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5백 비구가 의주유로 수기받은 기쁨을 표현함
  • 5백 비구가 의주유로 수기받은 기쁨을 표현함 1
메뉴닫기 메뉴열기

5백 비구가 의주유로 수기받은 기쁨을 표현함 1


[5백 비구가 의주유로 수기받은 기쁨을 표현함 1]
그 五百 阿羅漢이 부텻 알 受記 주001)
수기(受記):
부처가 된다는 예언을 받음. 수기(授記), 수결(手決)이라고도 한다.
 得고 歡喜 踊躍야 즉재 座로셔 니러 부텻 알 가 머리 좃 주002)
좃:
좃(低頭平身)-+-(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조아리어.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본형을 토대로 ‘ㄷ, (ㅅ), ㅊ’을 제외한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ㅅ’이 되는 것을 설명하고, 또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올 때에는 ‘ㅸ’이 ‘ㅂ’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ㄷ, (ㅅ), ㅊ’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형태 교체를 자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ㅅ’ 어간 뒤에서는 ‘--’이 쓰이기도 하였고, ‘좃고’와 같이 ’--’이 쓰이기도 하였다. ‘ㅅ’을 괄호 속에 보인 것은 이를 고려한 것이다.
禮數 허믈 주003)
허믈:
잘못. 결함.
뉘으처 주004)
뉘으처:
뉘읓[悔]-+-어(연결 어미). 뉘우쳐.
제 외요다 야 世尊하 우리히 녜 너교 내 마 주005)
마:
이미.

월인석보 15:22ㄱ

竟滅度
주006)
구경멸도(究竟滅度):
불교의 최고의 이상. 즉 모든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하고, 진리를 궁구하여 미(迷)한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경지.
 得호라 다니 이제 알와다 주007)
알와다:
알[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아(완료 선어말 어미)-+-이(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알았습니다. ‘-아-’는 어말 어미가 선어말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智慧 업슨 사 다다 엇뎨어뇨 란 우리히 如來ㅅ 智慧 得리어늘 곧 제 져근 智慧로 足히 너기다다【뉘으처 외요다 호 녜 그르단 이 뉘읏고 이제 得혼 이 慶賀니라 如來ㅅ 智慧 곧 一切種

월인석보 15:22ㄴ

주008)
일체종지(一切種智):
부처님의 지혜. 저절로 생긴 지혜라고 하여 자연지(自然智)라고도 하고, 스승이 없이 안 지혜라고 하여 무사지(無師智)라고도 함.
라 우리히 得리어늘 일 아디 몯호 뉘으츠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5백 비구가 의주유로 수기받은 기쁨을 표현함 1]
그때 오백 아라한 부처님 앞에서 수기(受記)를 득하옵고 기쁨에 넘쳐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 가서 머리 조아려 경건히 예를 표하고 잘못을 뉘우쳐 제가(저희들이) 잘못하였습니다 하고, 세존이시여 우리들이 항상 생각하기를 내가 이미 구경 멸도(究竟滅度)를 득하였다 했던 것인데, 이제야 알았습니다. 지혜 없는 사람 같았었습니다. 왜냐하면, 가령 우리들이 여래의 지혜를 득하올 것이거늘 곧(잘못) 저희 적은 지혜를 만족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뉘우쳐 잘못하였습니다 함은 예전의 잘못하던 일을 뉘우치고 이제 득한 일을 경하(慶賀)한 것이다. 여래의 지혜는 곧 일체 종지(一切種智)라 저희들이 득할 것인데도, 〈그것을〉 일찍 알지 못한 것을 뉘우친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수기(受記):부처가 된다는 예언을 받음. 수기(授記), 수결(手決)이라고도 한다.
주002)
좃:좃(低頭平身)-+-(화자 겸양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조아리어. 선어말 어미 ‘--’에 대해서는 기본형을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본형을 토대로 ‘ㄷ, (ㅅ), ㅊ’을 제외한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ㅅ’이 되는 것을 설명하고, 또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올 때에는 ‘ㅸ’이 ‘ㅂ’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ㄷ, (ㅅ), ㅊ’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ㅿ’이 ‘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형태 교체를 자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기본형을 ‘--’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ㅅ’ 어간 뒤에서는 ‘--’이 쓰이기도 하였고, ‘좃고’와 같이 ’--’이 쓰이기도 하였다. ‘ㅅ’을 괄호 속에 보인 것은 이를 고려한 것이다.
주003)
허믈:잘못. 결함.
주004)
뉘으처:뉘읓[悔]-+-어(연결 어미). 뉘우쳐.
주005)
마:이미.
주006)
구경멸도(究竟滅度):불교의 최고의 이상. 즉 모든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하고, 진리를 궁구하여 미(迷)한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경지.
주007)
알와다:알[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아(완료 선어말 어미)-+-이(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알았습니다. ‘-아-’는 어말 어미가 선어말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08)
일체종지(一切種智):부처님의 지혜. 저절로 생긴 지혜라고 하여 자연지(自然智)라고도 하고, 스승이 없이 안 지혜라고 하여 무사지(無師智)라고도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