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2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2]
그 주001)
그:
그[其]#[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그때에. 그때. 본래 ‘시(時)’를 뜻하는 중세어 명사는 ‘’였고 여기에 격조사가 결합하여 ‘’가 된 것이다. 이때 ‘’의 ‘ㅡ’는 탈락된다. ¶ 經 닐 사미 比丘ㅣ어나 比丘尼어나 모로매 戒行이 淸淨야 리니 俗애 잇 사 나날 八禁齋戒 受持야  세 로 香湯애 沐浴야 새 프른 옷 니버 齋戒 디녀 寂靜히 디니 比丘도  이리 디니라 (경 읽을 사람이 비구이거나 비구니이거나 모름지기 계행(戒行)이 께끗하여야 할 것이니 속에 있는 사람은 나날이 팔금 재계를 받아가져 하루 세 때로 향기로운 탕에 목욕하여 새로운 푸른 옷 입어 재계(齋戒) 지녀 고요히 생각할지니 비구도 또 이렇게 할 것이니라.) 〈월석 10:120ㄴ~121ㄱ〉. 밤 낫 여슷 로 뎌 藥師瑠璃光如來 저 供養고 (밤낮 여섯 때로 저 약사유리광여래에게 절하여 공양하옵고) 〈석상 9:32ㄱ〉.
부톄 주002)
부톄:
부텨+ㅣ(주격 조사). 부처가. 부처님께서.
白毫 주003)
백호(白毫):
부처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가느다란 터럭. 깨끗하고 부드러우며, 오른쪽으로 말린 데서 끊임없이 빛이 나옴. 백호상(白毫相)이라고도 하며, 삼십이상(三十二相)의 하나이다. ¶ 그 부톄 白毫  光 펴시니 즉재 東方 五百萬億 那由他 恒河沙 等 國土앳 諸佛을 보오니 (그때에 부처님께서 백호 한 빛 줄기를 펴시니 즉시 동방 오백만억 나유타 항하사 등 국토에 있는 모든 부처님을 보오니) 〈법화 4:118ㄱ〉.
光 주004)
 광(光):
한 빛줄기를.
펴시니 주005)
펴시니:
펴[展]-+-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펴시니. 발하시니.
즉재 주006)
즉재:
즉시.
東方 五百萬億 那由他 주007)
나유타(那由他):
인도의 수량 단위. 지극히 큰 수. 수량 단위의 가장 큰 수인 해(姟)에 해당함. ¶ 風俗通애 닐오 十萬 닐오 億이오 十億 닐오 兆ㅣ오 十兆 닐오 京이오 十京을 닐오 姟라 니 姟 모돈 큰 數ㅣ니 곧 니논 那由他ㅣ라 (풍속통에 이르되 십만을 이르되 억(億)이고, 십억을 이르되 조(兆)이고, 십조를 이르되 경(京)이고, 십경을 이르되 해(姟)이다 하니, 해(姟)는 가장 큰 수이니, 곧 이른바 나유타이다.) 〈법화 3:186ㄱ〉.
恒河

월인석보 15:71ㄴ

주008)
항하사(恒河沙):
항하(恒河)의 모래, 곧 천축(天竺) 동계(東界) 갠지즈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 또는 무수(無數)한 것을 비유하여 나타내는 말. 항사(恒沙) 또는 만항하사(萬恒河沙)라고도 함. ¶ 恒河沙 恒河앳 몰애니 부톄 조 이 믌  와 說法실 만한 數를 이 몰애로 가벼 니르시니라 (항하사는 항하의 모래이니, 부처님께서 자주 이 물가에 와서 설법하셨으므로 많은 수를 이 모래로 비유하여 이르시는 것이다.) 〈월석 7:72ㄱ~ㄴ〉.
等 國土 諸佛보니 주009)
보니:
보[見]-+-(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본형을 토대로 ‘ㄷ, (ㅅ), ㅊ’을 제외한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ㅅ’이 되는 것을 설명하고, 또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올 때에는 ‘ㅸ’이 ‘ㅂ’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ㄷ, (ㅅ), ㅊ’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형태 교체를 자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ㅅ’ 어간 뒤에서는 ‘--’이 쓰이기도 하였고, ‘좃고’와 같이 ’--’이 쓰이기도 하였다. 여기서 그 출현 환경 중의 하나인 ‘ㅅ’을 괄호 속에 보인 것은 이를 고려한 것이다.
뎌 國土히 다 頗梨 주010)
파리(頗梨):
수정(水晶) 또는 유리. ¶ 그 히 平正고 頗梨로  오 寶樹로 莊嚴고 (그 땅이 평정하고 파리로 땅을 만들고 보화의 나무로 장식하고) 〈법화 3:74ㄴ〉.
 주011)
:
ㅎ[地]+(대격 조사). 땅을.
오 주012)
오:
[造]-+-고(연결 어미). 만들고. ‘-고’가 ‘-오’로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寶樹寶衣 주013)
보수보의(寶樹寶衣):
보배로운 나무와 보배로운 옷.
로 莊嚴고 無數千萬億 菩薩이 그 中에 시고 寶幔 주014)
보만(寶幔):
보배로운 휘장. 보배로운 장막.
차 두르고 주015)
차 두르고:
[帶, 佩]+아(연결 어미)#두르[圍, 帀]+고(연결 어미). 차 두르고. 차서 두르고.
【幔 帳이라】 보 그믈로 우희 펴고 뎌 나랏 諸佛이 大妙音 주016)
대묘음(大妙音):
큰 미묘한 소리.

월인석보 15:72ㄱ

으로 諸法을 니시며  無量 千萬億 菩薩이 諸國에 야 겨샤 한 사 주017)
한 사:
하[多]+ㄴ(관형사형 어미)#사[人]. 많은 사람.
爲야 說法거시 주018)
설법(說法)거시:
설법-+-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거-’ 관련 연결 어미). ‘설법-’에서 ‘--’가 탈락하여 ‘설법거시’과 같은 형식이 되었다. ‘--’ 탈락은 어간 말음이 ‘ㄱ’이나 ‘ㅂ’일 때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거…’을 불연속 형태로 보는 일도 있다. 그러나 ‘-거-’가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도 이론적으로는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는 연결 어미로 분석할 수 있다.
보더니 주019)
보더니:
보[見]-+-(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더(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보옵더니.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이 다 釋迦ㅅ 分身이 十方애 겨샤 說法시니라 주020)
설법(說法)시니라:
설법-+-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실현성의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설법하시는 것이다.
南西北方 四維 주021)
사유(四維):
네 가지 중간 방향. 동남, 동북, 서남, 서북을 말한다. ¶ 虛空 東西南北 四維 上下ㅣ 無量 無邊 야 (허공의 동서남북과 사유와 상하가 무량, 무변하듯 하여.) 〈법화 5:204ㄴ〉.
上下애 白毫相光 주022)
백호상광(白毫相光):
백호상광(白毫相光)은 미간의 하얀 털에서 빛을 발하는 것을 말함. ¶ 그 부톄 眉間 白毫相光 펴샤 東方 萬八千 世界 비취샤 周遍티 아니  업게 시니 (그때 부처님께서 미간 백호상광을 펴시어 동방 만팔천 세계를 비추시어, 두루 닿지 아니한 데가 없게 하시니) 〈법화 1:60ㄱ〉.
비취신 주023)
비취신:
비취[照]-+-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비추신.
히 주024)
히:
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 이 더

월인석보 15:72ㄴ

주025)
더라:
[如]-+-더(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같더라. ‘-’가 현대에 ‘같-’이 되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칠보탑 안의 다보불을 보기 위해 석존의 분신 시방불이 모임 2]
그때 부처님께서 백호(白毫) 한 빛줄기를 펴시니
(발하시니)
즉시 동방 오백만억 나유타, 항하사 등 국토의 여러 부처님들을 보오니, 저 국토들이 다 파리로 땅을 만들고 보배로운 나무와 보배로운 옷으로 장엄하고, 무수한 천만억 보살이 그 가운데에 가득하시고, 보배로운 만(幔, 휘장)을 차 두르시고【만(幔)은 장이다.】 보배로운 그물로 위에 펴고 저 나라의 여러 부처님들께서 큰 미묘한 소리로 여러 불법을 이르시며 또 그지없는 천만억 보살이 여러 나라에 가득하게 계셔서 많은 사람 위하여 설법하시는 것을 보옵더니【이는 다 석가의 분신이 시방(十方)에 계셔서 설법하시는 것이다.】 남서북방 사유(四維)와 상하에 백호상광(白毫相光)이 비추신 땅이 또 이 같더라.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其]#[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그때에. 그때. 본래 ‘시(時)’를 뜻하는 중세어 명사는 ‘’였고 여기에 격조사가 결합하여 ‘’가 된 것이다. 이때 ‘’의 ‘ㅡ’는 탈락된다. ¶ 經 닐 사미 比丘ㅣ어나 比丘尼어나 모로매 戒行이 淸淨야 리니 俗애 잇 사 나날 八禁齋戒 受持야  세 로 香湯애 沐浴야 새 프른 옷 니버 齋戒 디녀 寂靜히 디니 比丘도  이리 디니라 (경 읽을 사람이 비구이거나 비구니이거나 모름지기 계행(戒行)이 께끗하여야 할 것이니 속에 있는 사람은 나날이 팔금 재계를 받아가져 하루 세 때로 향기로운 탕에 목욕하여 새로운 푸른 옷 입어 재계(齋戒) 지녀 고요히 생각할지니 비구도 또 이렇게 할 것이니라.) 〈월석 10:120ㄴ~121ㄱ〉. 밤 낫 여슷 로 뎌 藥師瑠璃光如來 저 供養고 (밤낮 여섯 때로 저 약사유리광여래에게 절하여 공양하옵고) 〈석상 9:32ㄱ〉.
주002)
부톄:부텨+ㅣ(주격 조사). 부처가. 부처님께서.
주003)
백호(白毫):부처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가느다란 터럭. 깨끗하고 부드러우며, 오른쪽으로 말린 데서 끊임없이 빛이 나옴. 백호상(白毫相)이라고도 하며, 삼십이상(三十二相)의 하나이다. ¶ 그 부톄 白毫  光 펴시니 즉재 東方 五百萬億 那由他 恒河沙 等 國土앳 諸佛을 보오니 (그때에 부처님께서 백호 한 빛 줄기를 펴시니 즉시 동방 오백만억 나유타 항하사 등 국토에 있는 모든 부처님을 보오니) 〈법화 4:118ㄱ〉.
주004)
 광(光):한 빛줄기를.
주005)
펴시니:펴[展]-+-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펴시니. 발하시니.
주006)
즉재:즉시.
주007)
나유타(那由他):인도의 수량 단위. 지극히 큰 수. 수량 단위의 가장 큰 수인 해(姟)에 해당함. ¶ 風俗通애 닐오 十萬 닐오 億이오 十億 닐오 兆ㅣ오 十兆 닐오 京이오 十京을 닐오 姟라 니 姟 모돈 큰 數ㅣ니 곧 니논 那由他ㅣ라 (풍속통에 이르되 십만을 이르되 억(億)이고, 십억을 이르되 조(兆)이고, 십조를 이르되 경(京)이고, 십경을 이르되 해(姟)이다 하니, 해(姟)는 가장 큰 수이니, 곧 이른바 나유타이다.) 〈법화 3:186ㄱ〉.
주008)
항하사(恒河沙):항하(恒河)의 모래, 곧 천축(天竺) 동계(東界) 갠지즈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 또는 무수(無數)한 것을 비유하여 나타내는 말. 항사(恒沙) 또는 만항하사(萬恒河沙)라고도 함. ¶ 恒河沙 恒河앳 몰애니 부톄 조 이 믌  와 說法실 만한 數를 이 몰애로 가벼 니르시니라 (항하사는 항하의 모래이니, 부처님께서 자주 이 물가에 와서 설법하셨으므로 많은 수를 이 모래로 비유하여 이르시는 것이다.) 〈월석 7:72ㄱ~ㄴ〉.
주009)
보니:보[見]-+-(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본형을 토대로 ‘ㄷ, (ㅅ), ㅊ’을 제외한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ㅅ’이 되는 것을 설명하고, 또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올 때에는 ‘ㅸ’이 ‘ㅂ’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ㄷ, (ㅅ), ㅊ’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형태 교체를 자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ㅅ’ 어간 뒤에서는 ‘--’이 쓰이기도 하였고, ‘좃고’와 같이 ’--’이 쓰이기도 하였다. 여기서 그 출현 환경 중의 하나인 ‘ㅅ’을 괄호 속에 보인 것은 이를 고려한 것이다.
주010)
파리(頗梨):수정(水晶) 또는 유리. ¶ 그 히 平正고 頗梨로  오 寶樹로 莊嚴고 (그 땅이 평정하고 파리로 땅을 만들고 보화의 나무로 장식하고) 〈법화 3:74ㄴ〉.
주011)
:ㅎ[地]+(대격 조사). 땅을.
주012)
오:[造]-+-고(연결 어미). 만들고. ‘-고’가 ‘-오’로 된 것은 ‘ㄱ’ 탈락에 의한 것이다.
주013)
보수보의(寶樹寶衣):보배로운 나무와 보배로운 옷.
주014)
보만(寶幔):보배로운 휘장. 보배로운 장막.
주015)
차 두르고:[帶, 佩]+아(연결 어미)#두르[圍, 帀]+고(연결 어미). 차 두르고. 차서 두르고.
주016)
대묘음(大妙音):큰 미묘한 소리.
주017)
한 사:하[多]+ㄴ(관형사형 어미)#사[人]. 많은 사람.
주018)
설법(說法)거시:설법-+-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거-’ 관련 연결 어미). ‘설법-’에서 ‘--’가 탈락하여 ‘설법거시’과 같은 형식이 되었다. ‘--’ 탈락은 어간 말음이 ‘ㄱ’이나 ‘ㅂ’일 때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거…’을 불연속 형태로 보는 일도 있다. 그러나 ‘-거-’가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도 이론적으로는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는 연결 어미로 분석할 수 있다.
주019)
보더니:보[見]-+-(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더(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보옵더니.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주020)
설법(說法)시니라:설법-+-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실현성의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종결 어미). 설법하시는 것이다.
주021)
사유(四維):네 가지 중간 방향. 동남, 동북, 서남, 서북을 말한다. ¶ 虛空 東西南北 四維 上下ㅣ 無量 無邊 야 (허공의 동서남북과 사유와 상하가 무량, 무변하듯 하여.) 〈법화 5:204ㄴ〉.
주022)
백호상광(白毫相光):백호상광(白毫相光)은 미간의 하얀 털에서 빛을 발하는 것을 말함. ¶ 그 부톄 眉間 白毫相光 펴샤 東方 萬八千 世界 비취샤 周遍티 아니  업게 시니 (그때 부처님께서 미간 백호상광을 펴시어 동방 만팔천 세계를 비추시어, 두루 닿지 아니한 데가 없게 하시니) 〈법화 1:60ㄱ〉.
주023)
비취신:비취[照]-+-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비추신.
주024)
히: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주025)
더라:[如]-+-더(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같더라. ‘-’가 현대에 ‘같-’이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