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월인천강지곡 기296~기302(7곡)
  • 월인천강지곡 기300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00


其 三百
本身如來 주001)
본신여래(本身如來):
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여러 곳에 분신으로 나타나실 때, 그 본래의 부처님을 말함.
八方 주002)
팔방(八方):
사방(四方)과 사우(四隅). 곧 동, 남, 서, 북, 동남, 서남, 서북, 동북의 여덟 방위. 여기에 상, 하를 합하면 시방(十方)임. ¶ 그 釋迦牟尼佛이 分身샨 諸佛을 바도려 샤 그럴 八方애 各各 二百萬億 那由他國을 다시 變샤 다 淸淨케 시니 (그때에 석가모니불께서 분신하신 모든 부처를 받으려 하시어 그러므로 팔방(八方)에 각각 이백만억 나유타국을 다시 변화시키시어 다 청정하게 하시니) 〈법화 4:123ㄱ〉.
世界 고티샤 주003)
고티샤:
고티[改]-+-시(높임의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고치시어.
걋 주004)
걋:
2인칭 존칭 재귀 대명사. ‘자기’보다는 높이는 뜻이 있었음.
分身 주005)
분신(分身):
분신은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그 몸을 나누어 곳곳에 나타내는 일이나 변화하여 나타난 몸을 말한다. ¶  變샤  分身衆 드류려 시니라 (땅을 변화시키심은 장차 여러 분신들을 들여 놓으려 하신 것이다.) 〈법화 4:120ㄱ〉.
안쵸려 주006)
안쵸려:
앉[坐]-+-히(사동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려(의도 연결 어미). 앉히려. 앉게 하여.
시니
分身如來 주007)
분신여래(分身如來):
본신여래의 분신을 본신여래에 대하여 이르는 말.
八方寶

월인석보 15:62ㄱ

주008)
팔방보좌(八方寶座):
세계 여러 곳에 있는 부처님의 보배로운 자리.
애 오샤 걋 本身ㅅ긔 安否 보내시니 주009)
안부(安否) 보내시니:
안부#보내[送]-+-시(높임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안부 보내시었네. 인사 보내시었네. ‘-ㄴ(관형사형 어미)’은 ‘--’을 가지고 있지 않아 과거적인 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어말의 ‘이’를 의존 명사로 분석한 것은 중세어에 ‘이’로 끝나는 명사문이 문종결적인 기능을 하였음을 전제로 한 것이다. ‘-(으)니’가 현대어에서는 연결 어미로 쓰이는 것이지만, 15세기에는 종결 어미로 쓰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으)니’를 ‘-(으)니다’와 같은 완결된 종결 형식에서 ‘-다’가 생략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문맥을 ‘-다’가 있는 것처럼 해석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은 온당한 것이 아니다. 청자를 높이는 문맥이 아니기 때문이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
본신여래는 팔방세계 고치시어 자기의 분신을 앉히려 하시었네.
분신여래는 팔방보좌에 오시어 자신의 본신께 안부 보내시었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본신여래(本身如來):부처님께서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여러 곳에 분신으로 나타나실 때, 그 본래의 부처님을 말함.
주002)
팔방(八方):사방(四方)과 사우(四隅). 곧 동, 남, 서, 북, 동남, 서남, 서북, 동북의 여덟 방위. 여기에 상, 하를 합하면 시방(十方)임. ¶ 그 釋迦牟尼佛이 分身샨 諸佛을 바도려 샤 그럴 八方애 各各 二百萬億 那由他國을 다시 變샤 다 淸淨케 시니 (그때에 석가모니불께서 분신하신 모든 부처를 받으려 하시어 그러므로 팔방(八方)에 각각 이백만억 나유타국을 다시 변화시키시어 다 청정하게 하시니) 〈법화 4:123ㄱ〉.
주003)
고티샤:고티[改]-+-시(높임의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고치시어.
주004)
걋:2인칭 존칭 재귀 대명사. ‘자기’보다는 높이는 뜻이 있었음.
주005)
분신(分身):분신은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그 몸을 나누어 곳곳에 나타내는 일이나 변화하여 나타난 몸을 말한다. ¶  變샤  分身衆 드류려 시니라 (땅을 변화시키심은 장차 여러 분신들을 들여 놓으려 하신 것이다.) 〈법화 4:120ㄱ〉.
주006)
안쵸려:앉[坐]-+-히(사동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려(의도 연결 어미). 앉히려. 앉게 하여.
주007)
분신여래(分身如來):본신여래의 분신을 본신여래에 대하여 이르는 말.
주008)
팔방보좌(八方寶座):세계 여러 곳에 있는 부처님의 보배로운 자리.
주009)
안부(安否) 보내시니:안부#보내[送]-+-시(높임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안부 보내시었네. 인사 보내시었네. ‘-ㄴ(관형사형 어미)’은 ‘--’을 가지고 있지 않아 과거적인 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어말의 ‘이’를 의존 명사로 분석한 것은 중세어에 ‘이’로 끝나는 명사문이 문종결적인 기능을 하였음을 전제로 한 것이다. ‘-(으)니’가 현대어에서는 연결 어미로 쓰이는 것이지만, 15세기에는 종결 어미로 쓰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으)니’를 ‘-(으)니다’와 같은 완결된 종결 형식에서 ‘-다’가 생략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문맥을 ‘-다’가 있는 것처럼 해석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은 온당한 것이 아니다. 청자를 높이는 문맥이 아니기 때문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