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2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2]
妙音觀世音梵音海潮音이 世間音에셔 더으니 이럴 모로매 녜 念야 念念에 疑心 내디 마라 리라 【潮 밀므리라 觀音

석보상절 21:16ㄱ

뎌기 妙音에셔 다디 아니시니 能히 妙로셔 너브실 두 가짓 號ㅣ 兼시니 說法을 거티디 주001)
거티디:
걸리지. 걸려 넘어지지. 걷-[卷]+히(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거티-’는 ‘걷-’의 피동사이나 ‘거티-[蹶]’로 볼 가능성도 있음. ¶잘 건    놀라  볘  앏 거티  아귀 센  고개 므른 〈번노 하:8ㄴ-10ㄱ〉. 옷 헤여디게 말며 발 거티디 말며〈소학 2:60ㄱ〉.
아니샤미 妙音이시고
주002)
설법(說法)을 거티디 아니샤미 묘음(妙音)이시고:
설법에 걸리지 않으심이 묘음(妙音)이시고. 해당 원문은 ‘以說法不滯로 爲妙音이시고’임. 〈월석〉의 언해는 ‘說法이 걸인  업스샤 妙音이시고’이고, 〈법화〉의 언해는 ‘說法을 걸이디 아니샤로 妙音이시고’임.
소리 조차 受苦 救샤미 觀音이시고 音ㅅ 性이 브티 주003)
브티:
드러붙게 된. 브티-[著]+(/으)ㄴ(관형사형어미). ‘브티’는 원래 ‘븥-[著]’과 피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어간임. ¶著 브티 씨라〈석상 13:23ㄴ〉. 諸著 여러 가짓 브티 거시니 굴그면 六塵엣 業이오 혀그면 二乘法이라〈석상 13:38ㄴ〉. 〈참조〉 樹神이 가지 구핀대 太子ㅣ 야 나거시〈석상 3:41ㄱ〉. 네 이제 모 衆生과    제 性 삼논 거시오〈능엄 1:81ㄱ〉.
 업스샤미 梵音이시고
주004)
음(音)ㅅ 성(性)이 브티  업스샤미 범음(梵音)이시고:
소리의 성(性)이 들러붙은 데 없으심이 범음(梵音)이시고. 해당 원문은 ‘音性에 無著으로 爲梵音이시고’임. 〈월석〉의 언해는 ‘音性이 著 업스샤 梵音이시고’이고, 〈법화〉의 언해는 ‘音性에 著 업스샤로 梵音이시고’임.
맛샤 주005)
맛샤:
응함을. 맛-[應]+(/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ㅁ(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선어말어미 ‘-시-’는 ‘-오/우-’와 결합할 때 ‘샤’로 변동됨. ¶應은 맛 씨니 〈월석 9:10ㄱ〉. 어루 보미 相이오 相ㅅ 미티 性이오 얼굴 조미 體오 利히 미 力이오 간 니로미 作이오 비르소미 因이오 因 돕니 緣이오 緣 니그니 果ㅣ오 果 맛니 報ㅣ오 처 내이 本末이오 다로미 究竟이니〈법화 1:148ㄴ〉. 頌이 긴 주를 맛시니 어루 기리라〈법화 3:63ㄱ〉.
時節 일티 아니샤미 潮音이시니
주006)
맛샤 시절(時節) 일티 아니샤미 조음(潮音)이시니:
응함을 때를 잃지 않으심이 조음(潮音)이시니. 해당 원문은 ‘應不失時로 爲潮音이시고’임. 〈월석〉의 언해는 ‘應호 時節 일티 아니샤 潮音이시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應샤 時節 일티 아니샤로 潮音이시니’임.
이 世間音에셔 더으샨 주007)
더으샨:
더하신. 더 나은. 더으-[益]+(/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 ¶왼녀긔  點뎜을 더으면  노 소리오〈훈언 13ㄴ〉.
주리라 이 한 德이 실 모로매 녜 念디니라 주008)
념(念) 디니라: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念-+//(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대상의 선어말어미)+(/으)ㄹㆆ(관형사형어미) (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으)니(원칙의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선어말어미). ‘-//-’에 대해서는 ‘향(向)〈1ㄱ〉’ 항목 참조. 관형사형 ‘ㄹㆆ’은 『월인석보』까지 쓰이고 『능엄경언해』 등 간경도감 언해본부터는 ‘ㄹ’로 표기되는 경향이 있음. ¶須達이 그 말 듣고 더욱 깃거 다시 라 世尊 念니 누니 도로 거늘〈석상 6:20ㄱ〉. 中品은 아 디니라〈월석 25:55ㄱ〉.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49ㄱ

妙音觀世音梵音海潮音【潮 밀므리라】 뎌 世間音에셔 더을 이럴 모로매 녜 念야 念念에 疑心 내디 마 디니라觀音ㅅ 行이 妙音에셔 다디 아니샤 能히 妙 從

월인석보 19:49ㄴ

야셔 너브실 두 號 兼시니 說法이 걸인  업스샤 妙音이시고 소리 미조차 受苦 救샤 觀音이시고 音性이 著 업스샤 梵音이시고 應호 時節 일티 아니샤 潮音이시니 이 世間音에셔 더으샨 고디라 이 衆德이 실 모로매 녜 念야  아니며 疑心 아니면 觀行智力이 서르 應티 아니호미 업스리라】

〔7:97ㄱ〕七頌名勸念
〔법화경〕 妙音觀世音梵音海潮音이 勝彼世間音니 是故로 須常念야 〔7:97ㄴ〕念念에 勿生疑니라

〔법화경언해〕○妙音觀世音梵音海潮音이 뎌 世間音에 더으니 이런로 모로매 녜 念야 念念에 疑心 내디 마롤 띠니라

〔계환해〕觀音之行이 不異妙音샤 由能從妙而普실 故로 兼二號시니라 以說法不滯로 爲妙音이시고 尋聲救苦로 爲觀音이시고 音性에 無著으로 爲梵音이시고 應不失時로 爲〔7:98ㄱ〕潮音이시고 此ㅣ 所以勝世間音也ㅣ시니라 具是衆德실 故로 須常念와 不間不疑오면 則觀行智力이 無不相應矣시리라

〔계환해언해〕○觀音ㅅ 行이 妙音에 다디 아니샤 能히 妙 브터 너브신 다로 두 號 兼시니라 說法을 걸이디 아니샤로 妙音이시고 소릴 조샤 受苦 救샤로 觀音이시고 音性에 著 업스샤로 梵音이시고 應샤 時節 일티 아니샤로 潮音이시니 이 世間音에 더으샨 고디시니라 이 한 德이 실 모로매 녜 念와  업스며 疑心 아니오면 觀行智力이 서르 應〔7:98ㄴ〕티 아니샤미 업스시리라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2]
묘음(妙音)관세음(觀世音)범음(梵音)해조음(海潮音)이 세간의 소리보다 더 나으므로 이러므로 모름지기 항상 생각하여 생각할 때마다 의심을 내지 말아야 할 것이다.【조(潮)는 밀물이다. 관음보살의 행적이 묘음보살과 다르지 않으시니 능히 묘(妙)로서 넓으므로 두 가지의 이름을 겸하시니 설법에 걸리지 않으심이 묘음(妙音)이시고 소리를 좇아 고통을 구하심이 관음(觀音)이시고 소리의 성(性)이 드러붙은 데 없으심이 범음(梵音)이시고 응함에 때를 잃지 않으심이 조음(潮音)이시니 이것들이 세간의 소리보다 더 나은 것이다. 〈관세음보살은〉 이와 같은 많은 덕을 가졌으므로 모름지기 항상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거티디:걸리지. 걸려 넘어지지. 걷-[卷]+히(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거티-’는 ‘걷-’의 피동사이나 ‘거티-[蹶]’로 볼 가능성도 있음. ¶잘 건    놀라  볘  앏 거티  아귀 센  고개 므른 〈번노 하:8ㄴ-10ㄱ〉. 옷 헤여디게 말며 발 거티디 말며〈소학 2:60ㄱ〉.
주002)
설법(說法)을 거티디 아니샤미 묘음(妙音)이시고:설법에 걸리지 않으심이 묘음(妙音)이시고. 해당 원문은 ‘以說法不滯로 爲妙音이시고’임. 〈월석〉의 언해는 ‘說法이 걸인  업스샤 妙音이시고’이고, 〈법화〉의 언해는 ‘說法을 걸이디 아니샤로 妙音이시고’임.
주003)
브티:드러붙게 된. 브티-[著]+(/으)ㄴ(관형사형어미). ‘브티’는 원래 ‘븥-[著]’과 피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어간임. ¶著 브티 씨라〈석상 13:23ㄴ〉. 諸著 여러 가짓 브티 거시니 굴그면 六塵엣 業이오 혀그면 二乘法이라〈석상 13:38ㄴ〉. 〈참조〉 樹神이 가지 구핀대 太子ㅣ 야 나거시〈석상 3:41ㄱ〉. 네 이제 모 衆生과    제 性 삼논 거시오〈능엄 1:81ㄱ〉.
주004)
음(音)ㅅ 성(性)이 브티  업스샤미 범음(梵音)이시고:소리의 성(性)이 들러붙은 데 없으심이 범음(梵音)이시고. 해당 원문은 ‘音性에 無著으로 爲梵音이시고’임. 〈월석〉의 언해는 ‘音性이 著 업스샤 梵音이시고’이고, 〈법화〉의 언해는 ‘音性에 著 업스샤로 梵音이시고’임.
주005)
맛샤:응함을. 맛-[應]+(/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ㅁ(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선어말어미 ‘-시-’는 ‘-오/우-’와 결합할 때 ‘샤’로 변동됨. ¶應은 맛 씨니 〈월석 9:10ㄱ〉. 어루 보미 相이오 相ㅅ 미티 性이오 얼굴 조미 體오 利히 미 力이오 간 니로미 作이오 비르소미 因이오 因 돕니 緣이오 緣 니그니 果ㅣ오 果 맛니 報ㅣ오 처 내이 本末이오 다로미 究竟이니〈법화 1:148ㄴ〉. 頌이 긴 주를 맛시니 어루 기리라〈법화 3:63ㄱ〉.
주006)
맛샤 시절(時節) 일티 아니샤미 조음(潮音)이시니:응함을 때를 잃지 않으심이 조음(潮音)이시니. 해당 원문은 ‘應不失時로 爲潮音이시고’임. 〈월석〉의 언해는 ‘應호 時節 일티 아니샤 潮音이시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應샤 時節 일티 아니샤로 潮音이시니’임.
주007)
더으샨:더하신. 더 나은. 더으-[益]+(/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 ¶왼녀긔  點뎜을 더으면  노 소리오〈훈언 13ㄴ〉.
주008)
념(念) 디니라: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念-+//(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대상의 선어말어미)+(/으)ㄹㆆ(관형사형어미) (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으)니(원칙의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선어말어미). ‘-//-’에 대해서는 ‘향(向)〈1ㄱ〉’ 항목 참조. 관형사형 ‘ㄹㆆ’은 『월인석보』까지 쓰이고 『능엄경언해』 등 간경도감 언해본부터는 ‘ㄹ’로 표기되는 경향이 있음. ¶須達이 그 말 듣고 더욱 깃거 다시 라 世尊 念니 누니 도로 거늘〈석상 6:20ㄱ〉. 中品은 아 디니라〈월석 25:55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