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 4:30ㄱ
光進反積 주001) 광진반적(光進反積): 『오륜』의 ‘반(反)’은 『이륜』에는 ‘반(返)’임.
【唐】오륜행실도 4:30ㄴ
李光進
鷄田人 주002) 계전인(鷄田人): 『오륜』의 ‘계전인(鷄田人)’은 『이륜』에는 없음.
事親有至性 母歿 居喪三年 不歸寢 弟光顔先娶而 母季以家事 及光進娶 母已亡
弟婦 籍貲貯納管鑰於姒 주003) 제부적자저납관약어사(弟婦籍貲貯納管鑰於姒): 제부(이광안의 처)가 재산 문서와 자물쇠를 모두 동서(이광진의 처)에게 주다. 『오륜』의 ‘자(貲)’는 『이륜』에는 ‘자(滋)’임. 또 『오륜』의 ‘저(貯)’는 『이륜』에는 ‘축(畜)’임.
光進命反之曰 婦逮事
姑且嘗命主家事 주004) 고차상명주가사(姑且嘗命主家事): 시어미가 일찍이 가사를 맡기셨으니. 『오륜』의 ‘주(主)’는 『이륜』에는 ‘장(掌)’임.
不可改 因上持泣 乃如初

當年新婦拜姑前 主饋辛勤久且專 今日母亡那忍改 泣還家籍故依然
萬古天倫終不泯 乖離只在利錙銖 欲知兄弟相安處 須看斯門反籍圖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니광진은 당나라 계젼 사이니 어버이 셤기믈 지효로 더니 어미 죽으매 거상 삼 년에 침실의
오륜행실도 4:31ㄱ
도라 가디 아니더라 아 광안이 몬져 댱가 드니 어미 가 다 맛졋더니
밋 주005) 밋: 및. 중세어 이래 어간 ‘ 및[及]-’에서 파생된 어간형 부사 ‘ 및’(표기상으로는 ‘믿’ 또는 ‘밋’)은 대등한 관계의 두 구(句)나 절(節) 사이에 위치하여 “그리고, 그 밖에”를 뜻하는 접속 부사로 쓰였다(현대어에서 ‘NP 및 NP’의 명사구 구성에 참여하는 ‘ 및’은 바로 이 접속 부사의 용법을 계승한 것이다). ¶도적이 그 지아비과 밋 그 아을 주기고〈동신속(1617) 열6:73ㄴ〉. 믈읫 吊며 밋 喪을 보내 者〈가례언해(1632) 7:8ㄱ〉. 그러나 이곳에 쓰인 ‘밋’은 부사로 쓰였다고 할 수밖에는 없지만 선행절과 후행절이 전혀 대등한 관계에 있지 않다는 점에서 위의 접속 부사 ‘및’과는 그 기능이 다르다. 이곳의 ‘밋’은 원문의 ‘반광진취(反光進娶)’를 축자역하면서 ‘급(及)’이 이미 ‘-ㄹ 제’(‘광진이 댱가 들 제’)로, 번역에 반영되었음에도 원문의 어순에 따라 ‘급(及)’을 중복 번역한 결과라 할 수밖에 없다. 『오륜』의 다른 곳에도 이 같은 성격의 ‘밋’이 보이는데, 이들은 당시의 언어 질서를 반영한 것이라기보다 지나친 축자역에 따른 한문 원문의 간섭 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 고조 의듕이 효으로 일홈 잇더니 밋 죽으매 향니 사이 효 셰워 졔더라〈오륜 4:40ㄱ〉.
광진이 댱가 들 제 어미 이믜 죽어시니 광안의 쳬 산 문셔와
자믈쇠 주006) 자믈쇠: 자물쇠를. 이곳의 ‘자믈쇠’에 대하여 『이륜』류에는 ‘쇠’로 나타난다. 이것은 어중 /ㅁ/이 중철 표기되었을 뿐 15세기 문헌에 등장하는 ‘쇠’와 동일하다. 『오륜』의 ‘자믈쇠’는 어두 음절에서 ‘ㆍ’와 ‘ㅏ’가 혼동된 현실을 반영하여 ‘’가 ‘자’로 표기된 것이다.
다 광진의 쳐 주니 광진이 봉여 도로 주고 오 졔쉬 일즉 모친을 셤기고 가
맛져 겨시니 주007) 맛져 겨시니: 맡기셨으니. 이곳의 ‘맛져 겨시-’는 ‘맛지[任]-’에 ‘-어 겨시-’가 통합된 동사구로 시제상 “과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중세어에서 ‘-어 겨시-’는 “완료·지속”을 표시하는 ‘-어 이시/잇-’과 경어적 대립을 이룬다. 그러나 16세기 이후 ‘-어 이시/잇-’은 문법화 과정을 밟으면서 ‘-어 이시/잇-〉-에시/엣-〉-어시/엇-’의 형태 변화를 겪어, 『오륜』에서는 이미 ‘-어시/엇-’이 “과거” 시제를 담당하는 새로운 형태소로 정착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어 겨시-’는 상응한 형태 변화를 겪지 않아, 『오륜』에서는 “과거” 표시와 관련하여 더 이상 ‘이시/잇-’과 그것의 어휘적 경어 ‘겨시-’에 기초한 대립은 확인하기 어렵게 되었다. ‘-어 겨시-’를 대신하여 현대어와 같이 ‘-시었-’이 등장하는 것은 ‘-어시/엇-〉-었-’의 변화가 완료된 19세기 말에 와서이다.
고치디 못리라 고 인야 형뎨 붓들고 우러 어미 이실 와 치 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