생은 사람의 집에서 치는 짐승이다.) 〈월석 1:46ㄴ〉.
阿修羅 주015)
아수라(阿修羅):
팔부(八部)의 하나. 불법을 지키는 장수(신)의 하나. 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을 가리킴. ¶ 阿修羅 하 아니라 논 디니 福과 힘과 하콰 토 하 뎌기 업스니 嗔心이 한 젼라 (아수라는 하늘이 아니라 하는 뜻이니, 복과 힘〈과〉는 하늘과 같되 하늘의 행실이 없으니 성내는 마음〈嗔心〉이 많기 때문이다.) 〈월석 1:14ㄴ〉.
ㅣ 업고  天人 주016)
천인(天人):
하늘의 신과 사람들을.
옮겨 다 해 주017)
해:
ㅎ[地]+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땅에.
두시니 化샨 주018)
화(化)샨:
화(化)-+-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교화하신. ‘-샤-’를 ‘-시-’의 이형태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그 해석은 ‘-시-’가 ‘-오/우-’ 앞에서 ‘-샤-’로 변하고 ‘-오/우-’는 탈락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샤-’가 ‘-시-+-오/우-’라는 것과 전혀 다를 바가 없으며, 분명한 설명을 멀리하고, 스스로 추상적인 호도의 길을 택하는 것이다. ‘-오/우-’의 이형태로 ‘-아-’를 상정하면, 이러한 이상한 설명을 할 필요가 전혀 없어진다.
나라히 주019)
나라히:
나라ㅎ[國]+이(주격 조사). 나라가.
 琉璃로  오 주020)
 오:
땅이 만들어지고. ‘-’의 형태는 능동이나 내용은 피동으로 해석됨.
寶樹 주021)
보수(寶樹):
보배로운 나무.
莊嚴니 주022)
장엄(莊嚴)니:
장엄해지니.
나못 주023)
나못:
나모[木]+ㅅ(사이시옷). 나무의. ‘ㅅ’을 속격 조사라고도 한다.
노 주024)
노:
높[高]+(명사 파생 접미사). 높이.
五百 由旬 주025)
유순(由旬):
인도의 거리 단위. 마흔 리(里). 40리(里). ¶ 由旬은 마 里라 (유순은 마흔 리이다.) 〈월석 1:39ㄴ〉.
이오
주026)
유순(由旬)이오:
유순#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유순이고. 유순이요.
가지와 주027)
가지와:
가지[枝]+와(접속 조사). 가지와.

월인석보 15:76ㄱ

주028)
닙과:
닙[葉]+과(접속 조사). 잎과.
곳과 주029)
곳과:
곳[花]+와(접속 조사). 꽃과.
果實왜 주030)
과실(果實)왜:
과실[實]+와(접속 조사)+ㅣ(주격 조사). 과실와가. 과실이.
次第로 주031)
차례(次第)로:
차례로. 시간적인 순서에 따르는 것을 말함.
싁싀기 주032)
싁싀기:
싁싁+이(부사 파생 접미사). 엄하게. 장엄하게. ‘싁싁+이’에서 ‘’가 탈락한 형식을 보인다.
미고 주033)
미고:
미[飾]-+-고(연결 어미). 꾸미고.
나모 아래 주034)
나모 아래:
나무 아래. ‘나모’는 독립형이고, 조사가 붙을 때는 ‘남기(나무가), 남(나무는), 남(나무를)’과 같이 명사의 형태가 바뀌었다. 이를 특수 교체란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주035)
다:
모두.
보옛 師子座 주036)
사자좌(師子座):
부처님께서 앉으시는 자리를 말함. 부처님은 인간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분이므로 이를 사자에 비유하여 그 위치를 나타낸 것임. 한자를 ‘사자(獅子)’로 쓰지 않은 것이 주목된다. ¶ 師子座 부텻 座ㅣ시니 師子 히 다 저흘 부텻 威嚴과 德과 가벼 안시  師子座ㅣ라 니라 (사자좌는 부처님의 자리이시니, 사자는 중생들이 다 두려워하므로 부처님의 위엄과 덕을 비유하여 부처님 앉으시는 땅을 사자좌라고 하는 것이다.) 〈능엄 1:87ㄴ〉.
주037)
보옛 사자좌(師子座):
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사이시옷)#사자좌. 보배에의 사자좌. 보배 속의 사자좌. 보배로 꾸민 사자좌. 보배로운 사자좌.
이쇼 주038)
이쇼:
이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있되. 있으되.
노 주039)
노:
높[高]+(명사 파생 접미사). 높이.
五由旬이오 種種 주040)
종종(種種):
여러 가지. 갖가지.
보로 미고 주041)
보로 미고:
보배로 꾸미고.
大海 주042)
대해(大海):
큰 바다.
江河 주043)
강하(江河):
강과 하천.
目眞隣陁山 주044)
목진린타산(目眞隣陀山):
용(龍)의 일종인 목진린타가 사는 산 이름이라고도 하나, ‘목진린타’에 대한 여기서의 주석이 ‘돌[石]’로 되어 있으므로, ‘돌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 大海 江河와 目眞隣陀山과 摩訶目眞隣陀山과 鐵圍山과 大鐵圍山과 須彌山 等 諸山 王이 업서 通히  佛國土ㅣ 외오 (또 큰 바다 강하와 목진린타산과 마하목진린타산과 철위산과 대철위산과 수미산 등 여러 산의 왕이 없어 두루 한 불국토가 되고) 〈법화 4:123ㄱ~ㄴ〉.
摩訶目眞隣陁山 주045)
마하목진린타산(摩訶目眞隣陀山):
마하(摩訶)는 크다는 뜻. ‘큰 돌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 목진린타산(目眞隣陀山).
鐵圍山 주046)
철위산(鐵圍山):
수미산(須彌山)을 중심으로 하여 구산팔해(九山八海)가 둘러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바깥에 있는 쇠로 된 산. ¶ 父母 나흔 누느로 三千界옛 內外 彌樓山과 須彌와 鐵圍와 녀나 山林과 大海 江河水 다 보며 (부모가 낳은 눈으로 삼천대천세계의 내외의 미루산과 수미산과 철위산과 그 밖의 다른 산림과 대해 강하수를 다 보며) 〈법화 6:30ㄱ〉.
大鐵圍

월인석보 15:76ㄴ

주047)
대철위산(大鐵圍山):
철위산(鐵圍山) 중 대천세계(大千世界)를 둘러싸고 있는 가장 큰 산. ¶  土山 黑山 小鐵圍山 大鐵圍山과 十寶山과 한 山ㅅ 中에 須彌山이 第一이 외 야 이 法華經도  이 야 諸經ㅅ 中에  우히 외니라 ○須彌 밧 둘어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 몯 미츠며 큰 바 안해 十寶山이 이쇼 貴코 노포미 須彌 몯 밋니라 土山 黑山은 人乘 天乘의 經을 가비시고 鐵山 寶山은 二乘 菩薩乘의 經을 가비시고 須彌 一乘經을 가비실  우히라 시니라 (또 토산, 흑산, 소철위산, 대철위산과 십보산과 많은 산 가운데에 수미산이 제 일이 되듯 하여 이 법화경도 또 이 같아서 모든 경전 가운데에 가장 위가 되느니라. ○ 수미산의 밖을 둘러 토산, 흑산이 있으되, 굳고 큼이 철위산을 못 미치며, 큰 바다 안에 십보산이 있으되, 귀하고 높음이 수미산을 못 미치는 것이다. 토산, 흑산은 인승, 천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철산, 보산은 이승, 보살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수미산은 일승경전을 비유하신 것이므로 가장 위라 하신 것이다.) 〈법화 6:164ㄱ~ㄴ〉.
須彌山 주048)
수미산(須彌山):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아 있다는 거대한 산. 높이는 팔만 유순(由旬)이고 구산팔해(九山八海)가 둘러싸고 있으며, 그 주위를 해와 달이 회전하고, 육도(六道)·제천(諸天)은 다 그 측면이나 위쪽에 있음. 그 정상에 제석천이 사는 궁전이 있다고 함. 단순히 수미(須彌)라고도 함. ¶  土山 黑山 小鐵圍山 大鐵圍山과 十寶山과 한 山ㅅ 中에 須彌山이 第一이 외 야 이 法華經도  이 야 諸經ㅅ 中에  우히 외니라 ○ 須彌 밧 둘어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 몯 미츠며 큰 바 안해 十寶山이 이쇼 貴코 노포미 須彌 몯 밋니라 土山 黑山은 人乘 天乘의 經을 가비시고 鐵山 寶山은 二乘 菩薩乘의 經을 가비시고 須彌 一乘經을 가비실  우히라 시니라 (또 토산, 흑산, 소철위산, 대철위산과 십보산과 많은 산 가운데에 수미산이 제 일이 되듯하여 이 법화경도 또 이 같아서 모든 경전 가운데에 가장 위가 되느니라. ○ 수미산의 밖을 둘러 토산, 흑산이 있으되, 굳고 큼이 철위산을 못 미치며, 큰 바다 안에 십보산이 있으되, 귀하고 높음이 수미산을 못 미치는 것이다. 토산, 흑산은 인승, 천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철산, 보산은 이승, 보살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수미산은 일승경전을 비유하신 것이므로 가장 위라 하신 것이다.) 〈법화 6:164ㄱ~ㄴ〉. 그저긔 迦葉이 彌盧山 우희 사 브려  부플 티라 니 《彌盧山 須彌山이라》 그 붑 소리에셔 마 닐오 (그때에 가섭이 미로산 위에서 사람을 부려 동종(銅鐘)을 치라 하니 《미로산은 수미산이다.》 그 북소리에서 말을 이르되) 〈석보 24:1ㄴ〉. 父母 나흔 누느로 三千界옛 內外 彌樓山과 須彌와 鐵圍와 녀나 山林과 大海 江河水 다 보며 (부모가 낳은 눈으로 삼천대천세계의 내외의 미루산과 수미산과 철위산과 그 밖의 다른 산림과 대해 강하수를 다 보며) 〈법화 6:30ㄱ〉.
諸山王 주049)
제산왕(諸山王):
여러 산 중의 왕. 여러 큰 산.
이 업서 通히 주050)
통(通)히:
통-+-이(부사 파생 접미사). 통하여. 두루.
주051)
:
‘나’의 관형사형. 하나의.
佛國土 주052)
불국토(佛國土):
부처님 나라. 부처님이 계신 곳. 불찰(佛刹), 불국(佛國) 또는 불토(佛土)라고도 함. ¶ 一切 顯現如來不可思議佛刹電光明摩尼王海雲 《佛刹은 부텻 나라히라》 (일체 현현여래 불가사의불찰 전광명마니왕해운 《불찰은 부처의 나라이다.》) 〈월석 10:49ㄴ〉.
외오 주053)
외오:
외[化]-+-고(연결 어미). 되고. ‘외고’가 ‘외오’로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보옛 히 주054)
보옛 히:
보+예(처격 조사, 부시격 조사)+ㅅ(사이시옷)#ㅎ[地]+이(주격 조사). 보배에의 땅이. 보배 속의 땅이. 보배 속에 있는 땅이. 보배로 꾸민 땅이.
平正고 주055)
평정(平正)고:
평정-+-고(연결 어미). 평평하고 반듯하고. ‘정(正)’은 ‘바를 정’으로 읽혀 ‘바르다’는 뜻이나, ‘땅이 바르다’는 것이 다소 어색하므로, 이를 ‘땅이 반듯하다’로 해석하였다.
보 섯바곤 이 주056)
보 섯바곤 이:
보(寶盃)#[混]-+박[揷]-+-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帳). 섞어 박은 장막. 섞어 박은 휘장.
우희 주057)
우희:
우ㅎ[上]+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위에.
차 두피고 주058)
차 두피고:
[滿]-+-아(연결 어미)#둪[覆]-+-이(피동 접미사)-+-고(연결 어미). 차 덮이고. 차게 덮이고.
幡盖 주059)
번개(幡盖/蓋):
번(幡)과 천개(天蓋). 번은 불(佛), 보살(菩薩)의 위력을 기리기 위해 장식하는 깃발이고, 천개는 법당 안의 탁자 위를 덮도록 만든 닫집을 이름. ¶ 一一 佛上애 모 菩薩이 幡蓋 자샤 次第로 오샤 梵天에 니르르샤 (하나하나(낱낱)의 부처님 위에는 모든 보살이 번개를 잡아 차례로 올라 범천에 이르러) 〈법화 5:180ㄴ〉. 種種 華香 瓔珞 幡蓋와  여러 가짓 몸 莊嚴 껏과 珍寶 微妙 거스로 다 裟婆世界예 머리셔 비흐니 (갖가지 화향 영락 번개와 또 여러 가지의 몸 장식할 것과 진보 미묘한 것으로 다 사바세계에 멀리서 뿌리니) 〈법화 6:105ㄴ〉.
오 주060)
오:
[懸]-+-고(연결 어미). 달고. 연결 어미 ‘-고’가 ‘-오’로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寶香 주061)
보향(寶香) 퓌오고:
보향(寶香)#퓌오[使燃]-+-고(연결 어미). 보배로운 향 피우고.
퓌오고 諸天寶華ㅣ 주062)
제천(諸天) 보화(寶華)ㅣ:
여러 하늘 보배로운 꽃이.
해 주063)
해:
ㅎ[地]+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땅에.
기 주064)
기:
[滿]-+-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득히. 가득하게. ‘-+-이’에서 ‘’가 탈락하여 ‘기’가 된 것이다. ‘’ 탈락은 ‘ㄱ’이나 ‘ㅂ’ 말음 어간을 가진 용언에서 잘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니라 주065)
이니라:
[展]-+-이(피동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깔린 것이다.
【目眞隣陁 돌히라 혼 마리라 주066)
돌히라 혼 마리라:
돌ㅎ[石]#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謂]+-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말[語]#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돌’이라 하는 말이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5]
그때에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분신하신 모든 부처를 받으려 하시어 팔방(八方)에 각각 다시 이백만억 나유타국을 변화시키시어 다 청정하게 하시니 지옥, 아귀, 축생과 아수라가 없어지고, 또 하늘의 신과 사람들을 옮겨 다른 땅에 두시니, 교화하신 나라가 또 유리로 땅 만들어지고 보배로운 나무로 장엄하니 나무의 높이 5백 유순이고, 가지와 잎과 꽃과 과실이 차례로 엄숙하게 꾸미고 나무 아래 모두 보배로 된 사자좌 있으되, 높이 5유순이고, 갖가지 보배로 꾸미고 또 큰 바다와 강과 하천과 목진린타산(目眞隣陁山)마하목진린타산(摩訶目眞隣陁山)철위산(鐵圍山)대철위산(大鐵圍山)수미산 등 여러 산 중의 왕들(큰 산들)이 없어져서 두루 하나의 불국토가 되고, 보배로 꾸민 땅이 평평하고 반듯하고, 보배 섞어 박은 휘장이 그 위에 〈가득〉 차게 덮이고, 번개들 달고, 큰 보배로운 향 피우고, 여러 하늘 보배로운 꽃이 땅에 가득히 깔린 것이다.【목진린타(目眞隣陁)는 돌이라 하는 말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 현대어의 ‘때’에 해당하는 중세어는 ‘’였다. 중세어의 ‘’는 현대어의 ‘끼니’와 같은 예의 ‘끼’에 남아 있다.
주002)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석가모니 부처님이.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주003)
분신제불(分身諸佛):분신이신 여러 부처님들.
주004)
바도려:받[受]-+-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려(연결 어미). 받으려. 수용하려. 받아들이려.
주005)
샤:[爲]-+-시(주체 높임의 선어밀 어미)-+-아(연결 어미). 하시어.
주006)
팔방(八方):사방(四方)과 사우(四隅). 곧 동, 남, 서, 북, 동남, 서남, 서북, 동북의 여덟 방위. 여기에 상, 하를 합하면 시방(十方)임. ¶ 그 釋迦牟尼佛이 分身샨 諸佛을 바도려 샤 그럴 八方애 各各 二百萬億 那由他國을 다시 變샤 다 淸淨케 시니 (그때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분신하신 모든 부처를 수용하려 하시어 그러므로 팔방(八方)에 각각 이백만억 나유타국을 다시 변화시키시어 다 청정하게 하시니) 〈법화 4:123ㄱ〉.
주007)
팔방(八方)애:팔방+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팔방에.
주008)
나유타(那由他):아승기(阿僧祇)의 만 배가 되는 수. 즉, 10⁶⁰을 이른다. 또는 예전에, 아승기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¹¹²을 이른다. 나술나유다라고도 하였다.
주009)
나유타국(那由他國):아승기(阿僧祇)의 만 배가 되는 수의 나라. 또는 아승기의 억 배가 되는 수의 나라.
주010)
변(變)샤:변화시키시어. 형태는 사동이 아니나, 내용은 사동의 뜻으로 해석된다.
주011)
청청(淸淨)케:깨끗하게.
주012)
지옥(地獄):육도(六道)의 하나. 또는 삼악도(三惡道)의 하나. 중생(衆生)들이 이승에서 지은 죄업에 의하여 죽어서 가게 된다는, 온갖 고통으로 가득찬 세계를 말함. 옥(獄)은 죄(罪) 지은 사람을 가두는 곳이니, 땅 아래 있는 옥이므로 지옥이라 함. 두 철위산(鐵圍山) 사이 어두운 땅에 벌려 있다는 상상의 세계. 지옥은 큰 지옥이 여덟인데, 그것은 활지옥(活地獄)·흑승지옥(黑繩地獄)·합지옥(合地獄)·규환지옥(叫喚地獄)·대규환지옥(大叫喚地獄)·열뇌지옥(熱惱地獄)·대열뇌지옥(大熱惱地獄)·아비지옥(阿鼻地獄)의 여덟이다. 이 여덟 지옥에 각각 여덟 한빙지옥(寒氷地獄)과 여덟 염화지옥(炎火地獄)이 권속(眷屬)되어 있고, 또 이 여덟 큰 지옥에 작은 지옥이 끝없이 딸려 있다고 함. ¶ 鐵圍山이 네 天下 밧긔 둘어 잇고 그 밧긔  鐵圍山이 둘어 잇니 두 鐵圍山  어드 해 地獄이 버러 잇니라 《獄 罪 지은 사 가도 히니  아랫 獄일 地獄이라 니라 굴근 地獄이 여들비니 活地獄과 黑繩地獄과 合地獄과 叫喚地獄과 大叫喚地獄과 熱惱地獄과 大熱惱地獄과 阿鼻地獄괘라 […] 이 여듧 地獄이 各各 여덟 寒氷地獄과 여듧 炎火地獄이 眷屬 외야 잇고  혀근 地獄이 그지업스니》 (철위산이 네 천하 밖에 둘러 있고, 그 밖에 또 철위산이 둘러 있으니, 두 철위산 사이 어두운 땅에 지옥이 벌여 있는 것이다. 《옥은 죄 지은 사람을 가두는 곳이니, 땅 아래 있는 옥이므로 지옥이라 하느니라. 굵은(큰) 지옥이 여덟이니, 활지옥과 흑승지옥과 합지옥과 규환지옥과 대규환지옥과 열뇌지옥과 대열뇌지옥과 아비지옥이다. […] 이 여덟 지옥이 각각 여덟 한빙지옥과 여덟 염화지옥이 권속(딸림)이 되어 있고, 또 작은 지옥이 그지없으니》.) 〈월석 1:28ㄱ~29ㄴ〉. 三惡道 세 구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삼악도는 세 가지 궂은 길이니, 지옥, 아귀, 축생이다.) 〈월석 7:67ㄱ〉.
주013)
아귀(餓鬼):삼악도(三惡道)의 하나. 살아서 남의 재물을 많이 뺏고 인색하여 죽어서 태어난다는 굶주린 귀신의 세계 또는 그 귀신. ¶ 三惡道 세 구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삼악도는 세 가지 궂은 길이니, 지옥, 아귀, 축생이다.) 〈월석 7:67ㄱ〉. 餓鬼 주으린 귓거시라 (아귀는 주린 귀신이다.) 〈월석 1:46ㄴ〉.
주014)
축생(畜生):삼악도(三惡道)의 하나로, 중생이 악업(惡業)을 지으면 죽어서 태어난다는 축생도(畜生道)를 말함. 또는 단순히 사람이 집에서 치는 짐승를 가리킴. ¶ 三惡道 세 구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삼악도는 세 가지 궂은 길이니, 지옥, 아귀, 축생이다.) 〈월석 7:67ㄱ〉. 畜生 사 지븨셔 치 라 (축생은 사람의 집에서 치는 짐승이다.) 〈월석 1:46ㄴ〉.
주015)
아수라(阿修羅):팔부(八部)의 하나. 불법을 지키는 장수(신)의 하나. 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을 가리킴. ¶ 阿修羅 하 아니라 논 디니 福과 힘과 하콰 토 하 뎌기 업스니 嗔心이 한 젼라 (아수라는 하늘이 아니라 하는 뜻이니, 복과 힘〈과〉는 하늘과 같되 하늘의 행실이 없으니 성내는 마음〈嗔心〉이 많기 때문이다.) 〈월석 1:14ㄴ〉.
주016)
천인(天人):하늘의 신과 사람들을.
주017)
해:ㅎ[地]+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땅에.
주018)
화(化)샨:화(化)-+-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교화하신. ‘-샤-’를 ‘-시-’의 이형태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그 해석은 ‘-시-’가 ‘-오/우-’ 앞에서 ‘-샤-’로 변하고 ‘-오/우-’는 탈락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샤-’가 ‘-시-+-오/우-’라는 것과 전혀 다를 바가 없으며, 분명한 설명을 멀리하고, 스스로 추상적인 호도의 길을 택하는 것이다. ‘-오/우-’의 이형태로 ‘-아-’를 상정하면, 이러한 이상한 설명을 할 필요가 전혀 없어진다.
주019)
나라히:나라ㅎ[國]+이(주격 조사). 나라가.
주020)
 오:땅이 만들어지고. ‘-’의 형태는 능동이나 내용은 피동으로 해석됨.
주021)
보수(寶樹):보배로운 나무.
주022)
장엄(莊嚴)니:장엄해지니.
주023)
나못:나모[木]+ㅅ(사이시옷). 나무의. ‘ㅅ’을 속격 조사라고도 한다.
주024)
노:높[高]+(명사 파생 접미사). 높이.
주025)
유순(由旬):인도의 거리 단위. 마흔 리(里). 40리(里). ¶ 由旬은 마 里라 (유순은 마흔 리이다.) 〈월석 1:39ㄴ〉.
주026)
유순(由旬)이오:유순#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유순이고. 유순이요.
주027)
가지와:가지[枝]+와(접속 조사). 가지와.
주028)
닙과:닙[葉]+과(접속 조사). 잎과.
주029)
곳과:곳[花]+와(접속 조사). 꽃과.
주030)
과실(果實)왜:과실[實]+와(접속 조사)+ㅣ(주격 조사). 과실와가. 과실이.
주031)
차례(次第)로:차례로. 시간적인 순서에 따르는 것을 말함.
주032)
싁싀기:싁싁+이(부사 파생 접미사). 엄하게. 장엄하게. ‘싁싁+이’에서 ‘’가 탈락한 형식을 보인다.
주033)
미고:미[飾]-+-고(연결 어미). 꾸미고.
주034)
나모 아래:나무 아래. ‘나모’는 독립형이고, 조사가 붙을 때는 ‘남기(나무가), 남(나무는), 남(나무를)’과 같이 명사의 형태가 바뀌었다. 이를 특수 교체란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주035)
다:모두.
주036)
사자좌(師子座):부처님께서 앉으시는 자리를 말함. 부처님은 인간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분이므로 이를 사자에 비유하여 그 위치를 나타낸 것임. 한자를 ‘사자(獅子)’로 쓰지 않은 것이 주목된다. ¶ 師子座 부텻 座ㅣ시니 師子 히 다 저흘 부텻 威嚴과 德과 가벼 안시  師子座ㅣ라 니라 (사자좌는 부처님의 자리이시니, 사자는 중생들이 다 두려워하므로 부처님의 위엄과 덕을 비유하여 부처님 앉으시는 땅을 사자좌라고 하는 것이다.) 〈능엄 1:87ㄴ〉.
주037)
보옛 사자좌(師子座):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사이시옷)#사자좌. 보배에의 사자좌. 보배 속의 사자좌. 보배로 꾸민 사자좌. 보배로운 사자좌.
주038)
이쇼:이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있되. 있으되.
주039)
노:높[高]+(명사 파생 접미사). 높이.
주040)
종종(種種):여러 가지. 갖가지.
주041)
보로 미고:보배로 꾸미고.
주042)
대해(大海):큰 바다.
주043)
강하(江河):강과 하천.
주044)
목진린타산(目眞隣陀山):용(龍)의 일종인 목진린타가 사는 산 이름이라고도 하나, ‘목진린타’에 대한 여기서의 주석이 ‘돌[石]’로 되어 있으므로, ‘돌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 大海 江河와 目眞隣陀山과 摩訶目眞隣陀山과 鐵圍山과 大鐵圍山과 須彌山 等 諸山 王이 업서 通히  佛國土ㅣ 외오 (또 큰 바다 강하와 목진린타산과 마하목진린타산과 철위산과 대철위산과 수미산 등 여러 산의 왕이 없어 두루 한 불국토가 되고) 〈법화 4:123ㄱ~ㄴ〉.
주045)
마하목진린타산(摩訶目眞隣陀山):마하(摩訶)는 크다는 뜻. ‘큰 돌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 목진린타산(目眞隣陀山).
주046)
철위산(鐵圍山):수미산(須彌山)을 중심으로 하여 구산팔해(九山八海)가 둘러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바깥에 있는 쇠로 된 산. ¶ 父母 나흔 누느로 三千界옛 內外 彌樓山과 須彌와 鐵圍와 녀나 山林과 大海 江河水 다 보며 (부모가 낳은 눈으로 삼천대천세계의 내외의 미루산과 수미산과 철위산과 그 밖의 다른 산림과 대해 강하수를 다 보며) 〈법화 6:30ㄱ〉.
주047)
대철위산(大鐵圍山):철위산(鐵圍山) 중 대천세계(大千世界)를 둘러싸고 있는 가장 큰 산. ¶  土山 黑山 小鐵圍山 大鐵圍山과 十寶山과 한 山ㅅ 中에 須彌山이 第一이 외 야 이 法華經도  이 야 諸經ㅅ 中에  우히 외니라 ○須彌 밧 둘어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 몯 미츠며 큰 바 안해 十寶山이 이쇼 貴코 노포미 須彌 몯 밋니라 土山 黑山은 人乘 天乘의 經을 가비시고 鐵山 寶山은 二乘 菩薩乘의 經을 가비시고 須彌 一乘經을 가비실  우히라 시니라 (또 토산, 흑산, 소철위산, 대철위산과 십보산과 많은 산 가운데에 수미산이 제 일이 되듯 하여 이 법화경도 또 이 같아서 모든 경전 가운데에 가장 위가 되느니라. ○ 수미산의 밖을 둘러 토산, 흑산이 있으되, 굳고 큼이 철위산을 못 미치며, 큰 바다 안에 십보산이 있으되, 귀하고 높음이 수미산을 못 미치는 것이다. 토산, 흑산은 인승, 천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철산, 보산은 이승, 보살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수미산은 일승경전을 비유하신 것이므로 가장 위라 하신 것이다.) 〈법화 6:164ㄱ~ㄴ〉.
주048)
수미산(須彌山):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아 있다는 거대한 산. 높이는 팔만 유순(由旬)이고 구산팔해(九山八海)가 둘러싸고 있으며, 그 주위를 해와 달이 회전하고, 육도(六道)·제천(諸天)은 다 그 측면이나 위쪽에 있음. 그 정상에 제석천이 사는 궁전이 있다고 함. 단순히 수미(須彌)라고도 함. ¶  土山 黑山 小鐵圍山 大鐵圍山과 十寶山과 한 山ㅅ 中에 須彌山이 第一이 외 야 이 法華經도  이 야 諸經ㅅ 中에  우히 외니라 ○ 須彌 밧 둘어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 몯 미츠며 큰 바 안해 十寶山이 이쇼 貴코 노포미 須彌 몯 밋니라 土山 黑山은 人乘 天乘의 經을 가비시고 鐵山 寶山은 二乘 菩薩乘의 經을 가비시고 須彌 一乘經을 가비실  우히라 시니라 (또 토산, 흑산, 소철위산, 대철위산과 십보산과 많은 산 가운데에 수미산이 제 일이 되듯하여 이 법화경도 또 이 같아서 모든 경전 가운데에 가장 위가 되느니라. ○ 수미산의 밖을 둘러 토산, 흑산이 있으되, 굳고 큼이 철위산을 못 미치며, 큰 바다 안에 십보산이 있으되, 귀하고 높음이 수미산을 못 미치는 것이다. 토산, 흑산은 인승, 천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철산, 보산은 이승, 보살승의 경전을 비유하신 것이고, 수미산은 일승경전을 비유하신 것이므로 가장 위라 하신 것이다.) 〈법화 6:164ㄱ~ㄴ〉. 그저긔 迦葉이 彌盧山 우희 사 브려  부플 티라 니 《彌盧山 須彌山이라》 그 붑 소리에셔 마 닐오 (그때에 가섭이 미로산 위에서 사람을 부려 동종(銅鐘)을 치라 하니 《미로산은 수미산이다.》 그 북소리에서 말을 이르되) 〈석보 24:1ㄴ〉. 父母 나흔 누느로 三千界옛 內外 彌樓山과 須彌와 鐵圍와 녀나 山林과 大海 江河水 다 보며 (부모가 낳은 눈으로 삼천대천세계의 내외의 미루산과 수미산과 철위산과 그 밖의 다른 산림과 대해 강하수를 다 보며) 〈법화 6:30ㄱ〉.
주049)
제산왕(諸山王):여러 산 중의 왕. 여러 큰 산.
주050)
통(通)히:통-+-이(부사 파생 접미사). 통하여. 두루.
주051)
:‘나’의 관형사형. 하나의.
주052)
불국토(佛國土):부처님 나라. 부처님이 계신 곳. 불찰(佛刹), 불국(佛國) 또는 불토(佛土)라고도 함. ¶ 一切 顯現如來不可思議佛刹電光明摩尼王海雲 《佛刹은 부텻 나라히라》 (일체 현현여래 불가사의불찰 전광명마니왕해운 《불찰은 부처의 나라이다.》) 〈월석 10:49ㄴ〉.
주053)
외오:외[化]-+-고(연결 어미). 되고. ‘외고’가 ‘외오’로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주054)
보옛 히:보+예(처격 조사, 부시격 조사)+ㅅ(사이시옷)#ㅎ[地]+이(주격 조사). 보배에의 땅이. 보배 속의 땅이. 보배 속에 있는 땅이. 보배로 꾸민 땅이.
주055)
평정(平正)고:평정-+-고(연결 어미). 평평하고 반듯하고. ‘정(正)’은 ‘바를 정’으로 읽혀 ‘바르다’는 뜻이나, ‘땅이 바르다’는 것이 다소 어색하므로, 이를 ‘땅이 반듯하다’로 해석하였다.
주056)
보 섯바곤 이:보(寶盃)#[混]-+박[揷]-+-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帳). 섞어 박은 장막. 섞어 박은 휘장.
주057)
우희:우ㅎ[上]+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위에.
주058)
차 두피고:[滿]-+-아(연결 어미)#둪[覆]-+-이(피동 접미사)-+-고(연결 어미). 차 덮이고. 차게 덮이고.
주059)
번개(幡盖/蓋):번(幡)과 천개(天蓋). 번은 불(佛), 보살(菩薩)의 위력을 기리기 위해 장식하는 깃발이고, 천개는 법당 안의 탁자 위를 덮도록 만든 닫집을 이름. ¶ 一一 佛上애 모 菩薩이 幡蓋 자샤 次第로 오샤 梵天에 니르르샤 (하나하나(낱낱)의 부처님 위에는 모든 보살이 번개를 잡아 차례로 올라 범천에 이르러) 〈법화 5:180ㄴ〉. 種種 華香 瓔珞 幡蓋와  여러 가짓 몸 莊嚴 껏과 珍寶 微妙 거스로 다 裟婆世界예 머리셔 비흐니 (갖가지 화향 영락 번개와 또 여러 가지의 몸 장식할 것과 진보 미묘한 것으로 다 사바세계에 멀리서 뿌리니) 〈법화 6:105ㄴ〉.
주060)
오:[懸]-+-고(연결 어미). 달고. 연결 어미 ‘-고’가 ‘-오’로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주061)
보향(寶香) 퓌오고:보향(寶香)#퓌오[使燃]-+-고(연결 어미). 보배로운 향 피우고.
주062)
제천(諸天) 보화(寶華)ㅣ:여러 하늘 보배로운 꽃이.
주063)
해:ㅎ[地]+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땅에.
주064)
기:[滿]-+-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득히. 가득하게. ‘-+-이’에서 ‘’가 탈락하여 ‘기’가 된 것이다. ‘’ 탈락은 ‘ㄱ’이나 ‘ㅂ’ 말음 어간을 가진 용언에서 잘 일어나는 현상이다.
주065)
이니라:[展]-+-이(피동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깔린 것이다.
주066)
돌히라 혼 마리라:돌ㅎ[石]#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謂]+-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말[語]#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돌’이라 하는 말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