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8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8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8]
어마니미 아려 닐오 너희히 네 아바니 분별야 주001)
분별야:
염려하여. 걱정하여. 分別-+아/어/야(연결어미). ‘분별’은 ‘①걱정, 근심. ②분간. ③놀램’의 뜻으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염려, 걱정’의 뜻으로 쓰였음. ‘분별’은 당시의 한자음이 정음 표기로 쓰인 것임. 〈월석〉과 〈법화〉는 ‘시름야 念야’로 언해되었음. ¶夫人이  나랏 이 분별야 노니〈월석 2:6ㄱ〉.
神奇 變化 뵈야 리라 보시면 미 다 주002)
다:
마땅이. 반드시. 응당. 다(평-평-평, 부사). ¶부텨옷 보면 다 得道 리 리니〈석상 6:40ㄴ〉.
淸淨야 우리 부텻긔 가 주003)
가:
감을. 가-[去]+(오/우)ㅁ(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명사형어미 ‘(오/우)ㅁ’의 ‘오/우’는 어간 모음이 ‘ㅏ,ㅓ,ㅗ,ㅜ’인 경우, ‘오/우’ 형태는 들어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 변동됨.
드르시리라 주004)
드르시리라:
들을 것이다. 듣-[聞]+(/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리(추측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閻浮提예 려와 닐오 如來 아니 오라 涅槃애 드르시리라〈월석 21:200ㄴ〉.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77ㄱ

어미 아려 닐오 너희 네 아바니 시름야 念야 爲야 神變 나토라 다가 보면 미 다 淸淨야 시혹 우리 부텻긔 가 드르리라

〔7:133ㄱ〕八淨德再勉
〔법화경〕 母ㅣ 告子言호 汝等이 當憂念汝父야 爲現神變라 若得見者ㅣ이면 心必清淨야 或聽我等의 往至所리라

〔법화경언해〕○어미 아려 닐오 너희 반기 네 아바니믈 시름야 念야 爲야 神變 나토라 다가 보면 미 반기 淸淨야 시혹 우리의 부텻게 가 드르리라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8]
어머님이 아들에게 말씀하시되, “너희들이 너희 아버님을 염려하여 기이한 변화를 보여야 할 것이다. 〈아버님이〉 보시면 마음이 당연히 청정해져 우리들이 부처님께 감을 들으실 것이다.”라고 하셨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분별야:염려하여. 걱정하여. 分別-+아/어/야(연결어미). ‘분별’은 ‘①걱정, 근심. ②분간. ③놀램’의 뜻으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염려, 걱정’의 뜻으로 쓰였음. ‘분별’은 당시의 한자음이 정음 표기로 쓰인 것임. 〈월석〉과 〈법화〉는 ‘시름야 念야’로 언해되었음. ¶夫人이  나랏 이 분별야 노니〈월석 2:6ㄱ〉.
주002)
다:마땅이. 반드시. 응당. 다(평-평-평, 부사). ¶부텨옷 보면 다 得道 리 리니〈석상 6:40ㄴ〉.
주003)
가:감을. 가-[去]+(오/우)ㅁ(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명사형어미 ‘(오/우)ㅁ’의 ‘오/우’는 어간 모음이 ‘ㅏ,ㅓ,ㅗ,ㅜ’인 경우, ‘오/우’ 형태는 들어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 변동됨.
주004)
드르시리라:들을 것이다. 듣-[聞]+(/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리(추측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閻浮提예 려와 닐오 如來 아니 오라 涅槃애 드르시리라〈월석 21:200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