其 二百九十九
十方 주001) 시방(十方): 십방이라고도 함. 동방, 동남방, 남방, 서남방, 서방, 서북방, 북방, 동북방과 위쪽으로 상방, 아래쪽으로 하방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사방(四方)과 사우(四隅)와 상하(上下)를 통틀어 일컬음. 십방(十方). ¶ 諸天 爲야 說法시며 十方애 現身야《十方 東方 東南方 南方 西南方 西方 西北方 北方 東北方 우흐로 上方 아래로 下方이라 現身 모 나토아 뵈실 씨라》 (제천을 위하여 설법하시며, 시방(十方)에 현신하여《시방(十方)(十方)은 동방, 동남방, 남방, 서남방, 서방, 서북방, 북방, 동북방과 위쪽으로 상방, 아래쪽으로 하방이다. 현신은 몸을 나타내어 보이시는 것이다.》) 〈월석 2:10ㄱ~ㄴ〉.
世界 주002) 샤 주003) 샤: 〔明〕-+-(조음소)-+-시(높임의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밝으시어.
히 주004) 玻瓈 주005) 파려(玻瓈): 칠보(七寶)의 하나. 물 옥(玉)이라 하는 말이니, 수정(水精)임. 수정(水晶)의 딴 이름. ¶ 나라해 須彌山곰 이쇼 그 山이 […] 北녀근 黑玻瓈라 《黑은 거믈 씨오 玻瓈 믈 玉이라 혼 마리니 水精이라》 (한 나라에 한 수미산씩 있되, 그 산이 […] 북녘은 흑파려이다. 《흑은 검음이고, 파려는 물 옥이라 하는 말이니, 수정이다.》) 〈월석 1:22ㄱ~ㄴ〉.
ㅅ
비치오 주006) 비치오: 빛〔光, 色〕+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빛이고. 빛이요. ‘이고’가 ‘이오’로 되는 것은 ‘ㄱ’ 탈락 또는 ‘ㄱ’ 묵음화이다. ‘이오’가 다시 ‘이요’로 되는 것은 ‘l’ 모음 순행 동화이다.
諸佛 莊嚴 주007) 제불장엄(諸佛莊嚴): 여러 부처님들의 장엄함.
을
몯내 주008) 뇌 주009) 뇌: 〔白〕-+-(겸양 선어망 어미)-+-(현재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이(종결 어미). 사뢰옵네. ‘-이’가 종결 어미로 쓰이는 것은 현대의 ‘좋으이, 나쁘이’ 등과 같은 예에 나타나는 ‘-이’와 성격이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그 온전한 형식 ‘좋으이다, 나쁘이다’와 같은 형식에서 ‘-다’가 탈락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선어말 어미 ‘-이-’가 어말 어미화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娑婆世界 주010) 사바세계(娑婆世界): 사바(娑婆)는 수고를 겪는다 하는 뜻. 사바세계는 인간 세계를 이르는 말. 즉 중생이 갖가지 고통을 참고 견뎌야 하는 이 세상을 말한다. 사바국토(娑婆國土) 또는 탁세(濁世)라고도 한다. ¶ 娑婆 受苦 겻다 논 디니 하히 현마 즐겁고도 福이 다아 衰면 受苦요미 地獄두고 더으니 부텨옷 죽사릴 여희샤 裟婆世界 밧긔 버서나시니라 (사바는 수고를 겪는다 하는 뜻이니, 하늘이 아무리 즐겁지만 복이 다해 쇠퇴하면 괴로움이 지옥보다 더하니, 부처님은 죽살이를 여의시어, 사바세계 밖에 벗어나시니라.) 〈월석 1:21ㄴ〉.
샤 히
琉 월인석보 15:61ㄴ
璃 주011) ㅅ 비치오
諸佛 寶座 주012) 제불보좌(諸佛寶座): 여러 부처님들의 보배스러운 자리를 말한다.
몯내 뇌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이백구십구

시방세계 밝으시어 땅이 파려 빛이요 제불 장엄을 못내 사뢰왔네.
사바세계 밝으시어 땅이 유리 빛이요 제불 보좌를 못내 사뢰왔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