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1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11
  • 녹모부인의 공덕행(마야부인이 석가를 낳게 된 전생 인연)
  • 녹모부인의 공덕행(마야부인이 석가를 낳게 된 전생 인연)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녹모부인의 공덕행(마야부인이 석가를 낳게 된 전생 인연) 12


[녹모부인의 공덕행(마야부인이 석가를 낳게 된 전생 인연) 12]
阿難 주001)
:
아뢰되.
世尊摩耶夫人엇던 주002)
엇던:
어떤.
業을 지시곤대 주003)
지시곤(관)대:
지으셨기에.
畜生 中에 나시니고 주004)
나시니고:
나셨습니까?
부톄 니샤
디나건 주005)
디나건:
지난.
無量 阿僧祇 劫 時節에 毗婆尸如來像法 주006)
상법:
부처님 열도한 뒤 5백년의 정법(正法) 시기가 지난 뒤의 1천년 동안.
中에  나라히 주007)
나라히:
나라가.

석보상절 11:40ㄴ

이쇼 일후미 波羅㮈러니 주008)
-러니:
-(이)더니.
〔그〕 나라해 주009)
나라해:
나라에.
婆羅門 주010)
바라문:
인도 4성(姓)의 최고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 승려계급.
이 이쇼  님 주011)
님:
따님.
나코 그 아비 죽거늘 그 어미 이 니 기르더니 나히 주012)
나히:
나이.
라거시 주013)
라거시:
자라시거늘.
그 어미 이 니 東山 딕희오고 주014)
딕희오고:
지키게 하고.
스싀로 주015)
스싀로:
스스로.
가 밥 어더 스싀로 먹고 님 밥 보내요 주016)
보내요:
보냄을.
날마다 그리 다가  주017)
:
하루는.
 계록 주018)
 계록:
때가 지나도록(넘도록).
아니 받 주019)
받:
바치거늘.
그 니미 애라 주020)
애라:
애달아.

석보상절 11:41ㄱ

니샤
‘우리 어미 도 주021)
도:
짐승(만)도.
디 몯도다 주022)
몯도다:
못하도다.
내  본 주023)
본:
보니.
사도 삿기  골하 주024)
 골하:
배 곯아.
거든 매 닛디 주025)
닛디:
잊지.
몯다 주026)
몯다:
못한다.
더시니 이고 주027)
이고:
이윽고.
어미 밥 가져오나 주028)
오나:
오거늘.
머구려 주029)
머구려:
먹으려고.
시 예 주030)
예:
마디에. 때에.
 辟支佛이 南 녀그로셔 주031)
녀그로셔:
녘으로부터.
虛空애 라 디나가더니 그 니미 이 比丘 보고 깃거 주032)
깃거:
기뻐하여.
저고 주033)
저고:
절하(옵)고.
請야 조 주034)
조:
깨 끗한.
오 주035)
오:
깔고.

석보상절 11:41ㄴ

고 곳 주036)
고 곳:
고운 꽃.
것고 주037)
것고:
꺾고.
걋 주038)
걋:
자기의.
밥 더러 내야 比丘 주시니 比丘ㅣ 먹고 妙法 주039)
묘법:
미묘한 법문. 부처님 일대의 설교 전체.
닐어늘 주040)
닐어늘:
이르거늘.
그 니미 發願을 샤 주041)
샤:
하시되.
‘내 오 뉘예 賢聖을 맛나 주042)
맛나:
만나서.
禮數야 供養며 주043)
며:
하(오)며.
 주044)
:
모습이.
端正며 尊코 노 몸 외며 주045)
외며:
되며.
 저긔 주046)
 저긔:
움직일 때에.
蓮花ㅣ 바 받긔 주047)
바 받긔:
발을 떠받치게.
쇼셔 주048)
쇼셔:
하소서.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녹모부인의 공덕행(마야부인이 석가를 낳게 된 전생 인연) 12]
아난이가 아뢰되,
세존이시여, 마야부인은 어떤 업을 지으셨기에 축생으로 태어나셨던 것입니까?”
〈하니〉,
부처님이 말씀하시되,
“지난 무량 아승기 겁 시절비바시여래상법 중, 한 나라가 있었는데, 이름이 바라내였다. 그 나라에 한 바라문이 있었는데, 따님을 낳고 그 아비가 죽어서, 그 어미가 이 따님을 기르더니, 나이가 자라시니, 그 어미는 이 따님을 동산을 지키게 하고, 스스로 가서 밥을 얻어 스스로 먹고 따님께도 밥 보내기를 날마다 그리하다가, 하루는 끼니때가 지나도록 밥을 바치지 않기에 그 따님이 애달아서 이르시되,
‘우리 어머니는 짐승만도 같지 않다. 내가 짐승을 보니, 사슴도 새끼가 배곯아 하면 마음에 잊지 못한다.’
고 하셨다. 이윽고 어미가 밥을 가져 왔기에 먹으려 하시는데, 한 벽지불이 남녘으로부터 허공에 날아 〈올라〉 지나가더니, 그 따님이 이 비구를 보고 기뻐하여 절하고, 청해서 깨끗한 자리를 깔고 고운 꽃을 꺾어 꽂고 자기 밥을 덜어내어 비구께 주시니, 비구가 먹고 묘법을 이르거늘 그 따님이 발원을 하셨다.
‘내가 오는〈다음〉 세상에서 현성을 만나 예배하고 공양하며, 내 모습이 단정하고 높고 높은 몸이 되며, 움직일 때에는 연꽃이 발을 떠받치게 〈해〉 주소서.’”
Ⓒ 역자 | 김영배 / 1991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뢰되.
주002)
엇던:어떤.
주003)
지시곤(관)대:지으셨기에.
주004)
나시니고:나셨습니까?
주005)
디나건:지난.
주006)
상법:부처님 열도한 뒤 5백년의 정법(正法) 시기가 지난 뒤의 1천년 동안.
주007)
나라히:나라가.
주008)
-러니:-(이)더니.
주009)
나라해:나라에.
주010)
바라문:인도 4성(姓)의 최고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 승려계급.
주011)
님:따님.
주012)
나히:나이.
주013)
라거시:자라시거늘.
주014)
딕희오고:지키게 하고.
주015)
스싀로:스스로.
주016)
보내요:보냄을.
주017)
:하루는.
주018)
 계록:때가 지나도록(넘도록).
주019)
받:바치거늘.
주020)
애라:애달아.
주021)
도:짐승(만)도.
주022)
몯도다:못하도다.
주023)
본:보니.
주024)
 골하:배 곯아.
주025)
닛디:잊지.
주026)
몯다:못한다.
주027)
이고:이윽고.
주028)
오나:오거늘.
주029)
머구려:먹으려고.
주030)
예:마디에. 때에.
주031)
녀그로셔:녘으로부터.
주032)
깃거:기뻐하여.
주033)
저고:절하(옵)고.
주034)
조:깨 끗한.
주035)
오:깔고.
주036)
고 곳:고운 꽃.
주037)
것고:꺾고.
주038)
걋:자기의.
주039)
묘법:미묘한 법문. 부처님 일대의 설교 전체.
주040)
닐어늘:이르거늘.
주041)
샤:하시되.
주042)
맛나:만나서.
주043)
며:하(오)며.
주044)
:모습이.
주045)
외며:되며.
주046)
 저긔:움직일 때에.
주047)
바 받긔:발을 떠받치게.
주048)
쇼셔:하소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