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채확자사(蔡廓咨事)
메뉴닫기 메뉴열기

채확자사(蔡廓咨事)


오륜행실도 4:22ㄴ

蔡廓咨事 주001)
채확자사(蔡廓咨事):
『오륜』의 ‘자(咨)’는 『이륜』에는 ‘자(諮)’로 되어 있음.
南北朝 宋 주002)
남북조 송(南北朝宋):
『오륜』의 ‘남북조 송’은 『이륜』에는 ‘남송(南宋)’으로 되어 있음.

오륜행실도 4:23ㄱ

蔡廓 주003)
채확(蔡廓):
『오륜』의 ‘채확(蔡廓)’은 『이륜』에는 ‘곽(廓)’으로 되어 있음.
濟陽人 주004)
제양인(濟陽人):
『오륜』의 ‘제양인(濟陽人)’은 『이륜』에는 없음.
奉兄軌如父 家事大小 皆諮而後行 公祿賞賜 一皆入軌 有所資須 悉就典者請焉 從高祖在彭城 妻郗氏 주005)
처치씨(妻郗氏):
『오륜』의 ‘치(郗)’가 『이륜』에는 ‘유(柳)’로 되어 있음.
書求夏服 廓答曰 知須夏服 計給事自應相供 無容別寄
奉兄如父敬無違 家有尊嚴孰敢私 祿賜盡應歸一室 事無專制必先咨
扈從君王苦未回 妻求夏服寄書來 計給只言存典者 稍無私意汚靈臺 주006)
영대(靈臺):
신령스러운 곳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이르는 말.(『표준』)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채확은 송나라 뎨양 사이니 형 셤기기 아비와 티 여 집안 대쇼 다 형의게 품 후

오륜행실도 4:23ㄴ

에 고 벼에 나 거 주007)
벼슬에 나 거:
벼슬에서 나는(생기는) 것을. 원문의 ‘공록상사(公祿賞賜)’에 대한 번역이다. 『이륜(초)』에서는 원문을 축자역하여 ‘록  것 어든 거슬’〈13ㄱ〉(“녹(祿) 탄 것과 〈상으로〉 얻은 것을”)로 번역하였으나, 『이륜(중·영)』에는 ‘공록(公祿)’ 부분만을 옮겨, ‘록  거슬’〈13ㄱ〉으로만 번역하였다. 이곳의 번역은 ‘상사(賞賜)’ 부분이 빠진 점에서 『이륜(중·영)』의 번역에 가까운 것이라 할 수 있다.
형의게 드리고 주008)
형의게 드리고:
형에게 들여(맡겨) 두고. 이곳의 ‘드리-’는 어간 ‘주[授]-’에 대한 경어로 쓰였다고 보기 어렵다. 『오륜』에는 여격 형태가 존칭 여격 조사 ‘-긔’와 평칭 여격 조사 ‘-의게’로 분화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드리-’가 지배하는 여격어에) ‘-의긔’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예의 ‘드리-’가 원문의 ‘入’에 대한 번역어로 쓰인 점을 감안하면 이 예의 ‘드리-’는 ‘들[入]-’의 사동사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륜』류에 ‘드리고’가 ‘드려 두고’로 번역된 점을 감안, 여기서는 “들여(맡겨) 두고”로 해석하였다.
  이시면 반시 맛든 사의게 쳥여 고 확이 님군을 뫼셔 주009)
뫼셔:
모셔. 모시고. 『오륜』의 다른 곳에 등장하는 ‘뫼시고’, ‘뫼시믈’ 등을 감안할 때 ‘뫼시-+-어’로 분석될 어형이다. 중세어 이래 ‘뫼-’ 내지 ‘뫼-’이 존재하므로 ‘뫼시-’도 어간 ‘뫼[陪]-’를 포함한 어형으로 더 분석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뫼시-’의 ‘시’를 ‘겨시-’의 ‘시’와 같이 존칭의 선어말어미 ‘-시-’와 동일시할 수는 없다(이곳 ‘채확’의 사적(事蹟)에서도 ‘채확’이 주체가 되는 행위에 ‘-시-’를 개재시켜 표현한 예는 없다.). 중세어에서 선어말어미 ‘-시-’가 연결형 ‘-어’와 통합할 때는 반드시 ‘-샤-’로 나타난 반면, ‘뫼시-’의 경우는 대부분 ‘뫼셔’로만 등장하고 ‘*뫼샤’로 나타난 예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중세어에 ‘뫼시-’과 같은 어형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도(‘婇女ㅣ 기베 안 어마긔 오더니 大神히 뫼시니’〈월인석보(1459) 2:43ㄱ〉) ‘뫼시-’의 ‘시’가 어간의 일부가 아니었다면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나갓거 그 안 편디여 여 오 구니 확이 답되 여 오슨 응당 맛다 공급니 이시니 내 로 보낼 일 업다 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3. 채확자사(蔡廓咨事)【남북조 송나라】 - 채확이 일을 〈형에게〉 물어서 행하다
채확(蔡廓)은 송(宋)나라 제양(濟陽) 사람이다. 형 섬기기를 아버지와 같이 하여 집안 대소사(大小事)를 모두 형에게 취품
(就稟: 웃어른께 여쭈어 그 의견을 기다림)
한 후에 행하였다. 〈또〉 벼슬에서 나오는 것을 모두 형에게 들여(맡겨) 두고 쓸 데가 있으면 반드시 담당한 사람에게 청(請)하여 썼다. 채확이 임금을 모시고 나갔을 때 그의 아내가 편지하여 여름옷을 구하니, 채확이 대답하되, “여름옷은 응당 담당하여 공급하는 사람이 있으니 내가 따로 보낼 일이 없다.”라고 하였다.
형 받들기 아버지같이 공경을 어김없이 하여
집안의 존엄으로 누구도 감히 맘대로 하지 않아.
녹(祿)으로 받은 재물을 모두 한 집으로 돌아가고
일은 오로지 하기 전에 반드시 먼저 형에게 물어.
임금을 시종하여 고생을 하고 돌아오지 않아
아내는 여름옷을 지어 편지를 부쳐 보내니.
남편은 답장에서 요량하여 보낼 사람 있다고
조금도 사사로운 뜻 없으니 영대(靈臺) 더럽히랴.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채확기 을 셤교 아비티 여 지븻 일 크며 쟈그닐 다 무러 더니 록  것 어든 거슬 다 의게 드려 두고  듸 잇거든 만 사게 여 더라 님굼 뫼셔 나갓거 겨집비 유무여 녀름 옷 여지라 대 답여 유무호 녀름 오셔 거니와 혜아려 줄 사름미 제 줄 거시니 내게 각별리 니르디 말라 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채확자사(蔡廓咨事):『오륜』의 ‘자(咨)’는 『이륜』에는 ‘자(諮)’로 되어 있음.
주002)
남북조 송(南北朝宋):『오륜』의 ‘남북조 송’은 『이륜』에는 ‘남송(南宋)’으로 되어 있음.
주003)
채확(蔡廓):『오륜』의 ‘채확(蔡廓)’은 『이륜』에는 ‘곽(廓)’으로 되어 있음.
주004)
제양인(濟陽人):『오륜』의 ‘제양인(濟陽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5)
처치씨(妻郗氏):『오륜』의 ‘치(郗)’가 『이륜』에는 ‘유(柳)’로 되어 있음.
주006)
영대(靈臺):신령스러운 곳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이르는 말.(『표준』)
주007)
벼슬에 나 거:벼슬에서 나는(생기는) 것을. 원문의 ‘공록상사(公祿賞賜)’에 대한 번역이다. 『이륜(초)』에서는 원문을 축자역하여 ‘록  것 어든 거슬’〈13ㄱ〉(“녹(祿) 탄 것과 〈상으로〉 얻은 것을”)로 번역하였으나, 『이륜(중·영)』에는 ‘공록(公祿)’ 부분만을 옮겨, ‘록  거슬’〈13ㄱ〉으로만 번역하였다. 이곳의 번역은 ‘상사(賞賜)’ 부분이 빠진 점에서 『이륜(중·영)』의 번역에 가까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주008)
형의게 드리고:형에게 들여(맡겨) 두고. 이곳의 ‘드리-’는 어간 ‘주[授]-’에 대한 경어로 쓰였다고 보기 어렵다. 『오륜』에는 여격 형태가 존칭 여격 조사 ‘-긔’와 평칭 여격 조사 ‘-의게’로 분화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드리-’가 지배하는 여격어에) ‘-의긔’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예의 ‘드리-’가 원문의 ‘入’에 대한 번역어로 쓰인 점을 감안하면 이 예의 ‘드리-’는 ‘들[入]-’의 사동사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륜』류에 ‘드리고’가 ‘드려 두고’로 번역된 점을 감안, 여기서는 “들여(맡겨) 두고”로 해석하였다.
주009)
뫼셔:모셔. 모시고. 『오륜』의 다른 곳에 등장하는 ‘뫼시고’, ‘뫼시믈’ 등을 감안할 때 ‘뫼시-+-어’로 분석될 어형이다. 중세어 이래 ‘뫼-’ 내지 ‘뫼-’이 존재하므로 ‘뫼시-’도 어간 ‘뫼[陪]-’를 포함한 어형으로 더 분석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뫼시-’의 ‘시’를 ‘겨시-’의 ‘시’와 같이 존칭의 선어말어미 ‘-시-’와 동일시할 수는 없다(이곳 ‘채확’의 사적(事蹟)에서도 ‘채확’이 주체가 되는 행위에 ‘-시-’를 개재시켜 표현한 예는 없다.). 중세어에서 선어말어미 ‘-시-’가 연결형 ‘-어’와 통합할 때는 반드시 ‘-샤-’로 나타난 반면, ‘뫼시-’의 경우는 대부분 ‘뫼셔’로만 등장하고 ‘*뫼샤’로 나타난 예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중세어에 ‘뫼시-’과 같은 어형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도(‘婇女ㅣ 기베 안 어마긔 오더니 大神히 뫼시니’〈월인석보(1459) 2:43ㄱ〉) ‘뫼시-’의 ‘시’가 어간의 일부가 아니었다면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