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왕림구제(王琳救弟)
메뉴닫기 메뉴열기

왕림구제(王琳救弟)


오륜행실도 4:4ㄴ

王琳救弟【漢】

오륜행실도 4:5ㄱ

王琳 汝南人 주001)
여남인(汝南人):
『오륜』의 ‘汝南人’은 『이륜』에는 ‘字巨尉’임.
年十餘歲喪父母 因遭大亂 百姓奔逃 惟琳兄弟 獨守塚廬 號泣不絶 弟季 出遇赤眉 爲賊所捕 琳自縛詣賊 請先季死 賊矜而放遣之
四方多難劇紛如 兄弟攀號獨守廬 爲季投身先乞死 豺狼安得不矜且
弟兄相愛卽天彝 急難誰知有此兒 要識世人 주002)
세인(世人):
『오륜』의 [시]의 ‘世人’은 『이륜』에는 ‘至誠’임.
無不感 請看兇醜遣歸時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왕님은 한나라 여남 사이니 나히 십여 셰에 주003)
나히 십여 셰에:
나이가 십여 세에. 나이가 십여 세 되었을 때에. ‘나히 십여 셰’는 ‘NP1-이 NP2’ 자체로 명사문을 이루던 흔적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륜(초)』, 『이륜(중・영)』에는 각각 ‘나히 여나닌 저긔’, ‘나히 여라인 저긔’로 변역되어 계사 ‘이’가 개입한 문장을 보여 준다. ‘셰(歲)’는 ‘ㅅ’이 구개음으로 바뀜에 따라 ‘ㅖ’가 ‘ㅔ’로 단모음화하였다.
부모 여희고 난리 만나 셩이 다 라나되 오직 님의 형뎨 부모 분묘 직희여 주004)
직희여:
지켜. 『이륜(중・영)』에는 ‘딕여셔’로 등장한다. 중세 문헌에서는 (『석보상절』을 제외하면) 주로 그 어간이 ‘디킈-’나 ‘딕킈-’(16세기 이후)로 나타나던 것이나 근대 문헌에서는 어중 유기음 /ㅋ/을 재음소화한 ‘딕희-’ 혹은 ‘딕-’의 표기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곳의 ‘직희-’는 물론 어두 구개음화(ㄷ〉ㅈ)를 반영한 표기이지만 『오륜』에서는 구개음화 이전의 (보수적) 표기형인 ‘딕희-’가 보다 우세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특이하게 『석보상절』에서는 “수(守)”의 의미로 ‘딕희-’(‘딕-’는 없음)와 ‘딕-’의 형태가 공존한다. ¶手苦 딕희여 이셔〈9:12ㄱ〉. 各各  나 딕흰 神靈이〈9:30ㄱ주〉. 그 어미 이 니 東山 딕희오고〈11:40ㄴ〉 ; 이제 神通力으로 이 經을 딕야 護持야〈21:59ㄱ〉. 이러한 공존은 ‘딕희/딕’의 활용형(예: 딕야)으로부터 ‘딕-’가 재구조화됨으로써 ‘딕희/딕-~딕-’가 쌍형 어간으로 존재한 현실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 (‘딕-’가 분석될) ‘딕야’의 출현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딕희/딕-’와 ‘딕-’의 성조가 평거(平去) 내지 평평(平平)으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 등장하는 ‘딕-’의 존재도 ‘딕희/딕-’의 쌍형 어간으로 존재한 ‘딕-’의 방증이 될 것이다. ¶比丘 시고 뷘 房 딕라 시니〈월인석보(1459) 7:6ㄱ〉. 이런 險 길헤 어우러 딕사다〈월인석보 22:9ㄴ〉. 門 딕 사미 어디니란 드로 듣고 모디니란 마가 禁止홈 니라〈원각경언해(1465) 상2-2:106〉.
울기 긋치

오륜행실도 4:5ㄴ

디 아니더니 아이 나가다가 도적의게 잡히니 님이 스로 결박여 도적의게 나아가 몬져 죽어디라 주005)
죽어디라:
죽기를 바란다. 죽고 싶다.『이륜』류에는 ‘죽거지라’로 나타나, ‘-거지라〉-어지라’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에서는 화자의 “소망”을 표현하는 데 쓰인 종결형 ‘-거지라’는 선행 어간이 타동사이면 ‘-어지라’로 교체되었으나, 『오륜』에서는 선행 어간의 타동성 여부에 관계없이 ‘-어지라’로 통일된 양상을 보여 준다. ‘-어지라’가 ‘-어디라’로 나타난 것은 구개음화를 의식한 부정 회귀(不正回歸, fausse régression)의 결과이다.
쳥대 도적이 불샹이 주006)
불샹이:
불쌍히. 『이륜(초)』에는 ‘어엿비’, 『이륜(중・영)』에는 ‘어엿’로 나타나, 종래의 ‘어엿브-’를 ‘불샹-’가 대치한 양상을 보여 준다. 『오륜』의 다른 곳에는 ‘불샹이’를 대신하여 원순모음화가 반영되지 않은 ‘블샹이’의 꼴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긍(矜), 린(僯)”을 뜻하는 ‘블샹-’는 『계축일기』를 위시하여 17세기 문헌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대군을 강홰로 옴기니 블샹더라 거〈계축일기 상:39ㄴ〉.
너겨 다 노화 주007)
노화:
놓아. 『이륜』류에는 ‘노하’로 나타난다. 이곳의 ‘노화’는 선행 음절 ‘ㅗ’의 영향으로 일종의 원순성 동화가 일어나 후행 음절에 원순성 반모음 w가 첨가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보내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3. 왕림구제(王琳救弟)【한나라】 - 왕림이 아우를 구하다
왕림(王琳)은 한(漢)나라 여남(汝南) 사람이다. 나이가 십여 세(세가 되었을 때)에 부모를 여의고 난리를 만났다. 백성이 다 달아나되 오직 왕림의 형제만은 부모 분묘를 지키며 울기를 그치지 아니하였다. 아우가 나가다가 도적에게 잡히니 왕림이 스스로 결박(結縛)하여 도적에게 나아가 먼저 죽기를 바란다고 청하였다. 〈그러자〉 도적이 〈형제를〉 불쌍히 여겨 다 놓아 보내었다.
사방이 모두 난리니 지극히 혼란해라
형제는 붙들고 울부짖으며 무덤을 지켜.
아우가 투신하니 형은 먼저 죽기를 원하여
승냥이라 하더라도 어찌 긍휼한 마음 없을까.
아우와 형이 서로 사랑하니 곧 천성이어라
급난(急難) 당하여 누가 이런 일 있을 줄 알랴.
알겠거니 세상사람 감동하지 않는 사람 없으니
보시오! 흉하고 추악한 것들도 되돌려 보낼 때를.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림이 나히 여나닌 저긔 어버이 다 죽고 마초아 시졀리 어즈러워 이 다 흐러 도커늘 림믜 뎨옷 슈분여셔 우루 그치디 아니터니 앗 나갓다가 젹미란 도 맛나 자피여 왕림미 제 이여 도긔게 가 비로 내 몬져 앗라와 죽거지라 대 도기 어엿비 너겨 노하 보내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남인(汝南人):『오륜』의 ‘汝南人’은 『이륜』에는 ‘字巨尉’임.
주002)
세인(世人):『오륜』의 [시]의 ‘世人’은 『이륜』에는 ‘至誠’임.
주003)
나히 십여 셰에:나이가 십여 세에. 나이가 십여 세 되었을 때에. ‘나히 십여 셰’는 ‘NP1-이 NP2’ 자체로 명사문을 이루던 흔적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륜(초)』, 『이륜(중・영)』에는 각각 ‘나히 여나닌 저긔’, ‘나히 여라인 저긔’로 변역되어 계사 ‘이’가 개입한 문장을 보여 준다. ‘셰(歲)’는 ‘ㅅ’이 구개음으로 바뀜에 따라 ‘ㅖ’가 ‘ㅔ’로 단모음화하였다.
주004)
직희여:지켜. 『이륜(중・영)』에는 ‘딕여셔’로 등장한다. 중세 문헌에서는 (『석보상절』을 제외하면) 주로 그 어간이 ‘디킈-’나 ‘딕킈-’(16세기 이후)로 나타나던 것이나 근대 문헌에서는 어중 유기음 /ㅋ/을 재음소화한 ‘딕희-’ 혹은 ‘딕-’의 표기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곳의 ‘직희-’는 물론 어두 구개음화(ㄷ〉ㅈ)를 반영한 표기이지만 『오륜』에서는 구개음화 이전의 (보수적) 표기형인 ‘딕희-’가 보다 우세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특이하게 『석보상절』에서는 “수(守)”의 의미로 ‘딕희-’(‘딕-’는 없음)와 ‘딕-’의 형태가 공존한다. ¶手苦 딕희여 이셔〈9:12ㄱ〉. 各各  나 딕흰 神靈이〈9:30ㄱ주〉. 그 어미 이 니 東山 딕희오고〈11:40ㄴ〉 ; 이제 神通力으로 이 經을 딕야 護持야〈21:59ㄱ〉. 이러한 공존은 ‘딕희/딕’의 활용형(예: 딕야)으로부터 ‘딕-’가 재구조화됨으로써 ‘딕희/딕-~딕-’가 쌍형 어간으로 존재한 현실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 (‘딕-’가 분석될) ‘딕야’의 출현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딕희/딕-’와 ‘딕-’의 성조가 평거(平去) 내지 평평(平平)으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 등장하는 ‘딕-’의 존재도 ‘딕희/딕-’의 쌍형 어간으로 존재한 ‘딕-’의 방증이 될 것이다. ¶比丘 시고 뷘 房 딕라 시니〈월인석보(1459) 7:6ㄱ〉. 이런 險 길헤 어우러 딕사다〈월인석보 22:9ㄴ〉. 門 딕 사미 어디니란 드로 듣고 모디니란 마가 禁止홈 니라〈원각경언해(1465) 상2-2:106〉.
주005)
죽어디라:죽기를 바란다. 죽고 싶다.『이륜』류에는 ‘죽거지라’로 나타나, ‘-거지라〉-어지라’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에서는 화자의 “소망”을 표현하는 데 쓰인 종결형 ‘-거지라’는 선행 어간이 타동사이면 ‘-어지라’로 교체되었으나, 『오륜』에서는 선행 어간의 타동성 여부에 관계없이 ‘-어지라’로 통일된 양상을 보여 준다. ‘-어지라’가 ‘-어디라’로 나타난 것은 구개음화를 의식한 부정 회귀(不正回歸, fausse régression)의 결과이다.
주006)
불샹이:불쌍히. 『이륜(초)』에는 ‘어엿비’, 『이륜(중・영)』에는 ‘어엿’로 나타나, 종래의 ‘어엿브-’를 ‘불샹-’가 대치한 양상을 보여 준다. 『오륜』의 다른 곳에는 ‘불샹이’를 대신하여 원순모음화가 반영되지 않은 ‘블샹이’의 꼴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긍(矜), 린(僯)”을 뜻하는 ‘블샹-’는 『계축일기』를 위시하여 17세기 문헌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대군을 강홰로 옴기니 블샹더라 거〈계축일기 상:39ㄴ〉.
주007)
노화:놓아. 『이륜』류에는 ‘노하’로 나타난다. 이곳의 ‘노화’는 선행 음절 ‘ㅗ’의 영향으로 일종의 원순성 동화가 일어나 후행 음절에 원순성 반모음 w가 첨가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