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아난이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 아난이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난이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아난이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그 주001)
그:
그[其]#[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그때에. 그때. 본래 ‘시(時)’를 뜻하는 중세어 명사는 ‘’였고 여기에 격조사가 결합하여 ‘’가 된 것이다. 이때 ‘’의 ‘ㅡ’는 탈락된다. ¶ 經 닐 사미 比丘ㅣ어나 比丘尼어나 모로매 戒行이 淸淨야 리니 俗애 잇 사 나날 八禁齋戒 受持야  세 로 香湯애 沐浴야 새 프른 옷 니버 齋戒 디녀 寂靜히 디니 比丘도  이리 디니라 (경 읽을 사람이 비구이거나 비구니이거나 모름지기 계행(戒行)이 께끗하여야 할 것이니 속에 있는 사람은 나날이 팔금 재계(八禁齋戒)를 받아가져 하루 세 때로 향기로운 탕에 목욕하여 새로운 푸른 옷 입어 재계(齋戒) 지녀 고요히 생각할지니 비구도 또 이렇게 할 것이니라.) 〈월석 10:120ㄴ~121ㄱ〉. 밤 낫 여슷 로 뎌 藥師瑠璃光如來 저 供養고 (밤낮 여섯 때로 저 약사유리광여래에게 절하여 공양하옵고) 〈석상 9:32ㄱ〉.
阿難 주002)
아난(阿難):
부처님 십대제자 중 한 사람으로 다문(多聞) 제일이라 불림. 아난타(阿難陀)라고도 함. ¶ 尊者ㅣ  닐오 이 阿難ㅅ 塔이니다 王이  功德을 무른대 對答호 이 부텻 侍奉이러시니 多聞이 第一이시고 부텻 經을 시니다 (존자가 또 이르되, 이곳은 아난의 탑입니다. 왕이 또 공덕을 물으니까, 대답하되, 이분은 부처님의 시봉이시었으므로 다문이 제일이시고, 부처님의 경을 만드시었습니다.) 〈석보 24:40ㄱ~ㄴ〉.
羅睺羅 주003)
나후라(羅睺羅):
석존의 아들. 석가가 태자로 있을 때 출가하여 도를 배우려고 마음을 먹었다가, 아들을 낳고는 장애됨을 한탄하여 나후라라고 일컬음. 석존이 성도한 뒤에 출가하여 제자가 됨. 밀행(密行) 제일(第一)이라고도 하며, 나운(羅云)이라고도 한다.
ㅣ 너교 우리히  주004)
:
항상. 늘.

월인석보 15:27ㄱ

호 주005)
호:
[思]-+-오(연결 어미). 생각하되. ‘다’가 ‘생각하다’의 뜻을 잃고, ‘사랑하다[愛]’의 뜻만을 가지게 된 것은 의미의 축소이다. ‘-오’를 하나의 어미로 보는 것은 재구조화에 의한 것이다.
다가 授記 得면 아니 싀훤려 주006)
싀훤려:
싀훤〔량(凉)〕-+-리(시제 선어말 어미)-+-어(종결 어미). 시원하겠느냐?
고阿難 多聞야 法藏 護持고 羅云 주007)
나운(羅云):
석존의 아들.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의 한 사람. 밀행(密行) 제일. 나후라(羅睺羅)라고도 함.
 密行이니 다 큰 弟子ㅣ로 學衆 주008)
학중(學衆):
① 많은 수의 수행자. ② 학려(學侶). 학려는 오로지 학문에만 종사하는 승려임. ¶ 阿難 羅云도  大弟子ㅣ로 學衆 모도잡 니 各各 젼 잇니 (아난과 나운도 또 큰 제자이므로 학중을 거느리듯이 하니 각각 까닭이 있는 것이다.) 〈법화 4:3ㄱ〉.
과  授記샤 뎨  안로 초고 주009)
초고:
초[藏]-+-고(연결 어미). 감추고. ‘초다’가 ‘감추다’가 된 것은 ‘ㅁ’ 첨가 현상임.
밧로 주010)
밧로:
[外]+로(부사격 조사). 밖으로.
나토아 주011)
나토아:
낱[現]-+-오(사동 파생 접미사)-+-아(연결 어미). 나타나게 하여.
密行 인 주012)
밀행(密行) 인:
밀행(密行)+(속격 조사)#[對]#이(지정 형용사)+ㄴ(관형사형 어미) #(의존 명사)+ㄹ(대격 조사). 밀행의 짝인 줄을. 밀행 제일인 나운의 짝인 줄을.
뵈시니라 學衆 記 보니 니샤 微塵數 주013)
미진수(微塵數):
티끌 같은 수. 그지없는 수(數). ¶  三千大千世界 微塵數 菩薩 摩訶薩이 能히 不退 法輪을 轉며 (또 삼천대천세계 미진수 보살 마하살이 능히 불퇴의 법륜을 굴리며) 〈법화 5:173ㄴ~175〉.
佛을 供養야 法藏 護持리라 시니 곧 阿難 羅云과 德이  가질 二師로 摠시니라】

월인석보 15:27ㄴ

재 座로셔 니러 부텻긔 가 머리 조 禮數고 다 부텻긔  世尊하 우리 이긔 주014)
이긔:
여기.
다 주015)
다:
마땅히.
주016)
분(分):
자기의 처지에 마땅한 한도. ¶ 衆에 一多 서르 버리시며 時예 延促 서르 나토시며 見에 通礙 서르 샤 物量이 다 업스며 時節이 一定 업스며 分이 常 업슨  기샤 (중(衆)에 일(一)과 다(多)를 서로 벌이시며, 시(時)에 늘임과 줄임을 서로 나타내시며, 견(見)에 통애를 서로 쓰심은 물량이 다함 없으며, 시절에 일정 없으며, 분(分)이 상(常) 없는 것을 밝히시어) 〈법화 5:90ㄱ〉.
이 잇니 오직 如來 주017)
여래(如來)옷:
여래(如來)+옷(강세 보조사). 여래 곧.
우리 가 주018)
가:
가[去]-+-(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ㅭ(미래 관형사형 어미). 가올.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시며  우리히 一切 世間 天人 주019)
천인(天人):
하늘의 신과 사람. 천상의 유정(有情)들. 천중(天衆). ¶ 내 이제 天人 沙門 婆羅門 等 大衆 中에 니노니 (내가 이제 천인, 사문, 바라문 등 대중 가운데 이르노니) 〈법화 2:29ㄴ〉.
阿脩羅 주020)
아수라(阿修羅):
팔부(八部)의 하나. 불법을 지키는 장수(신)의 하나. 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을 이름. ¶ 阿修羅 하 아니라 논 디니 福과 힘과 하콰 토 하뎌기 업스니 嗔心이 한 젼라 (아수라는 하늘이 아니라 하는 뜻이니, 복과 힘과는 하늘과 같되 하늘의 행실이 없으니 성내는 마음〈嗔心〉이 많기 때문이다.) 〈월석 1:14ㄴ〉.
 보아 아논 사미니 阿難 주021)
아난(阿難):
정반왕(淨飯王)의 첫째 아우이자 석가여래(釋迦如來)의 숙부인 백반왕(白飯王)의 작은 아들. 아난(阿難)은 석가여래(석가모니)의 종제(從弟)로서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한 사람이며, 십육나한(十六羅漢)의 한 사람. 석가의 상시자(常侍者)로서 견문(見聞)이 많고 기억력이 좋아 불멸(佛滅) 후에 경권(經卷)의 대부분은 이 사람의 기억에 의하여 결집(結集)되었다고 함. 다문(多聞) 제일이라 불림. 아난타(阿難陀)라고도 함.
 녜 뫼

월인석보 15:28ㄱ

 사미라 法藏 護持고 羅睺羅부텻 아리니 다가 부톄 阿耨多羅三藐三菩提 記 심기시면 우리 願이 며 모 라오미 足리로소다阿難 羅云부텻긔 갓갑 마 모다 아논 사미니 다가 記 得디 몯면 모 라오매 디 몯리라

월인석보 15:28ㄴ

菩薩이 佛道 通達야 아니 나  업스실 淨名佛道品 주022)
정명불도품(淨名佛道品):
유마힐경(維摩詰經)의 불도품(佛道品). 유마힐경은 오(吳)나라 지겸(支謙)의 번역임.
法喜 주023)
법희(法喜):
법의 기쁨. 불법에 의해 얻는 기쁨. ¶ 果號ㅣ 喜見은 因에 法師외야 겨샤 法喜로 사 깃기샨 젼라 (과호가 희견인 것은 인(因)에 법사가 되어 계셔서 법희로 사람을 기쁘게 하신 까닭이다.) 〈법화 4:188ㄴ〉.
로 妻 삼고 慈悲로  삼고 誠善으로 아 사시다 니 釋迦耶輸 주024)
야수(耶輸):
석존의 출가하기 전, 실달(悉達) 태자(太子) 때의 태자비(太子妃). ¶ 釋迦ㅅ 耶輸 羅云 두샤미 다 뵈야 現샤 爲샤 世間 妻子ㅣ 디 아니시니라 (석가모니께서 출가 전에 야수(耶輸)와 나운(羅云) 두신 것은 다 본보기로 보이신 것이고 세간의 처자(妻子)와는 같지 아니하신 것이다.) 〈법화 4:49ㄱ~ㄴ〉.
羅云 주025)
나운(羅云):
석존의 아들.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의 한 사람. 밀행(密行) 제일(第一). 나후라(羅睺羅)라고도 함.
두샤미 다 나토아 뵈시디 世俗 妻子ㅣ 디 아니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아난이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그때 아난(阿難)나후라(羅睺羅)가 여기되, 우리들이 언제나 생각하되 만일 장차 부처가 되리란 수기를 득하오면 그 아니 시원하려 하고아난(阿難)은 다문(多聞)하여 법장을 지켜 가지고, 나운(羅云: 羅睺羅)은 밀행(密行)이니 다 큰 제자로되, 학중(學衆)과 함께 수기(受記)하심은 저들도 또 안으로 감추고 밖으로 나타내어 밀행의 짝인 것을 보이신 것이다. 학중의 수기를 보고 이르시되, 미진수(微塵數)의 부처님을 공양하여 법장을 호지하리라 하시니, 곧 아난나운의 덕이 같은 까닭으로 두 스승으로 모은 것이다.】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가서 머리 조아려 경건히 예를 표하고, 다 부처님께 아뢰되, “세존이시여, 우리 여기 또 마땅히 분(分)이 있는 것이니, 오직 여래 곧 우리가 가올 곳이시며 또 우리들이 일체 세간의 천인 아수라를 보아 아는 사람이니 아난(阿難)은 항상 모시온 사람이라 법장(法藏)을 지켜 가지고 있고, 나후라(羅睺羅)는 부처님의 아들이니 만약 부처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기를 전하시면 우리의 소원이 차며 모든 바람이 족할 것입니다.”아난(阿難)나운(羅云)부처님께 가까워 이미 모두 아는 사람이니 만약 예언을 얻지 못하면 모든 바람에 차지 못할 것이다. 보살이 불도(佛道)를 통달하시어 나타나지 않으신 데가 없으시므로 정명불도품(淨名佛道品)에 법희로 아내 삼으시고, 자비(慈悲)로 딸을 삼으시고, 성선(誠善)으로 아들 삼으시니, 석가모니께서 〈출가 전에〉 야수(耶輸)나운(羅云) 두신 것은 다 나타내어(예를 들어) 보이신 것이지 세간의 처자와는 같지 아니하신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其]#[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그때에. 그때. 본래 ‘시(時)’를 뜻하는 중세어 명사는 ‘’였고 여기에 격조사가 결합하여 ‘’가 된 것이다. 이때 ‘’의 ‘ㅡ’는 탈락된다. ¶ 經 닐 사미 比丘ㅣ어나 比丘尼어나 모로매 戒行이 淸淨야 리니 俗애 잇 사 나날 八禁齋戒 受持야  세 로 香湯애 沐浴야 새 프른 옷 니버 齋戒 디녀 寂靜히 디니 比丘도  이리 디니라 (경 읽을 사람이 비구이거나 비구니이거나 모름지기 계행(戒行)이 께끗하여야 할 것이니 속에 있는 사람은 나날이 팔금 재계(八禁齋戒)를 받아가져 하루 세 때로 향기로운 탕에 목욕하여 새로운 푸른 옷 입어 재계(齋戒) 지녀 고요히 생각할지니 비구도 또 이렇게 할 것이니라.) 〈월석 10:120ㄴ~121ㄱ〉. 밤 낫 여슷 로 뎌 藥師瑠璃光如來 저 供養고 (밤낮 여섯 때로 저 약사유리광여래에게 절하여 공양하옵고) 〈석상 9:32ㄱ〉.
주002)
아난(阿難):부처님 십대제자 중 한 사람으로 다문(多聞) 제일이라 불림. 아난타(阿難陀)라고도 함. ¶ 尊者ㅣ  닐오 이 阿難ㅅ 塔이니다 王이  功德을 무른대 對答호 이 부텻 侍奉이러시니 多聞이 第一이시고 부텻 經을 시니다 (존자가 또 이르되, 이곳은 아난의 탑입니다. 왕이 또 공덕을 물으니까, 대답하되, 이분은 부처님의 시봉이시었으므로 다문이 제일이시고, 부처님의 경을 만드시었습니다.) 〈석보 24:40ㄱ~ㄴ〉.
주003)
나후라(羅睺羅):석존의 아들. 석가가 태자로 있을 때 출가하여 도를 배우려고 마음을 먹었다가, 아들을 낳고는 장애됨을 한탄하여 나후라라고 일컬음. 석존이 성도한 뒤에 출가하여 제자가 됨. 밀행(密行) 제일(第一)이라고도 하며, 나운(羅云)이라고도 한다.
주004)
:항상. 늘.
주005)
호:[思]-+-오(연결 어미). 생각하되. ‘다’가 ‘생각하다’의 뜻을 잃고, ‘사랑하다[愛]’의 뜻만을 가지게 된 것은 의미의 축소이다. ‘-오’를 하나의 어미로 보는 것은 재구조화에 의한 것이다.
주006)
싀훤려:싀훤〔량(凉)〕-+-리(시제 선어말 어미)-+-어(종결 어미). 시원하겠느냐?
주007)
나운(羅云):석존의 아들.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의 한 사람. 밀행(密行) 제일. 나후라(羅睺羅)라고도 함.
주008)
학중(學衆):① 많은 수의 수행자. ② 학려(學侶). 학려는 오로지 학문에만 종사하는 승려임. ¶ 阿難 羅云도  大弟子ㅣ로 學衆 모도잡 니 各各 젼 잇니 (아난과 나운도 또 큰 제자이므로 학중을 거느리듯이 하니 각각 까닭이 있는 것이다.) 〈법화 4:3ㄱ〉.
주009)
초고:초[藏]-+-고(연결 어미). 감추고. ‘초다’가 ‘감추다’가 된 것은 ‘ㅁ’ 첨가 현상임.
주010)
밧로:[外]+로(부사격 조사). 밖으로.
주011)
나토아:낱[現]-+-오(사동 파생 접미사)-+-아(연결 어미). 나타나게 하여.
주012)
밀행(密行) 인:밀행(密行)+(속격 조사)#[對]#이(지정 형용사)+ㄴ(관형사형 어미) #(의존 명사)+ㄹ(대격 조사). 밀행의 짝인 줄을. 밀행 제일인 나운의 짝인 줄을.
주013)
미진수(微塵數):티끌 같은 수. 그지없는 수(數). ¶  三千大千世界 微塵數 菩薩 摩訶薩이 能히 不退 法輪을 轉며 (또 삼천대천세계 미진수 보살 마하살이 능히 불퇴의 법륜을 굴리며) 〈법화 5:173ㄴ~175〉.
주014)
이긔:여기.
주015)
다:마땅히.
주016)
분(分):자기의 처지에 마땅한 한도. ¶ 衆에 一多 서르 버리시며 時예 延促 서르 나토시며 見에 通礙 서르 샤 物量이 다 업스며 時節이 一定 업스며 分이 常 업슨  기샤 (중(衆)에 일(一)과 다(多)를 서로 벌이시며, 시(時)에 늘임과 줄임을 서로 나타내시며, 견(見)에 통애를 서로 쓰심은 물량이 다함 없으며, 시절에 일정 없으며, 분(分)이 상(常) 없는 것을 밝히시어) 〈법화 5:90ㄱ〉.
주017)
여래(如來)옷:여래(如來)+옷(강세 보조사). 여래 곧.
주018)
가:가[去]-+-(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ㅭ(미래 관형사형 어미). 가올.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주019)
천인(天人):하늘의 신과 사람. 천상의 유정(有情)들. 천중(天衆). ¶ 내 이제 天人 沙門 婆羅門 等 大衆 中에 니노니 (내가 이제 천인, 사문, 바라문 등 대중 가운데 이르노니) 〈법화 2:29ㄴ〉.
주020)
아수라(阿修羅):팔부(八部)의 하나. 불법을 지키는 장수(신)의 하나. 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을 이름. ¶ 阿修羅 하 아니라 논 디니 福과 힘과 하콰 토 하뎌기 업스니 嗔心이 한 젼라 (아수라는 하늘이 아니라 하는 뜻이니, 복과 힘과는 하늘과 같되 하늘의 행실이 없으니 성내는 마음〈嗔心〉이 많기 때문이다.) 〈월석 1:14ㄴ〉.
주021)
아난(阿難):정반왕(淨飯王)의 첫째 아우이자 석가여래(釋迦如來)의 숙부인 백반왕(白飯王)의 작은 아들. 아난(阿難)은 석가여래(석가모니)의 종제(從弟)로서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한 사람이며, 십육나한(十六羅漢)의 한 사람. 석가의 상시자(常侍者)로서 견문(見聞)이 많고 기억력이 좋아 불멸(佛滅) 후에 경권(經卷)의 대부분은 이 사람의 기억에 의하여 결집(結集)되었다고 함. 다문(多聞) 제일이라 불림. 아난타(阿難陀)라고도 함.
주022)
정명불도품(淨名佛道品):유마힐경(維摩詰經)의 불도품(佛道品). 유마힐경은 오(吳)나라 지겸(支謙)의 번역임.
주023)
법희(法喜):법의 기쁨. 불법에 의해 얻는 기쁨. ¶ 果號ㅣ 喜見은 因에 法師외야 겨샤 法喜로 사 깃기샨 젼라 (과호가 희견인 것은 인(因)에 법사가 되어 계셔서 법희로 사람을 기쁘게 하신 까닭이다.) 〈법화 4:188ㄴ〉.
주024)
야수(耶輸):석존의 출가하기 전, 실달(悉達) 태자(太子) 때의 태자비(太子妃). ¶ 釋迦ㅅ 耶輸 羅云 두샤미 다 뵈야 現샤 爲샤 世間 妻子ㅣ 디 아니시니라 (석가모니께서 출가 전에 야수(耶輸)와 나운(羅云) 두신 것은 다 본보기로 보이신 것이고 세간의 처자(妻子)와는 같지 아니하신 것이다.) 〈법화 4:49ㄱ~ㄴ〉.
주025)
나운(羅云):석존의 아들.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의 한 사람. 밀행(密行) 제일(第一). 나후라(羅睺羅)라고도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