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2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2]
그 雲雷音宿王 華智佛

석보상절 21:43ㄱ

四衆려 주001)
사중(四衆)려:
사중(四衆)에게. 사중(catuṣ-pariṣad)은 교단을 구성하는 네 무리로 출가의 두 무리인 비구(比丘)와 비구니(比丘尼), 재가의 두 무리인 우바새(優婆塞)와 우바이(優婆夷)를 말함. 비구와 비구니는 각각 남자와 여자의 출가자로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스님이고, 우바새와 우바이는 각각 남자와 여자의 재가 신자로서 삼보에 귀의하여 오계를 받은 자임.
니샤 너희히 이 妙莊嚴王이 내 알 合掌야 솃 주002)
솃:
서 있는. 셔-[立]+어/아(보조적 연결어미)#잇-[在]+(관형사형어미). ¶耶輸ㅅ 알 가 셔니〈석상 6:3ㄱ〉.
주를 보다 몯 보다 이 王이 내 法 中에 比丘ㅣ 외야 助佛道法을 브즈러니 주003)
브즈러니:
부지런히.
닷며 니겨 주004)
니겨:
익혀. 닉-[習]+이/ㅣ(사동접미사)+아/어~야/여(연결어미). ¶習 니길 씨라〈훈언 3ㄱ〉. 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을 닷가 니겨 이제 너희게 付囑노니〈월석 18:15ㄴ〉.
부톄 외야 號ㅣ 娑羅樹王이오 나랏 일후믄 大光이오 劫 일후믄 大高王

석보상절 21:43ㄴ

이리니 娑羅樹王佛이 그지 업슨 菩薩衆과 그지 업슨 聲聞을 두며 그 나라히 平正야 功德이 이러리라 주005)
이러리라:
이럴 것이다. 이러-[如此](거-평-거, 형용사)+(/으)리(추측의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正法은 四十 小劫을 住코 像法도  그러리라〈법화 3:80ㄴ〉.
야시 주006)
야시:
하시거늘. -+아/어/야(확인의 선어말어미)+(/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연결어미).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교체되지만 ‘-’ 뒤에서만은 형태론적 이형태인 ‘야’로 변동됨. ¶부톄 成道야시 梵天이 轉法쇼셔 請〈석상 6:18ㄱ〉.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84ㄴ

그제 雲雷音宿王華智佛이 四衆려

월인석보 19:85ㄱ

니샤 너희 이 妙莊嚴王이 내 알 合掌야 솃  보다 몯 보다 이 王이 내 法 中에 比丘ㅣ 외야 助佛道法을 精勤야 닷가 니겨 다 부톄 외야 號〔ㅣ〕 娑羅樹王〔이〕〔오〕 〔나〕〔랏〕 〔일〕〔후〕〔믄〕 〔大〕光이오 劫

월인석보 19:85ㄴ

〔ㅅ〕 〔일〕〔후〕〔믄〕 〔大〕〔高〕王이리니 그 娑羅樹王佛이 無量 菩薩衆과 無量 聲聞을 두고 그 나라히 平正야 功德이 이 리라【佛號 羣生 너비 두푸믈 取시고 나랏 일후믄 여러 가짓 邪暗 허로믈 取시고 劫 일후믄 여러 가짓 貴코 노포매 걷내요 取시니 다 因行애 마

월인석보 19:86ㄱ

니라  念 조히 信호로 臣妾을 風化야 다 法利 得게 샤미 너비 둡논 行이며 邪 야리 行이라 일로브터 王位 리고 佛位 得샤미 여러 가짓 貴高 걷내샤미라】

〔7:142ㄴ〕二十一佛與授記
〔법화경〕 時예 雲雷音宿王華智佛이 告四衆言샤 汝等이 見是妙莊嚴王이 於我前에 合掌立〔7:143ㄱ〕가 不아 此王이 於我法中에 作比丘야 精勤修習助佛道法야 當得作佛야 號ㅣ 娑羅樹王이리니 國名은 大光이오 劫名은 大高王이리라 其娑羅樹王佛이 有無量菩薩衆과 及無量聲聞고 其國이 平正야 功德이 如是리라

〔법화경언해〕○그 雲雷音宿王華智佛이 四衆려 니샤 너희 이 妙莊嚴王이 내 알 合掌야 솃거늘 보다 몯 보다 이 王이 내 法 中에 比丘ㅣ 외야 佛道 돕 法을 精히 브즈러니 닷가 니겨 반기 부톄 외야 號ㅣ 娑羅樹王이리니 〔7:143ㄴ〕나랏 일후믄 大光이오 劫 일후믄 大高王이리라 그 娑羅樹王佛이 無量 菩薩衆과  無量 聲聞을 두고 그 나라히 平正야 功德이 이 리라

〔계환해〕佛號 取廣蔭群生시고 國名은 取破諸邪暗시고 劫名은 取超諸貴高시니 皆符其因行시니 以一念淨信으로 風化臣妾샤 使皆得法利시니 即廣蔭行이시며 破邪行也ㅣ라 由是로 捨王位시고 得佛位시니 即超諸貴高也ㅣ라

〔계환해언해〕○佛號 群生 너비 두프샤 取시고 〔7:144ㄱ〕나랏 일후믄 여러 가짓 邪暗 허르샤 取시고 劫名은 여러 가짓 貴高애 솟나샤 取시니 다 그 因行애 마시니 一念 淨信으로 臣妾을 風化샤 다 法利 得게 시니 곧 너비 두프신 行이시며 邪 허르신 行이시니라 일로브터 王位 리시고 佛位 得시니 곧 여러 貴高애 솟나샤미라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2]
그때 운뢰음숙왕화지불이 사중(四衆)에게 말씀하시되, “너희들이 이 묘장엄왕이 내 앞에 합장하여 서 있는 줄을 보느냐? 보지 못하느냐? 이 왕이 내 법 중에 비구가 되어 조불도법(助佛道法)을 부지런히 닦으며 익혀 부처가 되어 이름이 사라수왕(娑羅樹王)이고, 나라의 이름은 대광(大光)이고, 겁(劫) 이름은 대고왕(大高王)이니, 그 사라수왕불이 끝없는 보살의 무리와 끝없는 성문을 가지며, 그 나라가 평정(平正)하여 공덕이 이러할 것이다”라고 하시거늘,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중(四衆)려:사중(四衆)에게. 사중(catuṣ-pariṣad)은 교단을 구성하는 네 무리로 출가의 두 무리인 비구(比丘)와 비구니(比丘尼), 재가의 두 무리인 우바새(優婆塞)와 우바이(優婆夷)를 말함. 비구와 비구니는 각각 남자와 여자의 출가자로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스님이고, 우바새와 우바이는 각각 남자와 여자의 재가 신자로서 삼보에 귀의하여 오계를 받은 자임.
주002)
솃:서 있는. 셔-[立]+어/아(보조적 연결어미)#잇-[在]+(관형사형어미). ¶耶輸ㅅ 알 가 셔니〈석상 6:3ㄱ〉.
주003)
브즈러니:부지런히.
주004)
니겨:익혀. 닉-[習]+이/ㅣ(사동접미사)+아/어~야/여(연결어미). ¶習 니길 씨라〈훈언 3ㄱ〉. 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을 닷가 니겨 이제 너희게 付囑노니〈월석 18:15ㄴ〉.
주005)
이러리라:이럴 것이다. 이러-[如此](거-평-거, 형용사)+(/으)리(추측의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正法은 四十 小劫을 住코 像法도  그러리라〈법화 3:80ㄴ〉.
주006)
야시:하시거늘. -+아/어/야(확인의 선어말어미)+(/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연결어미).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교체되지만 ‘-’ 뒤에서만은 형태론적 이형태인 ‘야’로 변동됨. ¶부톄 成道야시 梵天이 轉法쇼셔 請〈석상 6:18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