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후가구의(侯可求醫)
메뉴닫기 메뉴열기

후가구의(侯可求醫)


오륜행실도 5:19ㄴ

侯可求醫【宋】

오륜행실도 5:20ㄱ

候可 華州人 爲華原主簿 少與田顔 爲友 顔病重 千里爲求醫 未歸而顔死 目不瞑 人曰其待侯君乎 주001)
기대후군호(其待侯君乎):
후가를 기다려 그러함이냐? 『오륜』의 ‘대후(待侯)’는 『이륜』에서는 ‘후(候)’임.
且斂而可至 拊之乃瞑 顔 無子不克葬 可 辛勤百營 鬻衣相役 卒葬之 方天寒單衣以居 有饋白金者 顧顔之妹處室 擧以佐其奩具 一日自遠歸家以寠告 適友人郭行 扣門曰吾父病 醫邀錢百千 賣吾廬 而不售 可惻然 計橐中裝 略當其數 盡與之 關中稱爲賢
辛勤千里遠求醫 生死那知隔此時 張目瞑時靈不昧 鬻衣空相送終儀
郭生罄橐還資急 顔妹遺金更顧窮 不負一心生死際 華原高義薄

오륜행실도 5:20ㄴ

주002)
층공(層空):
극히 높은 하늘.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후가 송나라 화쥬 사이라 화원 원을 니 져믄 제 뎐안과 사괴엿더니 뎐안이 주003)
뎐안이:
전안(田顔)이. 『이륜(초)』에는 ‘신안니’, 『이륜(중․영)』에는 ‘신안이’로 나타나, 이곳의 ‘뎐안’ 대신 ‘신안’이라는 인명을 보여 준다.
병이 듕거 쳔리에 주004)
쳔리에:
천리(千里)에. 『이륜(초)』에는 ‘쳘리예’, 『이륜(중․영)』에는 ‘쳘니예’로 나타나, 이곳의 ‘쳔리’가 /쳘리/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이륜』류의 처격 ‘-예’를 대신하여 이곳에서는 ‘-에’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오륜』의 시기에 처격이 현대어 ‘-에’로 단일화되어 가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가 의원을 구여 도라 오디 못여셔 뎐안이 죽어 눈을 디 아니커 사이 닐오 후가 기려 그러미냐 쟝 념매 후개 니르러 손으로 만지니 눈을 으니라 뎐안이 식이 업서 장 못여 거 후개 신근히  가지로 경영여 오 라 역 도와 내 장엿더니 그  날이 치운디라 후개 홋옷 주005)
홋옷:
홑옷. 원문의 ‘단의(單衣)’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옷옷’으로 나타난다. 이곳의 ‘홋’은 중세어의 ‘옺’에 소급할 어형으로(『이륜(초)』의 ‘옷’ 참조), 17세기에 들어서는 ‘옻’과 공존하다가 『오륜』과 비슷한 시기(18세기)에는 ‘홏’으로 어형이 축약되기에 이른다. ¶그듸의 옷외 오진  아노라〈두시언해(중, 1632) 22:56ㄴ〉. 歲暮애 옷외 오치로다〈두시언해(중간본) 4:9ㄴ〉 ; 홋츠로 둘너  번만  거시 十字형 니〈중수무원록언해(1796) 2:8ㄴ주〉. 이곳의 ‘홋’은 (시기를 고려할 때) 바로 ‘홏’을 (『오륜』에서 철저히 지켜진) 칠종성법에 따라 표기한 결과로 판단된다. 이 ‘홏’은 현대어에 ‘홑’으로 이어졌는데, ‘홏〉홑’에서 관찰되는 어간 재구조화는 ‘〉팥’의 변화에서도 볼 수 있다.
닙고 잇

오륜행실도 5:21ㄱ

더니 흰 금을 주니 주006)
흰 금을 주니:
흰 금(金)을 주니. ‘흰 금’은 원문의 ‘백금(白金)’을 언해한 것인데, 『이륜』에서는 ‘은’이라고 언해하였다.
잇거 뎐안의 누의 쳐녀로 잇 줄 알고 그 금을 주어 혼구 도으니라  먼리 주007)
먼리:
멀리. 원문의 ‘원(遠)’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륜(초)』에는 ‘머리’, 『이륜(중․영)』에는 ‘멀리’로 나타난다. 중세어에는 ‘머리’(←‘멀[遠]-+-이[부사화 접미사]’)로 나타나다가 『소학언해』(1586)에서 ‘멀이-’와 ‘멀리-’가 공존 양상을 보인 뒤, 근대어에서는 ‘멀리’ 일색으로 나타나 (『이륜』류에서 보듯이) ‘머리〉멀리’의 변화를 보여 준다. 이 예에서는 ‘먼리’로 나타났는데, 『오륜』의 다른 곳에는 ‘먼니’로 나타난 예도 보인다. 이곳의 ‘먼리’는 위에서 /쳘리/를 ‘쳔리’로 적은 것과 유사하게 어중 /ㄹㄹ/을 ‘ㄴㄹ’로 표기한 결과이다. 다만 어중 /ㄹㄹ/에 대한 ‘ㄴㄹ’ 표기는(‘쳔리’와 마찬가지로) 한자어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인데, ‘먼리’는 한자어가 아님에도 그러한 표기를 취하여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나갓다가 도라오니 집의셔 군핍믈 고더니 마초아 벗 곽이 와 문을 두려 닐오 내 아비 병드러 의원의게 쳥니 돈을 만히 달라 호 내 집을 라도 모라리로다 주008)
모라리로다:
모자라겠도다. 『이륜』류에서는 ‘몯(/못)라로다’로 나타나, 이곳의 ‘모라-’가 ‘몯#라-’의 통사 구성에서 기원하였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이때의 어간 ‘라-’는 “자라다, 성장(成長)하다”가 아니라 “(기대하는 정도에) 미치다, 이르다”를 의미하는 자동사로 쓰인 것이다. ‘몯라-〉모라-’에서 관찰되는 ‘몯’의 /ㄷ/ 탈락은 ‘몯#-’에서도 관찰되는 것인데(‘모’〈삼강행실도 2:32ㄱ〉), ‘모라-’와 관련한 /ㄷ/ 탈락은 일찍부터 이루어진 듯 이미 15세기 문헌에 ‘모라-’의 예가 등장한다. ¶잠도 모라며 나모미 업스리라[稍無欠剩]〈금강경삼가해 2:34ㄴ〉.
대 후개 불샹이 너겨 장에 남은 거 혜아리니 거의 그 수 당디라 주009)
당디라:
당(當)할지라. 상당(相當)할지라. 미칠지라. 원문의 ‘당(當)’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랄가 식(/시)브거늘’로 나타나 이곳의 ‘당-’가 “상당(相當)하다, 미치다”의 뜻으로 쓰였다.
다 주니 관듕 사이 다 그 어딜믈 일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1. 후가구의(侯可求醫)【송나라】- 후가가 〈친구를 위하여〉 의원을 찾아다니다
후가(侯可)는 송(宋)나라 화주(華州) 사람이니, 화원(華原) 원(員)을 하였다. 어렸을 때 전안(田顔)과 사귀었는데, 전안이 병이 중하거늘 천리 〈밖〉에 가 의원을 구하였다. 〈후가가〉 미처 돌아오지 못하여서 전안이 죽어, 〈전안이〉 눈을 감지 아니하였다. 〈이에〉 사람들이 말하기를, “후가를 기다려 그러함이냐?” 하였다. 장차
(막)
염을 하려 할 때 후가가 이르러 손으로 어루만지니 〈전안이〉 눈을 감았다. 전안이 자식이 없어 장사를 치르지 못하거늘, 후가가 신근
(辛勤; 힘든 일을 맡아 애쓰며 부지런히 일함)
히 백 가지로
(온가지로)
경영
(經營; 궁리하여 일를 마련하여 나감)
하고, 옷을 팔아 역사(役事)를 도운 끝에 마침내 장사를 치렀다. 그때 날씨가 추운지라, 후가가 홑옷을 입고 있었는데, 〈후가에게〉 흰 금(金)을 주는 사람이 있었다. 〈그러자 후가는〉 전안의 누이가 처녀로 있는 것을 알고 그 금을 〈전안의 누이에게〉 주어, 혼구
(婚具; 혼인 때에 쓰는 여러 가지 제구)
를 〈마련하는 데〉 도왔다. 하루는 멀리 나갔다가 돌아오니 집에서 군핍
(窘乏; 필요한 것이 없거나 모자라 군색하고 아쉬움)
함을 고(告)하였다. 〈그때〉 마침 벗 곽행(郭行)이 와 문을 두드려 말하기를, “내 아버지가 병들어 의원(醫員)을 청하니 〈의원이〉 돈을 많이 달라 하는데, 내가 집을 팔아도 모자라겠도다.” 하였다. 이에 후가가 불쌍히 여겨 행장
(行狀; 행리)
에 남은 것을 헤아리니, 거의 그 〈모자란〉 수
(數; 액수)
에 당
(當; 상당)
(미칠)
만하였다. 이에 〈그 돈을 친구에게〉 모두 주니, 관중(關中) 사람들이 모두 그 어짊을 칭송하였다.
애써 천리 길 멀리에 치료할 의원을 구하니
살고 죽는 것 어찌 이때를 사이 한 것 알까.
눈을 뜨고 죽었을 때에 영혼은 잠들지 못하니
옷을 팔아서 영혼의 송종(送終) 의식을 치러.
곽행(郭行)에게 돈자루 풀어 돈 급히 돌려주니
전안(田顔) 누이에게 돈을 주어 다시 곤궁을 돌보아.
한마음 저버리지 않고 살아 있고 죽을 때까지 불변해
화원(華原)의 높은 의리는 저 하늘 보다 높고 또 높아.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후개 화원 원늘 니 져믄 제브터 신안니와 벋더니 신안니 커 쳘리예 가 의원 얻더니 도라오디 아니여셔 신안니 주거 눈 디 아니커 사미 닐우듸 후가 위예라 터니 대렴 제 후개 미처 와 손로 디프니 눈 니라 신안니 식 업서 송 몯여 커 후개 슈고여 옷 람 슈 주어 내죵내 니라 뵈야호로 치온 제 옷옷 닙고 잇다 여 은 주리 잇더니 신안니 누의 쳐녀로 잇 줄 보고 그 은늘 주어 결속라 니라  머리 나갓다가 오니 집븨셔  것 업세라 니르더니 마초아 벋 곽이 와 닐우듸 내 아비 여 의원늬게 고티라 니 도 만히 달라 니 내 지블 라도 몯 라로다 후개 어엿비 너겨 혀여 보니 제 짐메 온 거시 거 랄가 식브거늘 다 주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기대후군호(其待侯君乎):후가를 기다려 그러함이냐? 『오륜』의 ‘대후(待侯)’는 『이륜』에서는 ‘후(候)’임.
주002)
층공(層空):극히 높은 하늘.
주003)
뎐안이:전안(田顔)이. 『이륜(초)』에는 ‘신안니’, 『이륜(중․영)』에는 ‘신안이’로 나타나, 이곳의 ‘뎐안’ 대신 ‘신안’이라는 인명을 보여 준다.
주004)
쳔리에:천리(千里)에. 『이륜(초)』에는 ‘쳘리예’, 『이륜(중․영)』에는 ‘쳘니예’로 나타나, 이곳의 ‘쳔리’가 /쳘리/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이륜』류의 처격 ‘-예’를 대신하여 이곳에서는 ‘-에’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오륜』의 시기에 처격이 현대어 ‘-에’로 단일화되어 가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주005)
홋옷:홑옷. 원문의 ‘단의(單衣)’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옷옷’으로 나타난다. 이곳의 ‘홋’은 중세어의 ‘옺’에 소급할 어형으로(『이륜(초)』의 ‘옷’ 참조), 17세기에 들어서는 ‘옻’과 공존하다가 『오륜』과 비슷한 시기(18세기)에는 ‘홏’으로 어형이 축약되기에 이른다. ¶그듸의 옷외 오진  아노라〈두시언해(중, 1632) 22:56ㄴ〉. 歲暮애 옷외 오치로다〈두시언해(중간본) 4:9ㄴ〉 ; 홋츠로 둘너  번만  거시 十字형 니〈중수무원록언해(1796) 2:8ㄴ주〉. 이곳의 ‘홋’은 (시기를 고려할 때) 바로 ‘홏’을 (『오륜』에서 철저히 지켜진) 칠종성법에 따라 표기한 결과로 판단된다. 이 ‘홏’은 현대어에 ‘홑’으로 이어졌는데, ‘홏〉홑’에서 관찰되는 어간 재구조화는 ‘〉팥’의 변화에서도 볼 수 있다.
주006)
흰 금을 주니:흰 금(金)을 주니. ‘흰 금’은 원문의 ‘백금(白金)’을 언해한 것인데, 『이륜』에서는 ‘은’이라고 언해하였다.
주007)
먼리:멀리. 원문의 ‘원(遠)’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륜(초)』에는 ‘머리’, 『이륜(중․영)』에는 ‘멀리’로 나타난다. 중세어에는 ‘머리’(←‘멀[遠]-+-이[부사화 접미사]’)로 나타나다가 『소학언해』(1586)에서 ‘멀이-’와 ‘멀리-’가 공존 양상을 보인 뒤, 근대어에서는 ‘멀리’ 일색으로 나타나 (『이륜』류에서 보듯이) ‘머리〉멀리’의 변화를 보여 준다. 이 예에서는 ‘먼리’로 나타났는데, 『오륜』의 다른 곳에는 ‘먼니’로 나타난 예도 보인다. 이곳의 ‘먼리’는 위에서 /쳘리/를 ‘쳔리’로 적은 것과 유사하게 어중 /ㄹㄹ/을 ‘ㄴㄹ’로 표기한 결과이다. 다만 어중 /ㄹㄹ/에 대한 ‘ㄴㄹ’ 표기는(‘쳔리’와 마찬가지로) 한자어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인데, ‘먼리’는 한자어가 아님에도 그러한 표기를 취하여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주008)
모라리로다:모자라겠도다. 『이륜』류에서는 ‘몯(/못)라로다’로 나타나, 이곳의 ‘모라-’가 ‘몯#라-’의 통사 구성에서 기원하였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이때의 어간 ‘라-’는 “자라다, 성장(成長)하다”가 아니라 “(기대하는 정도에) 미치다, 이르다”를 의미하는 자동사로 쓰인 것이다. ‘몯라-〉모라-’에서 관찰되는 ‘몯’의 /ㄷ/ 탈락은 ‘몯#-’에서도 관찰되는 것인데(‘모’〈삼강행실도 2:32ㄱ〉), ‘모라-’와 관련한 /ㄷ/ 탈락은 일찍부터 이루어진 듯 이미 15세기 문헌에 ‘모라-’의 예가 등장한다. ¶잠도 모라며 나모미 업스리라[稍無欠剩]〈금강경삼가해 2:34ㄴ〉.
주009)
당디라:당(當)할지라. 상당(相當)할지라. 미칠지라. 원문의 ‘당(當)’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랄가 식(/시)브거늘’로 나타나 이곳의 ‘당-’가 “상당(相當)하다, 미치다”의 뜻으로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