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5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5
  • 5백 비구가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①
  • 5백 비구가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메뉴닫기 메뉴열기

5백 비구가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5백 비구가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그 千二百 阿羅

월인석보 15:18ㄴ

漢  自在니 너교 우리히 歡喜야 아래 잇디 아니 이 得호니 다가 世尊이 各各 記 심기샤 녀나 大弟子 게 시면 아니 훤려 주001)
훤려:
훤[愉快]-+-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어(의문 어미). 유쾌하겠느냐? 시원하겠느냐?
부톄 이 사  주002)
염(念):
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對境)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아니하는 정신. 과거 일을 기억할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행하여서 마음으로 객관 대상을 분별할 때에 반드시 존재한다.
을 아시고 摩訶迦葉려 니샤 이

월인석보 15:19ㄱ

千二百 阿羅漢 내 이제 現前 주003)
현전(現前):
눈앞.
次第 주004)
차례(次第):
차례.
로 阿耨多羅三藐三菩提 記 주어 심기노라 주005)
심기노라:
전하노라.
迦葉이 한 사게 上首 니시니라】 이 한 사 中에 내 큰 弟子 憍陳如 주006)
교진여(憍陳如):
오비구(五比丘)의 하나. 아야교진여(阿若憍陳如). 또는 교진(憍陳)이라고도 함. 아야(阿若)는 잘 알았다는 의미로 최초에 부처님의 교화를 받고 잘 안 사람임을 표현하는 것. 세존이 성도하신 후, 녹야원에서 사체법(四諦法) 말함을 듣고 먼저 불제자가 된 사람.
比丘ㅣ 六萬二千億佛을 供養

월인석보 15:19ㄴ

 後에 부톄 외야 號 普明 주007)
보명(普明):
부처님의 호(號)의 하나인 보명여래(普明如來). 항상 큰 광명(光明)을 펴서 일체가 공경(恭敬)할 바이고, 늘 무상도(無上道)를 말하므로 호(號)가 보명(普明)임.
如來 주008)
여래(如來):
진리의 체현자(體現者). 열반(涅槃)에 다다른 자를 말한다. 위에서는 법명여래(法明如來)라 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법명’을 부처님의 호로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應供 주009)
응공(應供):
세상의 공양과 존경을 받을 만한 자를 말한다. ‘아라한’이라고도 한다.
正遍知 주010)
정변지(正遍知):
두루 널리 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자. 이를 달리는 무상정등각자(無上正等覺者), 정등각자(正等覺者)라고도 한다.
明行足 주011)
명행족(明行足):
지(知)와 행(行)이 완전한 자.
善逝 주012)
선서(善逝):
휼륭하게 완성한 자.
世間解 주013)
세간해(世間解):
세간, 즉 세상을 완전히 이해한 자.
無上士 주014)
무상사(無上士):
위로는 더 이상 없는 최상의 인간.
調御丈夫 주015)
조어장부(調御丈夫):
사람을 조어(調御)하는 데 있어서 훌륭한 능력을 가진 자.
天人師 주016)
천인사(天人師):
하늘과 인간의 큰 스승.
佛世尊 주017)
불세존(佛世尊):
여래십호(如來十號) 중 열 번째 호로서, 온갖 공덕을 갖추어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을 이름. ‘박가범(薄伽梵)’이라고도 한다.
이리라憍陳이  처믜 得度 주018)
득도(得度):
생사의 고해를 건너 이상향인 열반에 이르는 것. 도(度)는 범어 바라밀(波羅蜜)을 번역한 말이니, 곧 바라밀을 얻는 것을 득도라 함.
야 한 사 머리 욀 各別히 記시니라 號 普明이라 호 주019)
게(偈):
게(偈)는 말을 글로 지어 하는 것인데, 시(詩)의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미하고 교리를 서술한 것. 가타(伽陁)라고도 함. ¶ 偈 마 글 지 니 씨라 (게는 말을 글로 지어 이르는 것이다.) 〈월석 2:75ㄴ~76ㄴ〉. 梵語에 偈 긄 句라 (범어에 게는 글의 구이다.) 〈능엄 5:9〉.
예 니샤 녜 큰 光明

월인석보 15:20ㄱ

을 펴 一切의 恭敬 배라 시며  니샤 녜 無上道 니 그럴 號 普明이라 시니 智慧明으로 迷惑 주020)
미혹(迷惑)고 어득호 야 려:
미혹하고 어득함을 처리하여 버려. 미혹하고 어두움을 없애 버려.
어득호 주021)
어득호:
어득[暗]-+-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보이는 것이나 들리는 것이 매우 희미하고 먼 것을. ‘-옴’은 ‘-오/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야 려 너비 衆生히 法性을  주022)
:
꿰뚫어. 투철하게. 사무치게.
기 알에 호 니시니 곧 이제 世間애 住 應眞 주023)
응진(應眞):
아라한(阿羅漢)을 번역한 말. 공양(供養) 받음이 마땅한 진실(眞實)한 사람. 존경받을 만한 사람. 진리에 응한 사람. 응(應)은 마땅한 것이란 말임. ¶ 應은 맛 씨니 應眞 供養 바도미 맛 眞實ㅅ 사미라 (응(應)은 마땅하다는 것이니 응진은 공양 받음이 마땅한 진실한 사람이다.) 〈월석 10:22ㄱ〉.
엣 머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5백 비구가 미래 작불의 수기를 받음 1]
그때 천이백 아라한(阿羅漢)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되어 생각하되, 우리들이 기쁘기 한이 없게 과거에 있지 않은 일을 얻으니, 만일 세존이 각각 부처가 되리라는 예언 전하시되 다른 큰 제자들을 같이 하시면 안 유쾌하겠느냐? 부처님이 이 사람들의 마음 속 생각을 아시고 마하가섭(摩訶迦葉)에게 이르시되, 이 천이백 아라한을 내가 이제 눈앞에 차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될 예언을 주어 전하노라.가섭(迦葉)이 많은 사람보다 상위자이므로 이르신 것이다.】 이 많은 사람 가운데 나의 큰 제자 교진여(憍陳如) 비구가 육만이천억 불을 공양한 후에 부처님 되어 호(號)를 보명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세존이라 할 것이다.교진(憍陳)이 맨 처음에 득도하여 많은 사람의 머리되었기 때문에 각별히 예언하신 것이다. 호(號)를 보명(普明)이라 함은 게(偈)에 이르시되, 항상 큰 광명을 펴 일체 〈중생〉이 공경할 바이라 하시며 또 이르시되 항상 무상도(無上道)를 이르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호(號)를 보명(普明)이라 하시니, 지혜(智慧)의 밝음으로 미혹하고 어두움을 없애 버려 널리 중생들의 법성(法性)을 꿰뚫어 밝게 알게 함을 이르시니 곧 이제 세간에 머문 응진 중의 머리다.】
Ⓒ 역자 | 임홍빈 / 2010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훤려:훤[愉快]-+-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어(의문 어미). 유쾌하겠느냐? 시원하겠느냐?
주002)
염(念):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對境)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아니하는 정신. 과거 일을 기억할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행하여서 마음으로 객관 대상을 분별할 때에 반드시 존재한다.
주003)
현전(現前):눈앞.
주004)
차례(次第):차례.
주005)
심기노라:전하노라.
주006)
교진여(憍陳如):오비구(五比丘)의 하나. 아야교진여(阿若憍陳如). 또는 교진(憍陳)이라고도 함. 아야(阿若)는 잘 알았다는 의미로 최초에 부처님의 교화를 받고 잘 안 사람임을 표현하는 것. 세존이 성도하신 후, 녹야원에서 사체법(四諦法) 말함을 듣고 먼저 불제자가 된 사람.
주007)
보명(普明):부처님의 호(號)의 하나인 보명여래(普明如來). 항상 큰 광명(光明)을 펴서 일체가 공경(恭敬)할 바이고, 늘 무상도(無上道)를 말하므로 호(號)가 보명(普明)임.
주008)
여래(如來):진리의 체현자(體現者). 열반(涅槃)에 다다른 자를 말한다. 위에서는 법명여래(法明如來)라 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법명’을 부처님의 호로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주009)
응공(應供):세상의 공양과 존경을 받을 만한 자를 말한다. ‘아라한’이라고도 한다.
주010)
정변지(正遍知):두루 널리 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자. 이를 달리는 무상정등각자(無上正等覺者), 정등각자(正等覺者)라고도 한다.
주011)
명행족(明行足):지(知)와 행(行)이 완전한 자.
주012)
선서(善逝):휼륭하게 완성한 자.
주013)
세간해(世間解):세간, 즉 세상을 완전히 이해한 자.
주014)
무상사(無上士):위로는 더 이상 없는 최상의 인간.
주015)
조어장부(調御丈夫):사람을 조어(調御)하는 데 있어서 훌륭한 능력을 가진 자.
주016)
천인사(天人師):하늘과 인간의 큰 스승.
주017)
불세존(佛世尊):여래십호(如來十號) 중 열 번째 호로서, 온갖 공덕을 갖추어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을 이름. ‘박가범(薄伽梵)’이라고도 한다.
주018)
득도(得度):생사의 고해를 건너 이상향인 열반에 이르는 것. 도(度)는 범어 바라밀(波羅蜜)을 번역한 말이니, 곧 바라밀을 얻는 것을 득도라 함.
주019)
게(偈):게(偈)는 말을 글로 지어 하는 것인데, 시(詩)의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미하고 교리를 서술한 것. 가타(伽陁)라고도 함. ¶ 偈 마 글 지 니 씨라 (게는 말을 글로 지어 이르는 것이다.) 〈월석 2:75ㄴ~76ㄴ〉. 梵語에 偈 긄 句라 (범어에 게는 글의 구이다.) 〈능엄 5:9〉.
주020)
미혹(迷惑)고 어득호 야 려:미혹하고 어득함을 처리하여 버려. 미혹하고 어두움을 없애 버려.
주021)
어득호:어득[暗]-+-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보이는 것이나 들리는 것이 매우 희미하고 먼 것을. ‘-옴’은 ‘-오/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22)
:꿰뚫어. 투철하게. 사무치게.
주023)
응진(應眞):아라한(阿羅漢)을 번역한 말. 공양(供養) 받음이 마땅한 진실(眞實)한 사람. 존경받을 만한 사람. 진리에 응한 사람. 응(應)은 마땅한 것이란 말임. ¶ 應은 맛 씨니 應眞 供養 바도미 맛 眞實ㅅ 사미라 (응(應)은 마땅하다는 것이니 응진은 공양 받음이 마땅한 진실한 사람이다.) 〈월석 10:22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