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9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9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9]
이럴 너희 一心로 觀世音菩薩 供養야 리라 觀世音菩薩 摩訶薩두리며 주001)
두리며:
두려우며. 두립-[怖畏]+(/으)며(연결어미). ‘두리여’〈석상 21:5ㄴ〉 설명 참조. ¶여러 가짓 두리며 衰며 셜며 시름며〈월석 12:35ㄴ〉. (龍王)이 두리 (七寶) (平床) 노고 부텨하 (求)쇼셔〈월곡 상:70ㄱ〉.
어려 예 能히 無畏 주002)
무외(無畏):
vaiśāradya 불보살이 갖추고 있는 덕 중의 하나. 지혜를 갖춤으로써 중생에게 설법할 때 두려움을 갖지 않는 것. 그 내용에 따라 4종 무외, 6종 무외 등으로 분류하여 설명함.
布施 주003)
보시(布施):
dāna 다른 사람에게 물질 등을 베풀어 주는 것. 6바라밀의 하나. 보시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분류가 있다. 재(財)·법(法) 2종 보시를 비롯하여, 3, 4, 5, 6, 8종 등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 등으로 나누는 3종 보시가 가장 대표적임. 여러 가지 보시행들은 보살이라면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덕목이다. 보시할 때 중요한 점은 집착함이 없어야 하며, 청정한 것을 베풀어야 하며, 보시물에 기준을 두지 말고 베푸는 마음에 기준을 두어야 한다는 것 등임. 단나(檀那)라고도 함.
 娑婆

석보상절 21:14ㄴ

世界예셔 다 일후믈 施無畏者ㅣ라 니라 【施無畏者 無畏 布施시 사미시다 혼 디라】眞觀과 淸淨觀과 넙고 큰 智慧觀과 慈觀 녜 주004)
녜:
항상. 늘. 상례(常例).
울월오져 주005)
울월오져:
울월-[仰]+고져(원망의 연결어미). ‘-오져’는 어간 ‘ㄹ’음 아래서 ‘-고져’의 ‘ㄱ’이 약화된 ㅇ〔ɦ〕 표기임. ¶佛子 文殊아 모 疑心 決고라 四衆이 울워러 仁과 날와 보니〈석상 13:24ㄴ〉.
願디니  업슨 淸淨 비쳇 慧日이 한 어드믈 야려 주006)
야려:
헐어버려. 없애버려. 야리-[破](거-평-평-거)+어/아(연결어미). ¶二月ㅅ 보롬 나래 모딘 미 니러 집도 야리며 나모도 것거디며 地動며〈석상 23:22ㄱ〉. 破 야릴 씨라〈월석 1:월석서6ㄴ〉.
能히 災變엣 과 믈와

석보상절 21:15ㄱ

降服며 주007)
항복(降服)며:
항복하게 하며. 항복시키며. 항복-+이(사동접미사)+(/으)며(연결어미). ¶衆生 프귀만 너기니 엇던 德으로 降服려뇨〈석상 6:29ㄱ〉. 術法이 놉다  龍 降服면 外道 아니 조리〈월천 36ㄴ〉.
너비 가 世間 주008)
세간(世間):
loka 흘러가고 무너지는 것. 세(世)는 천류(遷流), 간(間)은 격별(隔別)을 뜻함. 2종의 세간으로 나누는데, 생물(生物)이 살고 있는 국토를 기세간(器世間)이라 하며, 6도(道)의 중생들이 살고 있는 곳을 중생(衆生) 세간이라 함.
비취니라 주009)
비취니라:
비추느니라. 비춘다. 비취-[照]+(현재시제 선어말어미)+(/으)니(원칙의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비취-’는 ‘비치다’의 의미와 ‘비추다’의 의미를 모두 가지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여기서는 타동사적 용법으로 쓰였음. ¶太子ㅣ 바 王宮에 드르시니 光明이 두루 비취더시니〈석상 3:21ㄱ〉. 眉間앳 光明이 東方 비취샤〈석상 13:16ㄴ〉.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38ㄴ

이럴 너희히 一心로 觀世音菩薩 供養야

월인석보 19:39ㄱ

 리니 이 觀世音菩薩摩訶薩이 저픈 時急 어려 예 能히 無畏 施니 이럴 이 娑婆世界 다 號 施無畏者ㅣ라 니라

월인석보 19:46ㄴ

월인석보 19:47ㄱ

觀 淸淨觀 廣大智慧觀 悲觀과 慈觀과 녜  울월오져 願 디니라觀音이 受苦 벗기샤 能히 無畏 施샤 얼굴 現샤 衆生 濟度샤미 다 다 觀 히미실 結야 나토시니라 眞로 妄 그치누르시고 淨으로 染을 다리시고 智로 惑 야리시고 悲로 苦 시고 慈로 樂 주샤 이 五觀로 羣

월인석보 19:47ㄴ

迷예 加被실 妄染惑苦ㅣ 念을 應야 滅니 그럴 녜 울워러 븓고져 願 디니 그러나 性이 本來 두려 거늘 迷 因야 妄 니왇니 惑染이 마 날 觀智 어즈러 펴시니 妄染이 업스면 眞淨이 셔디 아니리니 眞로 妄 그치누르시 일 다 聖人ㅅ 不得已신 이리라 그럴 楞嚴에 니샤 妄 닐어 眞 나토미 妄과 眞괘 가지로 두 妄이라 시니라】
無垢淸淨

월인석보 19:48ㄱ

光앳 慧日이 여러 어드믈 야리며 能히 災風火 굿블여 너비 기 世間 비취니【無垢慧日은 觀智體 讚歎시고 災 굿블이시며 너비 비취샤 觀智用 讚歎시니 災 굿블이샤 苦 벗교 니시고 너비 비취샤 얼굴 現호 니시니라】

〔7:80ㄴ〕五勸興供養
〔법화경〕 是故로 汝等이 應當一心으로 供養觀世音菩薩이니 是觀世音菩薩摩訶薩이 於怖畏急難之中에 能施無畏 是故로 此娑婆世界ㅣ 皆號之爲施無畏者ㅣ라니라

〔법화경언해〕○〔7:81ㄱ〕이런로 너희 반기 一心으로 觀世音菩薩을 供養홀 띠니 이 觀世音菩薩摩訶薩이 두리운 時急 어려운 中에 能히 無畏 施 이런로 이 娑婆世界 다 일훔호 施無畏者ㅣ라 니라

〔7:93ㄱ〕四結顯觀智
〔법화경〕 眞觀과 清淨觀과 廣大智慧觀과 悲觀과 及慈觀을 常願常瞻仰이니라

〔법화경언해〕○〔7:93ㄴ〕眞觀과 淸淨觀과 廣大 智慧觀과 悲觀과  慈觀을 녜  보아 울월오져 願홀 띠니라

〔계환해〕〔7:93ㄴ〕其所以觀音ㅅ 脫苦샤 能施無畏시며 現形度生샤미 皆五觀之力이실 故로 此애 結顯也시니라 眞은 以息妄이시고 淨은 以治染이시고 智 以破惑이시고 悲 以拔苦ㅣ시고 慈 以與樂이시고 以是五觀으로 加被群迷실 故로 妄染惑苦ㅣ 應念息滅니 所以常願仰而依之니라 然이나 性本圓澄커 因迷야 起妄며 惑染이 既生故로 觀智 繁設시니 苟無妄染면 則眞淨이 不立矣시리니 蓋以眞息妄等事 皆聖人ㅅ 不得已也ㅣ시니 故로 楞嚴에 曰샤 言妄야 顯諸眞면 妄眞이 同二妄이라시니라

〔계환해언해〕○〔7:94ㄱ〕觀音ㅅ 苦 벗기샤 能히 無畏施시며 얼굴 現샤 衆生 度脫샤미 다 五觀ㅅ 히미실 이 結야 나토시니라 眞은 妄 그치샤 시고 淨은 더러운 것 다리샤 시고 智 惑 허르샤 시고 悲 苦 〔7:94ㄴ〕샤 시고 慈 樂 주샤 시니 이 五觀으로 뭀 迷惑 니피실 妄染惑苦ㅣ 念을 應야 滅니 그런로 울워와 븓고져 녜 願홀 띠니라 그러나 性이 本來 두려이 거늘 迷 因야 妄 니르와며 惑染이 마 날 觀智 만히 시니 眞實로 妄染이 업스면 眞淨이 셔디 아니시리니 眞으로 妄 그츔햇 이 다 聖人ㅅ 不得已시니 그럴 楞嚴에 니샤 妄 닐어 眞을 나토면 妄眞이 두 妄 니라 시니라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9]
이러므로 너희가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을 공양하여야 할 것이다. 이 관세음보살마하살이 두려우며 어려운 때에 무외심을 능히 보시하므로 사바세계에서 다 이름을 시무외자(施無畏者)라 하느니라.시무외자(施無畏者)는 무외를 보시하시는 사람이시다고 하는 뜻이다.】 진관(眞觀)과 청정관(淸淨觀)과 넓고 큰 지혜관(智慧觀)과 비관(悲觀)과 자관(慈觀)을 항상 우러르고자 원할 것이니 번뇌 없는 청정한 빛을 가진 혜일(慧日)이 큰 어두움을 없애버려 재변(災變)의 바람과 불을 능히 항복시키며 널리 밝아 세간을 비추느니라.” 하셨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두리며:두려우며. 두립-[怖畏]+(/으)며(연결어미). ‘두리여’〈석상 21:5ㄴ〉 설명 참조. ¶여러 가짓 두리며 衰며 셜며 시름며〈월석 12:35ㄴ〉. (龍王)이 두리 (七寶) (平床) 노고 부텨하 (求)쇼셔〈월곡 상:70ㄱ〉.
주002)
무외(無畏):vaiśāradya 불보살이 갖추고 있는 덕 중의 하나. 지혜를 갖춤으로써 중생에게 설법할 때 두려움을 갖지 않는 것. 그 내용에 따라 4종 무외, 6종 무외 등으로 분류하여 설명함.
주003)
보시(布施):dāna 다른 사람에게 물질 등을 베풀어 주는 것. 6바라밀의 하나. 보시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분류가 있다. 재(財)·법(法) 2종 보시를 비롯하여, 3, 4, 5, 6, 8종 등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 등으로 나누는 3종 보시가 가장 대표적임. 여러 가지 보시행들은 보살이라면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덕목이다. 보시할 때 중요한 점은 집착함이 없어야 하며, 청정한 것을 베풀어야 하며, 보시물에 기준을 두지 말고 베푸는 마음에 기준을 두어야 한다는 것 등임. 단나(檀那)라고도 함.
주004)
녜:항상. 늘. 상례(常例).
주005)
울월오져:울월-[仰]+고져(원망의 연결어미). ‘-오져’는 어간 ‘ㄹ’음 아래서 ‘-고져’의 ‘ㄱ’이 약화된 ㅇ〔ɦ〕 표기임. ¶佛子 文殊아 모 疑心 決고라 四衆이 울워러 仁과 날와 보니〈석상 13:24ㄴ〉.
주006)
야려:헐어버려. 없애버려. 야리-[破](거-평-평-거)+어/아(연결어미). ¶二月ㅅ 보롬 나래 모딘 미 니러 집도 야리며 나모도 것거디며 地動며〈석상 23:22ㄱ〉. 破 야릴 씨라〈월석 1:월석서6ㄴ〉.
주007)
항복(降服)며:항복하게 하며. 항복시키며. 항복-+이(사동접미사)+(/으)며(연결어미). ¶衆生 프귀만 너기니 엇던 德으로 降服려뇨〈석상 6:29ㄱ〉. 術法이 놉다  龍 降服면 外道 아니 조리〈월천 36ㄴ〉.
주008)
세간(世間):loka 흘러가고 무너지는 것. 세(世)는 천류(遷流), 간(間)은 격별(隔別)을 뜻함. 2종의 세간으로 나누는데, 생물(生物)이 살고 있는 국토를 기세간(器世間)이라 하며, 6도(道)의 중생들이 살고 있는 곳을 중생(衆生) 세간이라 함.
주009)
비취니라:비추느니라. 비춘다. 비취-[照]+(현재시제 선어말어미)+(/으)니(원칙의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비취-’는 ‘비치다’의 의미와 ‘비추다’의 의미를 모두 가지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여기서는 타동사적 용법으로 쓰였음. ¶太子ㅣ 바 王宮에 드르시니 光明이 두루 비취더시니〈석상 3:21ㄱ〉. 眉間앳 光明이 東方 비취샤〈석상 13:16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