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도경인경(道卿引頸)
메뉴닫기 메뉴열기

도경인경(道卿引頸)


오륜행실도 4:39ㄱ

道卿引頸【元】

오륜행실도 4:39ㄴ

郭道卿 莆田人 주001)
보전인(莆田人):
『오륜』의 ‘보전인(莆田人)’은 『이륜』에는 없음.
四世祖 義重以孝行著 주002)
의중이효행저(義重以孝行著):
의중이 효행으로 알려져. 『오륜』의 ‘의중(義重)’은 『이륜』에는 없음.
鄕里爲立孝子祠 元初盜起 居民多走匿 道卿 與弟佐卿 獨守祠不忍去 주003)
불인거(不忍去):
차마 가지 못하다. 『오륜』의 ‘인거(忍去)’는 『이륜』에는 ‘거(去)’임.
俱被執 盜將殺佐卿 道卿 泣告曰吾有兒已長 弟弱 子幼 請代弟死 佐卿亦泣曰 吾家事 賴兄以理 請殺我 道卿 固引頸請刃 盜相顧曰 汝孝門 兄弟若此 吾何忍害 兩釋之
居民畏盜競逃奔 獨守先祠只弟昆 孝行固知天所與 肯敎凶豎害元孫 주004)
긍교흉수해원손(肯敎凶豎害元孫):
흉악한 무리들로 하여 맏아들을 죽게 할 리야. 『오륜』의 ‘수(豎)’는 『이륜』에서는 ‘수(竪)’임.
弟兄爭死意堪悲 賊膽還寒引頸時 兩釋只綠誠孝感 芳名傳世永無期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곽도경은 원나라 보젼 사이니 그 고조 의듕이 효으로 일

오륜행실도 4:40ㄱ

홈 잇더니 주005)
밋:
및. 중세어 이래 어간 ‘및[及]-’에서 파생된 어간형 부사 ‘ 및’(표기상으로는 ‘믿’ 또는 ‘밋’)은 대등한 관계의 두 구나 절 사이에 통합하여 “그리고, 그 밖에”를 뜻하는 접속 부사로 쓰였다(현대어에서 확장 명사구 ‘NP 및 NP’의 구성에 참여하는 ‘ 및’은 바로 이 접속 부사의 용법을 계승한 것이다). ¶도적이 그 지아비과 밋 그 아을 주기고〈동신속(1617) 열6:73ㄴ〉. 믈읫 吊며 밋 喪을 보내 者ㅣ〈가례언해(1632) 7:8ㄱ〉. 그러나 이곳에 쓰인 ‘밋’은, 부사로 쓰였다고 할 수밖에 없지만, 선행절과 후행절이 전혀 대등한 관계에 있지 않다는 점에서 위의 접속 부사 ‘및’과는 성격을 달리 한다. 이 예의 ‘밋’은 원문의 ‘급광진취(及光進娶)’를 축자역하면서 ‘급(及)’이 이미 ‘-ㄹ제’(‘광진이 댱가들 제’)로 번역에 반영되었음에도 원문의 어순에 따라 ‘급’을 중복 번역한 결과라 할 수밖에 없다. 『오륜』의 다른 곳에도 이 같은 성격의 ‘밋’이 보이는데 (‘그 고조 의듕이 효으로 일홈 잇더니 밋 죽으매 향니 사이 효를 셰워 졔하더라〈4:40ㄱ〉), 이 예들은 당시의 언어 질서를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지나친 축자역에 따른 한문 원문의 간섭 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죽으매 향니 사이 효 셰워 졔더라 그 후 도적이 니러나 셩이 다 라나되 도경은 홀로 아 좌경을 리고 당을 딕희여 마 가디 못다가 도적의게 잡히여 쟝 좌경을 죽이려 니 도경이 울며 비러 오 나 자란 주006)
자란:
성년(成年)에 이른. 성인(成人)이 된. 이곳의 동사 어간 ‘자라-’는 『오륜』의 다른 곳에 주로 ‘라-’로 나타나 어두 음절에서도 ‘ㆍ’와 ‘ㅏ’가 혼동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원문의 ‘이장(已長)’을 옮긴 데서 보듯이) 이곳의 ‘자라-’는 ‘나히 라-’ 구성에서 ‘나히’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문맥상으로는 “성년에 이르다, 성인이 되다”를 뜻한다. 이 같은 용법의 어간 ‘라-’는 현대어에서 ‘모자라-’와 의미상 대립되어 쓰이는 ‘자라-’에 상통하는 것이나(‘아이들 손이 자라지 않는 곳에’, ‘힘이 자라는 데까지’) 현대어에서 ‘나이가 자라-’와 같은 구성은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식이 잇고 아 병약고  식이 어리니 쳥컨 아 신여 죽어디라 대 좌경이  울며 오 내 형이 아니면 가 엇디 다이리오 주007)
다이리오:
다스리리요. 이 예에 보이는 어간 ‘다이-’는 현대어 ‘다스리-’의 소급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오륜』의 다른 곳에는 ‘다리-’로도 등장한다. ¶뎡을 잘 다리더니〈3:67ㄱ〉. 중세어에는 ‘다리-’에 짝하여 ‘다-’이 존재하여 주로 “다스려지다”를 뜻하는 자동사로 쓰였다. ¶내 이 世界 本來 제 고 平야 다며 어즈러우미 다 업거니[理亂이 俱亡거니]〈금강경삼가해(1482) 2:6ㄱ〉. 중세어 이래 ‘다리-’가 항상 대격어를 지배하여 타동사로 쓰인 점을 감안하면, ‘다리-’는 ‘다-’에 (‘기울이-, 드리-, 버리-’ 등에 포함된 ‘-이-’와 마찬가지로) 사동 접사 ‘-이-’가 결합한 어형일 가능성이 높다.
쳥컨대 날을 죽이라 도

오륜행실도 4:40ㄴ

경이  목을 늘의혀 주008)
늘의혀:
늘여.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는 ‘느릐혀’로 등장하기도 한다. ¶목을 느릐혀 태평을 샹망 〈천의소감언해(1756) 1:45ㄴ〉. 『이륜(중)』을 비롯하여 중세 문헌에는 ‘느리혀’로 등장하여 ‘느리혀-〉느릐혀’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의 ‘느리혀-’는 ‘느리-’에 강세 접사 ‘-혀-’(〈‘--’)가 결합한 어형이지만 ‘느리-’를 대신하여 ‘느릐-’가 보이는 것은 『몽어유해보』(1768)의 ‘線力鬆 실눈 느릐다’〈27ㄴ〉를 위시하여 18세기 이후의 일이다.
버히믈 쳥니 도적이 서로 도라보와 오 너희 효의 집 사이오 형뎨  이러 니 우리 엇디 마 해리오 고 형뎨 다 노하 보내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2. 도경인경(道卿引頸)【원나라】 - 곽도경이 목을 내밀다(죽기를 자청하다)
곽도경은 원(元)나라 보전(莆田) 사람이다. 그 고조할아버지 곽의중(郭義重)이 효행으로 이름이 있었는데, 〈곽의중이〉 죽고 나서 향리 사람이 ‘효자사(孝子祠)’를 세워 제사 지냈다. 그 후 도적이 일어나 백성이 모두 달아나되 곽도경은 홀로 아우 곽좌경(郭佐卿)을 데리고 사당을 지켜 차마 가지(떠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형제가〉 도적에게 잡혀 〈도적이〉 장차 곽좌경을 죽이려 하였다. 〈이때〉 곽도경이 울고 빌면서 말하기를, “나는 성인이 된 자식이 있지만, 아우는 병약하고 또 자식이 어리니, 청컨대 〈내가〉 아우를 대신하여 죽기를 바란다.” 하였다. 〈그러자〉 곽좌경이 또 울며 말하기를, “내 형이 아니면 가사(家事)를 어찌 다스리리오. 청컨대 나를 죽이라.” 하였다. 곽도경이 또 목을 늘여 〈도적에게〉 벨 것을 청하니 도적이 서로 돌아보며 말하기를, “너희는 효자의 집안사람이요, 형제가 또 이와 같으니 우리가 어찌 차마 해치리오.” 하고, 형제를 모두 놓아 보내었다.
마을 사람들 도둑이 두려워 다투어 도망가고
홀로 선조 사당을 지키나니 오로지 이 형제 뿐.
효행은 진실로 하늘이 내려 준 것임으로 알아
흉악한 무리들로 하여 맏아들을 죽게 할 리야.
형제는 죽기를 다투니 그 뜻 비감하여라
도둑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니 목 내밀 때.
형제 풀어주니 다만 효성의 감동 때문이네
그 꽃다운 이름 세상에 전하니 영원하리라.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곽도의 네  하나비 효도홈로 일훔 나 셔 효 을 랏더니 그 적긔 도기 니러나 이 다 라 숨거 도이 아 좌이와  디킈오 잇다가 자피여 도기 아 주교려 커 이 울며 닐우 나 식기 라거니와 아 약고 식기 져므니 내 아 모 죽거지라 대 아도  울우 닐우 지븻 이를 이 리니 내 죽거지라 더니 도이 구틔여 목글 혀 내와다 갈흐로 버히라 대 도히 서르 도라보고 닐우 네 효문넷 뎨 이러니 마 엇디 해료 고 다 리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보전인(莆田人):『오륜』의 ‘보전인(莆田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의중이효행저(義重以孝行著):의중이 효행으로 알려져. 『오륜』의 ‘의중(義重)’은 『이륜』에는 없음.
주003)
불인거(不忍去):차마 가지 못하다. 『오륜』의 ‘인거(忍去)’는 『이륜』에는 ‘거(去)’임.
주004)
긍교흉수해원손(肯敎凶豎害元孫):흉악한 무리들로 하여 맏아들을 죽게 할 리야. 『오륜』의 ‘수(豎)’는 『이륜』에서는 ‘수(竪)’임.
주005)
밋:및. 중세어 이래 어간 ‘및[及]-’에서 파생된 어간형 부사 ‘ 및’(표기상으로는 ‘믿’ 또는 ‘밋’)은 대등한 관계의 두 구나 절 사이에 통합하여 “그리고, 그 밖에”를 뜻하는 접속 부사로 쓰였다(현대어에서 확장 명사구 ‘NP 및 NP’의 구성에 참여하는 ‘ 및’은 바로 이 접속 부사의 용법을 계승한 것이다). ¶도적이 그 지아비과 밋 그 아을 주기고〈동신속(1617) 열6:73ㄴ〉. 믈읫 吊며 밋 喪을 보내 者ㅣ〈가례언해(1632) 7:8ㄱ〉. 그러나 이곳에 쓰인 ‘밋’은, 부사로 쓰였다고 할 수밖에 없지만, 선행절과 후행절이 전혀 대등한 관계에 있지 않다는 점에서 위의 접속 부사 ‘및’과는 성격을 달리 한다. 이 예의 ‘밋’은 원문의 ‘급광진취(及光進娶)’를 축자역하면서 ‘급(及)’이 이미 ‘-ㄹ제’(‘광진이 댱가들 제’)로 번역에 반영되었음에도 원문의 어순에 따라 ‘급’을 중복 번역한 결과라 할 수밖에 없다. 『오륜』의 다른 곳에도 이 같은 성격의 ‘밋’이 보이는데 (‘그 고조 의듕이 효으로 일홈 잇더니 밋 죽으매 향니 사이 효를 셰워 졔하더라〈4:40ㄱ〉), 이 예들은 당시의 언어 질서를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지나친 축자역에 따른 한문 원문의 간섭 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주006)
자란:성년(成年)에 이른. 성인(成人)이 된. 이곳의 동사 어간 ‘자라-’는 『오륜』의 다른 곳에 주로 ‘라-’로 나타나 어두 음절에서도 ‘ㆍ’와 ‘ㅏ’가 혼동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원문의 ‘이장(已長)’을 옮긴 데서 보듯이) 이곳의 ‘자라-’는 ‘나히 라-’ 구성에서 ‘나히’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문맥상으로는 “성년에 이르다, 성인이 되다”를 뜻한다. 이 같은 용법의 어간 ‘라-’는 현대어에서 ‘모자라-’와 의미상 대립되어 쓰이는 ‘자라-’에 상통하는 것이나(‘아이들 손이 자라지 않는 곳에’, ‘힘이 자라는 데까지’) 현대어에서 ‘나이가 자라-’와 같은 구성은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주007)
다이리오:다스리리요. 이 예에 보이는 어간 ‘다이-’는 현대어 ‘다스리-’의 소급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오륜』의 다른 곳에는 ‘다리-’로도 등장한다. ¶뎡을 잘 다리더니〈3:67ㄱ〉. 중세어에는 ‘다리-’에 짝하여 ‘다-’이 존재하여 주로 “다스려지다”를 뜻하는 자동사로 쓰였다. ¶내 이 世界 本來 제 고 平야 다며 어즈러우미 다 업거니[理亂이 俱亡거니]〈금강경삼가해(1482) 2:6ㄱ〉. 중세어 이래 ‘다리-’가 항상 대격어를 지배하여 타동사로 쓰인 점을 감안하면, ‘다리-’는 ‘다-’에 (‘기울이-, 드리-, 버리-’ 등에 포함된 ‘-이-’와 마찬가지로) 사동 접사 ‘-이-’가 결합한 어형일 가능성이 높다.
주008)
늘의혀:늘여.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는 ‘느릐혀’로 등장하기도 한다. ¶목을 느릐혀 태평을 샹망 〈천의소감언해(1756) 1:45ㄴ〉. 『이륜(중)』을 비롯하여 중세 문헌에는 ‘느리혀’로 등장하여 ‘느리혀-〉느릐혀’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의 ‘느리혀-’는 ‘느리-’에 강세 접사 ‘-혀-’(〈‘--’)가 결합한 어형이지만 ‘느리-’를 대신하여 ‘느릐-’가 보이는 것은 『몽어유해보』(1768)의 ‘線力鬆 실눈 느릐다’〈27ㄴ〉를 위시하여 18세기 이후의 일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