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곽전분재(郭全分財)
메뉴닫기 메뉴열기

곽전분재(郭全分財)


오륜행실도 4:41ㄱ

郭全分財【元】

오륜행실도 4:41ㄴ

郭全 遼陽人 주001)
요양인(遼陽人):
『오륜』의 ‘요양인(遼陽人)’은 『이륜』에는 없음.
事繼母唐古氏 甚孝 繼母 生四子 주002)
생사자(生四子):
네 아들을 낳다. 『오륜』의 ‘사(四)’는 『이륜』에는 ‘삼(三)’임.
皆幼 全躬耕以養 旣長娶婦 各求分財異居 全不能止 凡田廬器物 自取荒獘朽敗者 주003)
자취황폐후패자(自取荒獘朽敗者):
『오륜』의 ‘폐(獘)’는 『이륜』에서는 ‘척(瘠)’임.
奉唐古氏以居 甘旨無乏
喫著 주004)
끽저(喫著):
끽착(喫着). 의식(衣食).(『표준』)
艱辛共備嘗 주005)
비상(備嘗):
여러 가지 어려움을 두루 맛보아 겪음.(『표준』)
一朝分異可堪傷 薄田破器吾當取 甘旨無違奉後孃
薜包孝義世稱賢 豈料君身更兩全 靑史昭垂名不泯 又從圖畫上新編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곽젼은 원나라 뇨양 사이니 계모 당고시 지셩으로 셤겨 계뫼 네 아을 나하 다 어린디라 젼

오륜행실도 4:42ㄱ

이 몸소 밧 가라 먹이더니 임의 댱셩여 안 어드매 각각 분여 로 주006)
로:
따로. 중세 문헌에서는 ‘로’로도 나타났으나 어두 자음군의 경음화를 반영하여 18세기 문헌부터는 이 예와 같이 ‘로’로 나타난다. 중세어의 ‘로’는 (“별(別)”을 뜻하는 형용사) 어간 ‘-’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한 어형으로 분석되지만, 어간 ‘-’의 활용형은 관형사형 ‘-ㄴ’과 결합한 ‘’ 정도만 확인될 뿐이다. ¶우리  짓 사미며   사 아니어니나[又不是別人]〈번역노걸대 하:7ㄴ〉. 한정된 분포를 감안할 때 중세어에서 어간 ‘-’은 이미 사어화하고 ‘’은 (현대어에서 ‘’을 계승한 후대형 ‘딴’과 마찬가지로) 관형사로 굳어져 쓰였다고 판단된다.
사라디라 대 젼이 말니디 못여 젼 긔믈의 낡고 엇지 아닌 주007)
낡고 엇지 아닌:
낡고 쓸모없는. 원문의 ‘황폐후패(荒獘朽敗)’를 번역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열(劣)”을 뜻하는 어간 ‘사오납-’을 이용하여) ‘사오나온’으로 번역되었다. 이곳의 ‘엇지 아닌’은 (원문의 ‘후패(朽敗)’에 대응되는 것으로) 형태상 ‘엇지 아니’에서 ‘’가 탈락한 어형에 해당하나 어간 ‘*엇-’의 존재는 다른 문헌에서 더 이상 문증되지 않는다.
거 스로 가져 계모 밧들고 이셔 감지 궐이 업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3. 곽전분재(郭全分財)【원나라】 - 곽전이 재산을 나누다
곽전(郭全)은 원(元)나라 요양(遼陽) 사람이다. 계모(繼母) 당고씨(唐古氏)를 지성으로 섬겼다. 계모가 네 아들을 낳았는데, 모두 어린지라, 곽전〈이 몸소 밭을 갈아 먹였다. 네 아들이〉 이미 장성(長成)하여 아내를 얻으매
(얻었을 때)
, “각각 분재(分財)하여 따로 살기를 바란다.” 하였다. 곽전이 말리지 못하여 전택
(田宅; 밭과 집)
과 기물
(器物; 세간살이)
중에 낡고 쓸모없는 것은 자진하여 가졌다. 계모를 받들고 있으면서 감지
(甘旨; 맛이 좋은 음식)
를 빠뜨리는 일이 없었다.
먹고 입는 것조차 어려워라 함께 겪었거니
하루아침에 나누어 달리하니 매우 슬프다.
메마른 땅 깨진 그릇은 내 마땅히 가져오고
바라거니와 어김이 없이 의붓어머니 받들리라.
설포의 효도 의리 세상에서 어질다 칭찬해
어찌 생각했으랴 군신(君身) 더욱 겸전함을.
청사(靑史)에 밝게 드리워 이름 소멸하지 않아
또 책 그림으로 새로이 엮어내어 전하리라.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곽젼니 계모 셤교  효도더니 계뫼 세 아 나하 다 졀머든 젼니 녀름지 머기며 라거 다 겨집 얼이니 각각 화 다티 사쟈 커 젼니 말이다가 몯여 바티며 집비며 긔믈를 사오나온 거슬 가지고 어미 모셔 사로 됴 차반 업시 아니터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요양인(遼陽人):『오륜』의 ‘요양인(遼陽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생사자(生四子):네 아들을 낳다. 『오륜』의 ‘사(四)’는 『이륜』에는 ‘삼(三)’임.
주003)
자취황폐후패자(自取荒獘朽敗者):『오륜』의 ‘폐(獘)’는 『이륜』에서는 ‘척(瘠)’임.
주004)
끽저(喫著):끽착(喫着). 의식(衣食).(『표준』)
주005)
비상(備嘗):여러 가지 어려움을 두루 맛보아 겪음.(『표준』)
주006)
로:따로. 중세 문헌에서는 ‘로’로도 나타났으나 어두 자음군의 경음화를 반영하여 18세기 문헌부터는 이 예와 같이 ‘로’로 나타난다. 중세어의 ‘로’는 (“별(別)”을 뜻하는 형용사) 어간 ‘-’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한 어형으로 분석되지만, 어간 ‘-’의 활용형은 관형사형 ‘-ㄴ’과 결합한 ‘’ 정도만 확인될 뿐이다. ¶우리  짓 사미며   사 아니어니나[又不是別人]〈번역노걸대 하:7ㄴ〉. 한정된 분포를 감안할 때 중세어에서 어간 ‘-’은 이미 사어화하고 ‘’은 (현대어에서 ‘’을 계승한 후대형 ‘딴’과 마찬가지로) 관형사로 굳어져 쓰였다고 판단된다.
주007)
낡고 엇지 아닌:낡고 쓸모없는. 원문의 ‘황폐후패(荒獘朽敗)’를 번역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열(劣)”을 뜻하는 어간 ‘사오납-’을 이용하여) ‘사오나온’으로 번역되었다. 이곳의 ‘엇지 아닌’은 (원문의 ‘후패(朽敗)’에 대응되는 것으로) 형태상 ‘엇지 아니’에서 ‘’가 탈락한 어형에 해당하나 어간 ‘*엇-’의 존재는 다른 문헌에서 더 이상 문증되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