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칠보탑이 솟아난 인연에 대한 석존의 설법
  • 칠보탑이 솟아난 인연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칠보탑이 솟아난 인연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칠보탑이 솟아난 인연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주001)
뎌:
저. ‘저’는 현대어에서는 원칭 지시 관형사로, 선행 담화에 주어진 대상을 가리키는 데는 잘 쓰이지 않는다. 이 문맥에서 ‘뎌’는 분명히 선행 담화에 등장한 다보부처님을 가리킨다. 이는 중세어에 특이한 용법으로 보이는데, 담화적 대상을 현실 장면에 주어진 대상으로 말하는 방법일 것으로 추측된다.
부톄 成道샤 滅度 저긔 天人大衆 주002)
천인대중(天人大衆):
하늘과 사람의 많은 무리를 말함.
中에 比丘려 니샤 나 滅度 後에 내 全身을 供養코져 주003)
공양(供養)코져:
공양-+-고져(연결 어미). 공양하고자. ‘’의 ‘ㅎ’ 탈락으로 ‘코져’가 된 것이다.
커든 주004)
커든:
[爲]+거든(연결 어미). 하거든. ‘’의 ‘ㅎ’ 탈락으로 ‘커든’이 된 것이다.
 큰 塔을 셰라 주005)
셰라:
셔[立]+ㅣ(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세우라. 현대에는 사동 접미사로 ‘-ㅣ우-’와 같은 중첩형이 쓰이나, 중세어에서는 ‘ㅣ’만이 쓰였다.
부톄 神通願力 주006)
신통원력(神通願力):
신통한 힘을 가진 원력(願力). ‘원력’은 원하는 힘을 말한다.
으로 十方世界예 곧곧마다 주007)
곧곧마다:
곳곳마다.

월인석보 15:69ㄱ

法華經 니리 잇거든 주008)
니리 잇거든:
니[曰]-+-ㅭ(미래 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잇[有]-+거든(조건 연결 어미). 이를 사람이 있으면. 말할 사람이 있으면. 미래 관형사형 어미를 ‘-ㅭ’과 같이 나타낸 것은 이 어미가 뒤에 오는 폐쇄음을 된소리로 바꾸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이다. 중세어에서는 미래 관형사형 어미를 ‘-ㅭ’으로 적은 예도 있다.
뎌 寶塔이 다 그 알 소사나 全身이 塔中에 겨샤 讚歎야 니샤 됴타 됴타 시니라 주009)
시니라:
[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실현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법 종결 어미). 말하시는 것이다. 말하시게 되는 것이다.
大樂說아 이제 多寶如來ㅅ 塔이 法華經 니거든 듣노라 주010)
듣노라:
듣[聞]-+(실현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어로는 ‘듣겠노라’의 뜻에 가깝다.
샤 해셔 주011)
해셔:
ㅎ[地]+애셔(탈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땅에서.
소사나샤 讚歎야

월인석보 15:69ㄴ

니샤 됴타 됴타 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칠보탑이 솟아난 인연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부처님께서 도를 이루어 멸도하실 제, 하늘과 사람 대중 가운데 비구들더러 이르시되, ‘나 멸도 후에 내 온몸을 공양하고자 하거든 큰 탑을 하나 세우라.’ 그 부톄 신통한 서원의 힘으로 시방세계(十方世界) 곳곳마다 법화경 말할 사람 있으면 그 보탑이 다 그 앞에 솟아나 온몸이 탑 가운데 계시어 찬탄하여 이르시되 ‘좋다 좋다’ 하시는 것이다. 대요설아, 이제 다보여래의 탑이, 법화경 설하면 듣노라 하시어 땅에서 솟아나시어 찬탄하여 이르시되, ‘좋다 좋다’ 하시는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뎌:저. ‘저’는 현대어에서는 원칭 지시 관형사로, 선행 담화에 주어진 대상을 가리키는 데는 잘 쓰이지 않는다. 이 문맥에서 ‘뎌’는 분명히 선행 담화에 등장한 다보부처님을 가리킨다. 이는 중세어에 특이한 용법으로 보이는데, 담화적 대상을 현실 장면에 주어진 대상으로 말하는 방법일 것으로 추측된다.
주002)
천인대중(天人大衆):하늘과 사람의 많은 무리를 말함.
주003)
공양(供養)코져:공양-+-고져(연결 어미). 공양하고자. ‘’의 ‘ㅎ’ 탈락으로 ‘코져’가 된 것이다.
주004)
커든:[爲]+거든(연결 어미). 하거든. ‘’의 ‘ㅎ’ 탈락으로 ‘커든’이 된 것이다.
주005)
셰라:셔[立]+ㅣ(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세우라. 현대에는 사동 접미사로 ‘-ㅣ우-’와 같은 중첩형이 쓰이나, 중세어에서는 ‘ㅣ’만이 쓰였다.
주006)
신통원력(神通願力):신통한 힘을 가진 원력(願力). ‘원력’은 원하는 힘을 말한다.
주007)
곧곧마다:곳곳마다.
주008)
니리 잇거든:니[曰]-+-ㅭ(미래 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잇[有]-+거든(조건 연결 어미). 이를 사람이 있으면. 말할 사람이 있으면. 미래 관형사형 어미를 ‘-ㅭ’과 같이 나타낸 것은 이 어미가 뒤에 오는 폐쇄음을 된소리로 바꾸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이다. 중세어에서는 미래 관형사형 어미를 ‘-ㅭ’으로 적은 예도 있다.
주009)
시니라:[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실현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평서법 종결 어미). 말하시는 것이다. 말하시게 되는 것이다.
주010)
듣노라:듣[聞]-+(실현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어로는 ‘듣겠노라’의 뜻에 가깝다.
주011)
해셔:ㅎ[地]+애셔(탈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땅에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