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견초염빈(牽招斂殯)
메뉴닫기 메뉴열기

견초염빈(牽招斂殯)


오륜행실도 5:24ㄴ

牽招斂殯三國 魏 주001)
삼국 위(三國魏):
삼국시대 위나라. 『오륜』의 ‘삼국 위(三國魏)’는 『이륜』에서는 ‘위(魏)’만임.

오륜행실도 5:25ㄱ

牽招 觀津人 주002)
견초 관진인(牽招觀津人):
『오륜』의 ‘견초 관진인(牽招觀津人)’은 『이륜』에서는 ‘삼국위견초(三國魏牽招)’임.
年十餘歲 詣同縣樂隱 受學 後隱爲車騎將軍何苗長史 招隨卒業 値京都亂 苗隱見害 주003)
치경도난 묘은견해(値京都亂苗隱見害):
경도(京都)에 난리가 일어나 하묘와 악은이 해를 당하다. 『오륜』의 ‘경도(京都)’는 『이륜』에서는 ‘경사(京師)’임.
招與隱門生史路等 觸蹈鋒刃 共殯斂隱屍 送喪還歸 주004)
송상환귀(送喪還歸):
『오륜』의 ‘환귀(還歸)’는 『이륜』에서는 ‘귀환(歸還)’임.
道遇寇抄 주005)
도우구초(道遇寇抄):
『오륜』의 ‘초(抄)’는 『이륜』에서는 ‘초(鈔)’임.
路等皆悉散走 賊欲斫棺取釘 招垂淚請免 賊義之 乃釋而去 由此著名
當年從學 주006)
종학(從學):
남을 좇아 그에게 배움.(『표준』)
在髫稚 遇亂師亡最可悲 冒刃斂屍還舊里 蒼皇終不負吾師
道逢頑寇亂千戈 주007)
도봉완구란천과(道逢頑寇亂千戈):
길에서 완강한 적을 만나 칼날이 어지러운데. 『오륜』의 ‘봉(逢)’은 『이륜』에서는 ‘방(逄)’임.
史路先奔獨奈何 一村丹誠終感賊 斫棺凶禍不能加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견쵸 위나라 관진 사이니 나히 십여 셰에 

오륜행실도 5:25ㄴ

고을 잇 악은의게 가 호더니 후에 악은이 쟝군 하묘의 막해 되여 가거 견 조 가 내 주008)
내:
끝까지. 원문의 ‘졸업(卒業)’에서 ‘졸(卒)’을 언해한 것으로, “끝까지”에 가까운 의미로 쓰였다. 『오륜』에서 ‘내’는 대부분 (현대어의 ‘마침내’와 마찬가지로) “결국”의 의미로 쓰이지만, 이 예와 같이 “끝까지”를 뜻하는 용례도 간혹 발견된다. ¶효뷔 싀어미 봉양기 게얼니 아니여 내 가 이 업니〈1:7ㄱ〉. 내 만일 도라 가면 내 그로 혼자 예 잇게 아니리라〈5:7ㄴ〉. 『이륜』류에서는 현대어 ‘마저’의 소급형에 해당하는 ‘’로 번역하여 “끝까지”의 의미를 보다 뚜렷이 살렸다.
호더니 경셩에 난이 니러나 하묘와 악은이 다 죽거 견 악은의 뎨 로 등으로 더브러 칼날을 무롭고 주009)
무롭고:
무릅쓰고. 이 예의 어간 ‘무롭-’는 중세어의 ‘무루-’에 소급할 어형으로, ‘무루-’는 (“몽(蒙)”, “모(冒)”를 뜻하는) ‘*무룹-’(중세 문헌에서는 ‘무롭-’만이 문증된다.)과 (“재(載)”를 뜻하는) ‘스-’가 결합한 비통사적 복합 동사에 해당한다. 『오륜』 이전(의 중세어나 근대어)에는 ‘*무룹/무롭-’ 자체만으로도 ‘무루-’가 표현하는 “몽(蒙; 덮어쓰다)”과 “모(冒; 무릅쓰다)”의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표현할 수 있었다. ¶니블 무롭고 누어셔[蒙被而臥]〈소학언해 6:57ㄱ〉. ; 바 무롭고 자 가니[冒夜尋之]〈동신속(1617) 열3:21ㄴ〉. 『오륜』의 ‘무롭-’에도 이 두 가지 의미가 모두 확인되는데(“몽(蒙)”의, ‘니불을 무롭고 누어셔’〈3:21ㄴ〉), 여기서는 후자(“모(冒)”)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이곳의 ‘무롭-’를 이은) 현대어의 ‘무릅쓰-’는 후자 “모”의 의미로만 쓰일 뿐 전자 “몽”의 의미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드러가 악은의 죽엄을 념습고 발인여 도라 오다가 도적을 만나 다른 뎨들이 다 라나니 도적이 관을 쳐 모슬 히려 주010)
히려:
빼려. 이곳의 ‘히-’는 『오륜』의 다른 곳에 ‘히-’로 나타나기도 한다. ¶두 눈을 히고[矐其兩眸]〈3:63ㄱ〉. ‘히-’(내지 ‘히-’)는 중세어의 ‘-’(내지 ‘-’)에 소급할 어형으로, ‘-’는 ‘*/[選, 拔]-’와 ‘[引]-’가 결합한 비통사적 복합 동사이다. 중세어에서 ‘-+-어’는 ‘’로 나타나다가 ‘ㆅ〉ㅎ’의 변화 이후 ‘혀’로 나타나는데, 이곳의 ‘히-’는 ‘혀’(『오륜』에서는 ‘혀’〈1:17ㄱ〉로 등장)를 ‘히-+-어’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히-’가 생성된 것이다.
거  울고 말린 도적이 착히 주011)
착히:
의롭게. ‘착-+-이(부사화 접미사)’로 분석될 어형으로, 『이륜(초)』에는 ‘어딜리’, 『이륜(중․영)』에는 ‘어디리’로 번역되었다. 형용사 어간 ‘착-’는 중세어에는 보이지 않다가 18세기 문헌에 와서야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주로 원문의 ‘선(善)’에 대응되어 쓰이면서 “선하다, 어질다”, “좋다”, “의롭다” 등 여러 의미로 쓰였다. ¶善 착히 너길 션〈주해천자문(중간본 1752) 10ㄴ〉. ; 공은 착 일이오 과 사오나온 일〈경신록언석(1796) 13ㄴ주〉. 이 예에서는 원문의 (‘의지(義之)’에서) ‘의(義)’를 언해한 데서 보듯이 “의롭다”의 의미로 쓰였는데, 현대어의 ‘착하-’에는 더 이상 이 같은 의미가 확인되지 않는다.
너겨 노코 가니 일로 말암아 일홈이 나타나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4. 견초염빈(牽招斂殯)【삼국 위나라】- 견초가 〈스승〉 주검을 거두어 염습하다
견초(牽招)는 위(魏)나라 관진(觀津) 사람이다. 나이 십여 세〈가 되었을 때〉에 한
(같은)
고을에 있는 악은(樂隱)에게 가 배웠다. 후에 악은이 거기장군(車騎將軍) 하묘(何苗)의 막하
(幕下; 부하)
가 되어 가거늘
(갔는데)
, 견초가 따라가 끝까지 배웠다. 경성(京城)에 난(亂)이 일어나 하묘와 악은이 다 죽거늘
(죽자)
, 견초가 악은의 제자 사로(史路) 등과 함께 칼날을 무릅쓰고 〈경성에〉 들어가 악은의 주검을 염습하였다. 〈그 후〉 발인(發靷)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다가 도적을 만나
(만났는데)
, 다른 제자들은 모두 달아났다. 도적이 관을 깨치고
(깨뜨리고)
못을 빼려 하거늘 견초가 울면서 말렸다. 그러자 도적이 착하게(의롭게) 여겨 〈관을 그대로〉 놓고 갔다. 이로 말미암아 〈견초의〉 이름이 〈세상에〉 나타났다
(알려졌다)
.
당년의 공부 할 때에는 어린 시절이었는데
난리 만나 스승을 잃었으니 정말로 슬퍼라.
칼날을 무릅쓰고 시신을 거두어 고향으로 돌아와
창황한 중에도 끝내 내 스승을 저버리지 않았네.
길에서 완강한 적을 만나 칼날이 어지러운데
사로 제자들이 먼저 달아나니 홀로 어찌 하랴.
그의 일편단심은 마침내는 적들을 감동시키니
관을 쪼개려던 흉측한 화는 더 하지는 아니 했네.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윗나랏 견 나히 여나믄네  올 잇 악은늬게 가 글 호더니 후에 악은니 군 하묘의 이 외어 니거 견 조차 가 글  호더니 셔울히 어즈러워 하묘와 악은니 다 죽거 견 악은늬 문 로와로 갈 드듸오 드러가 악은늬 시톄 간여 가져 오다가  길헤 도 맛나 로들흔 다 니고 도기 과 헤텨 몯 내여 려 커 견 울오 밀[말]오라 대 도기 어딜리 너겨 리고 가니 일로 일훔 나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국 위(三國魏):삼국시대 위나라. 『오륜』의 ‘삼국 위(三國魏)’는 『이륜』에서는 ‘위(魏)’만임.
주002)
견초 관진인(牽招觀津人):『오륜』의 ‘견초 관진인(牽招觀津人)’은 『이륜』에서는 ‘삼국위견초(三國魏牽招)’임.
주003)
치경도난 묘은견해(値京都亂苗隱見害):경도(京都)에 난리가 일어나 하묘와 악은이 해를 당하다. 『오륜』의 ‘경도(京都)’는 『이륜』에서는 ‘경사(京師)’임.
주004)
송상환귀(送喪還歸):『오륜』의 ‘환귀(還歸)’는 『이륜』에서는 ‘귀환(歸還)’임.
주005)
도우구초(道遇寇抄):『오륜』의 ‘초(抄)’는 『이륜』에서는 ‘초(鈔)’임.
주006)
종학(從學):남을 좇아 그에게 배움.(『표준』)
주007)
도봉완구란천과(道逢頑寇亂千戈):길에서 완강한 적을 만나 칼날이 어지러운데. 『오륜』의 ‘봉(逢)’은 『이륜』에서는 ‘방(逄)’임.
주008)
내:끝까지. 원문의 ‘졸업(卒業)’에서 ‘졸(卒)’을 언해한 것으로, “끝까지”에 가까운 의미로 쓰였다. 『오륜』에서 ‘내’는 대부분 (현대어의 ‘마침내’와 마찬가지로) “결국”의 의미로 쓰이지만, 이 예와 같이 “끝까지”를 뜻하는 용례도 간혹 발견된다. ¶효뷔 싀어미 봉양기 게얼니 아니여 내 가 이 업니〈1:7ㄱ〉. 내 만일 도라 가면 내 그로 혼자 예 잇게 아니리라〈5:7ㄴ〉. 『이륜』류에서는 현대어 ‘마저’의 소급형에 해당하는 ‘’로 번역하여 “끝까지”의 의미를 보다 뚜렷이 살렸다.
주009)
무롭고:무릅쓰고. 이 예의 어간 ‘무롭-’는 중세어의 ‘무루-’에 소급할 어형으로, ‘무루-’는 (“몽(蒙)”, “모(冒)”를 뜻하는) ‘*무룹-’(중세 문헌에서는 ‘무롭-’만이 문증된다.)과 (“재(載)”를 뜻하는) ‘스-’가 결합한 비통사적 복합 동사에 해당한다. 『오륜』 이전(의 중세어나 근대어)에는 ‘*무룹/무롭-’ 자체만으로도 ‘무루-’가 표현하는 “몽(蒙; 덮어쓰다)”과 “모(冒; 무릅쓰다)”의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표현할 수 있었다. ¶니블 무롭고 누어셔[蒙被而臥]〈소학언해 6:57ㄱ〉. ; 바 무롭고 자 가니[冒夜尋之]〈동신속(1617) 열3:21ㄴ〉. 『오륜』의 ‘무롭-’에도 이 두 가지 의미가 모두 확인되는데(“몽(蒙)”의, ‘니불을 무롭고 누어셔’〈3:21ㄴ〉), 여기서는 후자(“모(冒)”)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이곳의 ‘무롭-’를 이은) 현대어의 ‘무릅쓰-’는 후자 “모”의 의미로만 쓰일 뿐 전자 “몽”의 의미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주010)
히려:빼려. 이곳의 ‘히-’는 『오륜』의 다른 곳에 ‘히-’로 나타나기도 한다. ¶두 눈을 히고[矐其兩眸]〈3:63ㄱ〉. ‘히-’(내지 ‘히-’)는 중세어의 ‘-’(내지 ‘-’)에 소급할 어형으로, ‘-’는 ‘*/[選, 拔]-’와 ‘[引]-’가 결합한 비통사적 복합 동사이다. 중세어에서 ‘-+-어’는 ‘’로 나타나다가 ‘ㆅ〉ㅎ’의 변화 이후 ‘혀’로 나타나는데, 이곳의 ‘히-’는 ‘혀’(『오륜』에서는 ‘혀’〈1:17ㄱ〉로 등장)를 ‘히-+-어’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히-’가 생성된 것이다.
주011)
착히:의롭게. ‘착-+-이(부사화 접미사)’로 분석될 어형으로, 『이륜(초)』에는 ‘어딜리’, 『이륜(중․영)』에는 ‘어디리’로 번역되었다. 형용사 어간 ‘착-’는 중세어에는 보이지 않다가 18세기 문헌에 와서야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주로 원문의 ‘선(善)’에 대응되어 쓰이면서 “선하다, 어질다”, “좋다”, “의롭다” 등 여러 의미로 쓰였다. ¶善 착히 너길 션〈주해천자문(중간본 1752) 10ㄴ〉. ; 공은 착 일이오 과 사오나온 일〈경신록언석(1796) 13ㄴ주〉. 이 예에서는 원문의 (‘의지(義之)’에서) ‘의(義)’를 언해한 데서 보듯이 “의롭다”의 의미로 쓰였는데, 현대어의 ‘착하-’에는 더 이상 이 같은 의미가 확인되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