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협주〉 법사품 제10에 대한 해설
  • 법사품 제10에 대한 해설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사품 제10에 대한 해설


[법사품 제10에 대한 해설]
잇  주001)
잇:
여기까지.
授學無學人記品 주002)
수학무학인기품(授學無學人記品):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전체 7권 이십팔품(二十八品) 가운데 제구품(第九品)의 이름.
고 주003)
고:
〔終〕-+-고(연결 어미). 마치고. ‘-’이 ‘-’이 된 것은 내파화가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아래 法師品 주004)
법사품(法師品):
묘법연화경 전체 7권 이십팔품(二十八品) 중 제십품(第十品)의 이름.
이니 能히 正法 주005)
정법(正法):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
을 디녀 足히 

월인석보 15:39ㄴ

스 욀 씨 法師 주006)
법사(法師):
법(法)을 받드는 스승. 법의 스승. 곧 불법에 정통하고 청정한 행을 닦아서 세간의 모범이 되어 중생을 교화하는 스님. 후세에는 불법을 강설하는 이를 가리킴. ¶ 法師 法 받 스스라 (법사는 법 받드는 스승이다.) 〈월석 2:75ㄱ〉. 法師 法 스스라 (법사는 법의 스승이다.) 〈석보 13:30ㄴ〉.
ㅣ라 이 너븐 記 심기샤 알 記 두려 려시 法師品이라 일훔 지호 持経 사 너비 記샤 尊시논 젼라 経에 알 現 八部 주007)
팔부(八部):
팔부중(八部衆).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장(神將). 곧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를 가리킨다. 천룡팔부(天龍八部). ¶ 王이며 天龍八部ㅣ 과야 녜 업던 이리로다 더니 《八部는 여듧 주비니 天과 龍과 夜叉와 乾闥婆와 阿脩羅와 迦數羅와 緊那羅와 摩睺羅伽왜니》(왕이며 천룡팔부가 칭찬하여 옛날에는 없던 일이로다 하더니 《팔부는 여덟 부류이니 천과 용과 야차와 건달바와, 아수라와 가루라와 긴나라와 마후라가이니》) 〈월석 1:14ㄱ〉.
四衆 주008)
사중(四衆):
불문(佛門)의 네 가지 제자인 비구(比丘)·비구니(比丘尼)·우바새(優婆塞)·우바이(優婆夷)를 통틀어 이르는 말.
等類와 부텨 滅度신 後엣 経 듣고 隨喜 사 드러 니샤 다 授記 주시니 이 너비 記샤미라 알 비록 三周 주009)
삼주(三周):
삼주설법(三周說法).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전반 적문(迹門) 부분을 삼단계로 나누어 말한 것. 법설주(法說周), 비설주(譬說周), 인연주(因緣周). (1) 법설주(法說周)는 부처님이 상근인(上根人)에게 십여실상(十如實相)의 이치를 말하여 삼승(三乘), 일승(一乘)의 법을 말한 부분임. (2) 비설주(譬說周)는 부처님이 중근인(中根人)에게 삼거(三車), 일거(一車)의 비유(譬喩)로써, 삼승(三乘), 일승(一乘)의 법을 말한 부분임. 비설주(譬說周)는 비유설주(譬喩說周)라고도 함. (3) 인연주(因緣周)는 부처님이 하근인(下根人)에게 대통지승불(大通智勝佛) 전세의 인연을 가자하여 묘법(妙法)을 말씀한 부분임. 인연주(因緣周)는 인연설주(因緣說周)라고도 함.
주010)
삼주법(三周法):
삼주설법. ☞ 삼주(三周).
을 對샤 三根 주011)
삼근(三根):
삼주설법에 나오는 상근(上根)과 중근(中根), 하근(下根)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짐. ☞ 삼주(三周).
주012)
삼근기(三根記):
삼근의 기(記).
 심기시나 주013)
기(機):
부처의 가르침에 접하여 발동되는 수행자의 정신적 능력.
가도 몯 다 실 이 두려 주014)
두려:
둥그렇게. 원만히. 두루. 전체적으로.
리시니 주015)
리시니:
리〔括〕-+-시-+니(연결 어미). 포함시키시니. 포괄하시니.
圓敎 주016)
원교(圓敎):
팔교(八敎)의 하나. 화법사교(化法四敎)의 하나. 원만(圓滿)하고 완전한 교법을 이름. ¶ 圓敎 圓ㅅ 일후믄 圓妙며 圓滿며 圓足며 圓頓 일후미 圓敎ㅣ라 (원교는, 원의 이름은 원묘하며 원만하며 원족하며, 원돈하므로 이름이 원교이다.) 〈법화 3:44ㄴ~45ㄱ〉.
의 統要ㅣ라 마 統要ㅣ 욀 眞實로 正宗 주017)
정종(正宗):
바른 줄기, 석존으로부터 대대로 조사(祖師)들이 연면(連綿)하여 바르게 전해온 바른 종지(宗旨). 올바른 가르침. ¶ 正宗 正 리니 法華經을 니르니라 (정종은 바른 줄기이니, 법화경을 말한 것이다.) 〈석보 19:8ㄴ〉.

월인석보 15:40ㄱ

애 屬니라 統 모도자 씨오 要 조 씨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법사품 제10에 대한 해설]
◯ 여기까지는 수학무학인기품(授學無學人記品) 마치고 아래에서는 법사품(法師品)이니 능히 정법(正法)을 지녀 충분히 남의 스승 되기 때문에 법사(法師)이다. 포괄적인 예언을 전하심으로써 앞의 예언을 두루 포함시킨 것을 법사품(法師品)이라 이름 지은 것은 지경(持經)할 사람을 널리 예언하시어 높이는 까닭이다. 경(經)에 앞에 나타난 팔부(八部) 사중(四衆) 등의 부류와 부처님 멸도(滅度)하신 후에 경(經) 듣고 따라 기뻐하는 사람을 들어 이르시어 다 예언을 주시니 이것이 널리 예언하시는 것이다. 앞에서 비록 삼주법을 대하시어 삼근의 기(記)를 전하시나 근기를 포함시키는 것을 다 못하기 때문에 이에 두루 포함시키니, 원교(圓敎)의 통요이다. 이미 통요가 되므로 진실로 정종(正宗)에 속하는 것이다. 통(統)은 모아잡는다는 것이고, 요(要)는 중요하다는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잇:여기까지.
주002)
수학무학인기품(授學無學人記品):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전체 7권 이십팔품(二十八品) 가운데 제구품(第九品)의 이름.
주003)
고:〔終〕-+-고(연결 어미). 마치고. ‘-’이 ‘-’이 된 것은 내파화가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주004)
법사품(法師品):묘법연화경 전체 7권 이십팔품(二十八品) 중 제십품(第十品)의 이름.
주005)
정법(正法):부처님의 바른 가르침.
주006)
법사(法師):법(法)을 받드는 스승. 법의 스승. 곧 불법에 정통하고 청정한 행을 닦아서 세간의 모범이 되어 중생을 교화하는 스님. 후세에는 불법을 강설하는 이를 가리킴. ¶ 法師 法 받 스스라 (법사는 법 받드는 스승이다.) 〈월석 2:75ㄱ〉. 法師 法 스스라 (법사는 법의 스승이다.) 〈석보 13:30ㄴ〉.
주007)
팔부(八部):팔부중(八部衆).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장(神將). 곧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를 가리킨다. 천룡팔부(天龍八部). ¶ 王이며 天龍八部ㅣ 과야 녜 업던 이리로다 더니 《八部는 여듧 주비니 天과 龍과 夜叉와 乾闥婆와 阿脩羅와 迦數羅와 緊那羅와 摩睺羅伽왜니》(왕이며 천룡팔부가 칭찬하여 옛날에는 없던 일이로다 하더니 《팔부는 여덟 부류이니 천과 용과 야차와 건달바와, 아수라와 가루라와 긴나라와 마후라가이니》) 〈월석 1:14ㄱ〉.
주008)
사중(四衆):불문(佛門)의 네 가지 제자인 비구(比丘)·비구니(比丘尼)·우바새(優婆塞)·우바이(優婆夷)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009)
삼주(三周):삼주설법(三周說法).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전반 적문(迹門) 부분을 삼단계로 나누어 말한 것. 법설주(法說周), 비설주(譬說周), 인연주(因緣周). (1) 법설주(法說周)는 부처님이 상근인(上根人)에게 십여실상(十如實相)의 이치를 말하여 삼승(三乘), 일승(一乘)의 법을 말한 부분임. (2) 비설주(譬說周)는 부처님이 중근인(中根人)에게 삼거(三車), 일거(一車)의 비유(譬喩)로써, 삼승(三乘), 일승(一乘)의 법을 말한 부분임. 비설주(譬說周)는 비유설주(譬喩說周)라고도 함. (3) 인연주(因緣周)는 부처님이 하근인(下根人)에게 대통지승불(大通智勝佛) 전세의 인연을 가자하여 묘법(妙法)을 말씀한 부분임. 인연주(因緣周)는 인연설주(因緣說周)라고도 함.
주010)
삼주법(三周法):삼주설법. ☞ 삼주(三周).
주011)
삼근(三根):삼주설법에 나오는 상근(上根)과 중근(中根), 하근(下根)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짐. ☞ 삼주(三周).
주012)
삼근기(三根記):삼근의 기(記).
주013)
기(機):부처의 가르침에 접하여 발동되는 수행자의 정신적 능력.
주014)
두려:둥그렇게. 원만히. 두루. 전체적으로.
주015)
리시니:리〔括〕-+-시-+니(연결 어미). 포함시키시니. 포괄하시니.
주016)
원교(圓敎):팔교(八敎)의 하나. 화법사교(化法四敎)의 하나. 원만(圓滿)하고 완전한 교법을 이름. ¶ 圓敎 圓ㅅ 일후믄 圓妙며 圓滿며 圓足며 圓頓 일후미 圓敎ㅣ라 (원교는, 원의 이름은 원묘하며 원만하며 원족하며, 원돈하므로 이름이 원교이다.) 〈법화 3:44ㄴ~45ㄱ〉.
주017)
정종(正宗):바른 줄기, 석존으로부터 대대로 조사(祖師)들이 연면(連綿)하여 바르게 전해온 바른 종지(宗旨). 올바른 가르침. ¶ 正宗 正 리니 法華經을 니르니라 (정종은 바른 줄기이니, 법화경을 말한 것이다.) 〈석보 19:8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