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장예휼고(張裔恤孤)
메뉴닫기 메뉴열기

장예휼고(張裔恤孤)


오륜행실도 5:5ㄱ

張裔恤孤三國 蜀 주001)
삼국 촉(三國蜀):
『오륜』의 ‘삼국 촉(三國蜀)’은 『이륜』에는 ‘촉(蜀)’임.

오륜행실도 5:5ㄴ

張裔 蜀郡人 주002)
장예 촉군인(張裔蜀郡人):
『오륜』의 ‘장예 촉군인(張裔蜀郡人)’은 『이륜』에는 ‘촉국장예(蜀國張裔)’임.
先主以爲巴郡太守 少與楊恭友善 恭蚤死 遺孤未數歲 裔迎畱 與分屋而居 事恭母如母 恭之子息長大爲之娶婦 買田宅産業 使立門戶
少結金蘭著意長 주003)
소결금란저의장(少結金蘭著意長):
젊어서 맺은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정을 길이길이 〈간직하다〉. 『오륜』의 ‘저(著)’는 『이륜』에는 그 속자(俗子)인 ‘저(着)’임.
死生雖異義何忘 撫孤將母皆如已 竟置田莊使主張
友道由來貴不渝 張公信義孰能儔 世間覆雨飜雲 주004)
복우번운(覆雨飜雲):
번운복우(飜雲覆雨). 소인의 우정이 변덕스러움을 이름.
者 見此寧無愧汗流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댱예 쵹한  쵹군 사이라 션 파군 태슈 이니 댱예 져머셔 양공과 벗여 됴화 더니 양공이 일즉 죽고 식이 두어 주005)
두어:
몇. 두셋. 너덧. 원문의 (‘수세(數歲)’에서) ‘수(數)’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두’, 『이륜(중․영)』에는 ‘두어’로 등장하여 ‘두〉두어’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의 ‘두’는 ‘플서리〉*플리〉프리’와 마찬가지로 ‘*둘서〉*둘〉두’의 변화(유성음화와 /ㄹ/ 탈락)를 겪은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물론 ‘*둘서’에서 /ㄹ/ 탈락만이 일어나 ‘두서’도 중세어 이래 공존하였으나, ‘두’는 (/ㅿ/의 음가 소실에 따라) ‘두〉두어’의 변화를 거쳐 현대어에 ‘두어’로 남은 데 비해 ‘두서’는 방언(사투리)으로 현대어에 이어졌다. 중세어에서 ‘두’는 수관형사로서뿐만 아니라 ㅎ종성을 동반하여 수사로도 쓰였는데(예 : ‘두흘’, ‘두히’), 수사로 쓰인 ‘두ㅎ’은 현대어에 ‘두엇’으로 이어져 수관형사 ‘두어’와는 형태가 분화되었다. 그런데 중세어 이래 ‘두’는 (어원적으로는 ‘둘+서’의 구조를 가지지만) 단순히 “둘셋[二三]”을 의미하기보다 “수(數)”를 의미하는 용법으로 주로 쓰였다. 중세어에서 “둘셋[二三]”의 의미로 쓰인 예는, ‘千萬 人 中에 對答리 두 만  젹다 니라[應和者或三二一 故云希也]’〈원각경언해 서:65ㄱ〉에서 볼 수 있지만, 이 같은 용례는 극히 드물다. 『오륜』에 나타나는 ‘두어’ 역시 중세어의 ‘두’와 마찬가지로 한결같이 원문의 ‘수(數)’에 대응되는 문맥에 쓰인 것이 확인된다. 원문의 ‘수세(數歲)’를 『오륜』에서는 ‘두어 ’로 번역한 데 대해 『이륜(초)』에는 ‘너덧 설’로 번역한 예가 보이므로, 이곳의 현대어역에서는 “수(數)”의 의미를 살려 “몇, 너덧” 정도로 옮긴다.
도 주006)
도:
살도. 원문의 (‘수세(數歲)’에서) ‘세(歲)’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설도’로 등장한다. “세(歲)”를 뜻하는 종래의 ‘설’을 대신하여 ‘’이 쓰이기 시작하는 것은, 『계축일기』(1600?)를 위시하여 17세기 문헌에 와서의 일이다. ¶아 열 두  먹은 거〈상:23ㄱ〉. 중세어에서 ‘설’은 “랍(臘)”과 “세(歲)”의 양자의 의미로 쓰였으나, 전자의 의미는 현대어에서 ‘설’로 남은 반면, 후자의 의미는 ‘설〉’의 변화를 거쳐 현대어에 ‘살’로 남아 어휘 분화되었다.
못 되엿거

오륜행실도 5:6ㄱ

댱예 양공의 가쇽을 려다가 집을 화 살리고 양공의 어미 셤기되 친어미티 며 양공의 식이 라거 댱가 드리고 젼 가산을 사 주어 여곰 문호 셰오게 다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3. 장예휼고(張裔恤孤)【삼국 촉나라】- 장예가 고아를(친구의 자식을) 돌보다
장예(張裔)는 촉한(蜀漢) 때 촉군(蜀郡) 사람이다. 선주
(先主; 선왕)
가 파군(巴郡) 태수(太守)를 시키니, 장예가 어려서 양공(楊恭)과 벗하여 좋아하였는데
(좋아하며 지냈는데)
, 양공이 일찍 죽고 자식이 몇
(너덧)
살도 되지 못하였다. 이에 장예가 양공의 가속(家屬)을 데려다가 〈자기〉 집을 나누어 살게 하고, 양공의 어머니를 섬기되 친어머니같이 하였다. 양공의 자식이 성인이 되자 장가를 들이고 전택
(田宅; 밭과 집)
과 가산(家産)을 사 주어 〈그로 하여금〉 문호(門戶)를 세우게 하였다.
젊어서 맺은 금란(金蘭)의 정이란 길이길이
죽고 사는 것 비록 다르다 해도 우의 어찌 잊을까.
고아를 부양하고 어머니를 모두 자기 일처럼 하고
드디어 밭과 집을 마련하여 주인으로 살도록 하여.
붕우(朋友) 도의 유래는 귀하여 변하지 않는 것
장공의 믿음과 의리는 누구라고 따를 수 있으랴.
세상에서는 신의를 이렇게 저렇게 뒤엎는 자 많거늘
장예의 이 일 보면 어찌 부끄러워 땀 흘리지 않을까.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쵹나랏 예 파군 원니 도의여셔 져믄 제 과로 사괴더니 이 일 죽고 식기 두 설도 몯엿거 예 려다가 집블 논화 사더니 의 어미 셤교 내 어미티 여 의 식기 라거 겨접[집] 얼이고 집 뎐디 가솬 사 주어 살에 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국 촉(三國蜀):『오륜』의 ‘삼국 촉(三國蜀)’은 『이륜』에는 ‘촉(蜀)’임.
주002)
장예 촉군인(張裔蜀郡人):『오륜』의 ‘장예 촉군인(張裔蜀郡人)’은 『이륜』에는 ‘촉국장예(蜀國張裔)’임.
주003)
소결금란저의장(少結金蘭著意長):젊어서 맺은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정을 길이길이 〈간직하다〉. 『오륜』의 ‘저(著)’는 『이륜』에는 그 속자(俗子)인 ‘저(着)’임.
주004)
복우번운(覆雨飜雲):번운복우(飜雲覆雨). 소인의 우정이 변덕스러움을 이름.
주005)
두어:몇. 두셋. 너덧. 원문의 (‘수세(數歲)’에서) ‘수(數)’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두’, 『이륜(중․영)』에는 ‘두어’로 등장하여 ‘두〉두어’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의 ‘두’는 ‘플서리〉*플리〉프리’와 마찬가지로 ‘*둘서〉*둘〉두’의 변화(유성음화와 /ㄹ/ 탈락)를 겪은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물론 ‘*둘서’에서 /ㄹ/ 탈락만이 일어나 ‘두서’도 중세어 이래 공존하였으나, ‘두’는 (/ㅿ/의 음가 소실에 따라) ‘두〉두어’의 변화를 거쳐 현대어에 ‘두어’로 남은 데 비해 ‘두서’는 방언(사투리)으로 현대어에 이어졌다. 중세어에서 ‘두’는 수관형사로서뿐만 아니라 ㅎ종성을 동반하여 수사로도 쓰였는데(예 : ‘두흘’, ‘두히’), 수사로 쓰인 ‘두ㅎ’은 현대어에 ‘두엇’으로 이어져 수관형사 ‘두어’와는 형태가 분화되었다. 그런데 중세어 이래 ‘두’는 (어원적으로는 ‘둘+서’의 구조를 가지지만) 단순히 “둘셋[二三]”을 의미하기보다 “수(數)”를 의미하는 용법으로 주로 쓰였다. 중세어에서 “둘셋[二三]”의 의미로 쓰인 예는, ‘千萬 人 中에 對答리 두 만  젹다 니라[應和者或三二一 故云希也]’〈원각경언해 서:65ㄱ〉에서 볼 수 있지만, 이 같은 용례는 극히 드물다. 『오륜』에 나타나는 ‘두어’ 역시 중세어의 ‘두’와 마찬가지로 한결같이 원문의 ‘수(數)’에 대응되는 문맥에 쓰인 것이 확인된다. 원문의 ‘수세(數歲)’를 『오륜』에서는 ‘두어 ’로 번역한 데 대해 『이륜(초)』에는 ‘너덧 설’로 번역한 예가 보이므로, 이곳의 현대어역에서는 “수(數)”의 의미를 살려 “몇, 너덧” 정도로 옮긴다.
주006)
도:살도. 원문의 (‘수세(數歲)’에서) ‘세(歲)’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설도’로 등장한다. “세(歲)”를 뜻하는 종래의 ‘설’을 대신하여 ‘’이 쓰이기 시작하는 것은, 『계축일기』(1600?)를 위시하여 17세기 문헌에 와서의 일이다. ¶아 열 두  먹은 거〈상:23ㄱ〉. 중세어에서 ‘설’은 “랍(臘)”과 “세(歲)”의 양자의 의미로 쓰였으나, 전자의 의미는 현대어에서 ‘설’로 남은 반면, 후자의 의미는 ‘설〉’의 변화를 거쳐 현대어에 ‘살’로 남아 어휘 분화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