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3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3권
  • 오륜행실 열녀도
  • 오륜행실열녀도(五倫行實烈女圖)
  • 취가취팽(翠哥就烹)
메뉴닫기 메뉴열기

취가취팽(翠哥就烹)


오륜행실도 3:57ㄱ

翠哥就烹 주001)
취가취팽(翠哥就烹):
취가가 적에게 삶겨 죽임을 당하다. 이 이야기는 원사(元史) ‘열전(列傳) 제88 열녀(列女) 2’에 기록된 여러 여인 이야기 중 ‘이중의처류씨(李仲義妻劉氏)’로 시작되는 이야기다.
【元】

오륜행실도 3:57ㄴ

李仲義 주002)
이중의(李仲義):
원(元)나라 사람. 행적을 잘 알 수가 없음.
妻劉氏 名翠哥 房山 주003)
방산(房山):
옛 기록에 의하면, 1)직예(直隷)의 평산현(平山縣)서북쪽에 위치하며, 한 무제가 이 산위에 사당을 지었는데 지금의 ‘왕모관(王母觀)’이다. 2)경조(京兆) 방산현의 대방산(大房山)을 방산(房山)이라고 한다. 여기서는 두 번째의 방산을 말하는데 원나라 때 개명하였다.
人 至正二十年 縣大饑 平章 주004)
평장(平章):
관직명. 하남행성평장정사(河南行省平章政事).
劉哈剌不花 주005)
유하랄불화(劉哈剌不花):
몽고어로 ‘유하라부카’라고 한다. 원나라 사람으로, 하급관리인 연리(掾吏)였다가 하남행성평장정사(河南行省平章政事)가 되었음. 원나라 순제(順帝) 때, 요나라와 금나라, 송나라 삼대의 역사를 편찬하고, 승상이 된 태평(太平)에게 발탁되어 지정 18년(1358)에 홍건적을 크게 물리쳐 공을 세웠다.
兵乏食 執仲義欲烹之 仲義弟馬兒 走報劉氏 劉遽往救之 涕泣伏地告於兵曰 所執者 是吾夫也 乞矜憐之貸其生 吾家有醬一甕米一斗五升窖于地中 可掘取之 以代吾夫 兵不從 劉曰 吾夫瘐小不可食 吾聞婦人肥黑者味美 吾肥且黑 願就烹以代夫死 兵遂釋其夫而烹劉氏
季年 주006)
계년(季年):
말년(末年).
饑人起兵 人將相食競紛爭 釋夫心切生堪捨 慷慨持身自就烹
代夫身命卽捐軀 주007)
연구(捐軀):
몸을 버리다. 몸을 던지다. 즉, ‘죽는다’는 의미.
遂使奸兇噬我膚 高義感人人自服 聞風百世盡嗟

오륜행실도 3:58ㄱ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원나라 니듕의 쳐 뉴시의 일홈은 개니 방산 사이라 지뎡 이십년의 크게 흉년 드러 주008)
지뎡 이십년의 크게 흉년 드러:
지정(至正) 20년(1360)에 크게 흉년이 들어. ‘지정’은 원나라 순제(順帝) 때 연호(1341~1367)이다.
도적이 군냥이 업니 적댱이 주009)
도적이 군냥이 업니 적댱이:
도적(盜賊)이 군량(軍糧)이 없으니 적장(賊將)이. 원문 ‘平章劉哈剌不花兵乏食’을 의역한 것으로, ‘평장 유하랄불화가, 병사들이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리니’라고 풀이해야 할 부분을 ‘도적 적장’으로 풀이한 것이다. 평장은 유하랄불화의 직함인데, ‘하남행성평장정사’의 줄인 말이다. 유하랄불화의 몽고식 발음은 ‘유하라부카’라고 한다.
듕의 잡아 마 먹으려 거 뉴시  업여 울며 비러 오 주010)
뉴시  업여 울며 비러 오:
유씨(劉氏)가 땅에 엎드려 울며 빌어 말하기를. ‘’는 ‘[地]+(처소격 조사)’로서 ㅎ종성체언이다. ‘비러’(빌어)를 『삼강행실도』에서는 ‘굽스러’라는 말로 언해하였다. ‘굽스러(굽슬다)’는 ‘엎드려(엎드리다)’의 옛말이니, 원문 ‘복(伏)’의 풀이로서 ‘빌어’보다는 더 알맞은 풀이다. 바로 앞의 원문 ‘仲義弟馬兒 走報劉氏 劉遽往救之’ 부분이 생략되었는데, 『삼강행실도』에서는, ‘仲義의 이 라가아 아미 劉氏려 닐어늘(이중의의 동생이 달려가서 아주머니 유씨(劉氏)에게 말하니)’이라고 언해하였다. 좀더 정확히 풀이하자면, ‘이중의의 동생 마아(馬兒)가 〈집으로〉 달려가서 아주머니(형수) 유씨(劉氏)에게 〈이 사실을〉 말하니’라고 하여야 옳다.
내 지아비 살오면 주011)
내 지아비 살오면:
내 지아비를 살려주면. ‘살오다’는 ‘살리다’로서, ‘살-[生]+-오-+면’의 ‘-오-’는 동사 뒤에 붙어서, 사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현대말 ‘날리다, 울리다, 꿇리다, 알리다’ 등의 ‘-리-’와 같은 형태이다.
내 집의 댱  독과   말 닷 되  속에 무더시니 다 가지라 호 도적이 듯디 아니거 뉴시 오 지아비 여위고 져그니 먹엄즉디 아니디라 주012)
지아비 여위고 져그니 먹엄즉디 아니디라:
지아비는 여위고 적으니 먹음직하지 아니하므로. 남편은 살이 마르고 몸집이 적으니 먹을 만하지 않다.
내 드니 겨집이 고 검으면 마시 죠타 니 내 고 검은디라 지아

오륜행실도 3:58ㄴ

비 신에 겨디라 대 도적이 그 지아비 노코 뉴시 므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8. 취가취팽(翠哥就烹)【원(元)나라】 - 취가가 삶겨지다
원나라 이중의(李仲義)의 아내 유씨의 이름은 취가이니 방산(房山) 사람이다. 지정 이십년의 크게 흉년이 들어 도둑이 군량(軍糧)이 없으니, 적장이 이중의를 잡아 삶아 먹으려고 하므로 유씨가 땅에 엎드려 울며 빌어 말하기를, “내 지아비를 살려 주면 내 집의 간장 한 독과 쌀 한 말 닷 되를 땅속에 묻었으니 다 가져가라.”라고 하여도, 도둑이 듣지 아니하므로, 유씨 말하기를, “지아비는 여위고 〈체구가〉 작으니 먹음직하지 아니합니다. 내가 들으니, 여자가 살찌고 검으면 맛이 좋다고 합니다. 내가 살찌고 검은지라 지아비 대신에 삶아 먹기 바랍니다.”라고 하니, 도둑이 그 지아비를 놓아 주고 유씨를 삶았다.
원나라 말년에 기아(饑餓)로 반란이 일어나고
사람들 서로 잡아먹고 다투다니 싸움 분분하다.
지아비를 풀어주면 생명을 버리기 간절히 원하고
강개한 분노의 몸을 내던져 스스로 삶겨져 죽어.
지아비의 몸과 목숨을 대신하여 몸을 던진 그녀
드디어 간흉(奸兇)으로 하여 그 살을 먹도록 하니.
높고 높은 의기 사람을 감동하게 하고 따르게 하며
백세(百世)를 두고 전해지나니 모두 탄식하도록 해.
Ⓒ 역자 | 이수웅 / 2016년 11월 일

〈삼강행실언해문〉
平章 劉哈刺不花의 兵馬ㅣ 李仲義 자바 모려 커늘 仲義의 이 라가아 아미 劉氏려 닐어늘 劉 氏 믄득 가아 울며 굽스러 닐오 뎨 내 남지니니 사쇼셔 우리 지븨 醬  독과   말 닷 되 잇니 그를 가져오시고 내 남지란 노쇼셔 야 듣디 아니커늘 닐오 내 남지 여위오 젹거니와 지고 거믄 겨지비 마시 됴타 니 내 지고 거므니 내 갑새 죽가지다 야 兵馬ㅣ 남지란 노코 劉氏 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취가취팽(翠哥就烹):취가가 적에게 삶겨 죽임을 당하다. 이 이야기는 원사(元史) ‘열전(列傳) 제88 열녀(列女) 2’에 기록된 여러 여인 이야기 중 ‘이중의처류씨(李仲義妻劉氏)’로 시작되는 이야기다.
주002)
이중의(李仲義):원(元)나라 사람. 행적을 잘 알 수가 없음.
주003)
방산(房山):옛 기록에 의하면, 1)직예(直隷)의 평산현(平山縣)서북쪽에 위치하며, 한 무제가 이 산위에 사당을 지었는데 지금의 ‘왕모관(王母觀)’이다. 2)경조(京兆) 방산현의 대방산(大房山)을 방산(房山)이라고 한다. 여기서는 두 번째의 방산을 말하는데 원나라 때 개명하였다.
주004)
평장(平章):관직명. 하남행성평장정사(河南行省平章政事).
주005)
유하랄불화(劉哈剌不花):몽고어로 ‘유하라부카’라고 한다. 원나라 사람으로, 하급관리인 연리(掾吏)였다가 하남행성평장정사(河南行省平章政事)가 되었음. 원나라 순제(順帝) 때, 요나라와 금나라, 송나라 삼대의 역사를 편찬하고, 승상이 된 태평(太平)에게 발탁되어 지정 18년(1358)에 홍건적을 크게 물리쳐 공을 세웠다.
주006)
계년(季年):말년(末年).
주007)
연구(捐軀):몸을 버리다. 몸을 던지다. 즉, ‘죽는다’는 의미.
주008)
지뎡 이십년의 크게 흉년 드러:지정(至正) 20년(1360)에 크게 흉년이 들어. ‘지정’은 원나라 순제(順帝) 때 연호(1341~1367)이다.
주009)
도적이 군냥이 업니 적댱이:도적(盜賊)이 군량(軍糧)이 없으니 적장(賊將)이. 원문 ‘平章劉哈剌不花兵乏食’을 의역한 것으로, ‘평장 유하랄불화가, 병사들이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리니’라고 풀이해야 할 부분을 ‘도적 적장’으로 풀이한 것이다. 평장은 유하랄불화의 직함인데, ‘하남행성평장정사’의 줄인 말이다. 유하랄불화의 몽고식 발음은 ‘유하라부카’라고 한다.
주010)
뉴시  업여 울며 비러 오:유씨(劉氏)가 땅에 엎드려 울며 빌어 말하기를. ‘’는 ‘[地]+(처소격 조사)’로서 ㅎ종성체언이다. ‘비러’(빌어)를 『삼강행실도』에서는 ‘굽스러’라는 말로 언해하였다. ‘굽스러(굽슬다)’는 ‘엎드려(엎드리다)’의 옛말이니, 원문 ‘복(伏)’의 풀이로서 ‘빌어’보다는 더 알맞은 풀이다. 바로 앞의 원문 ‘仲義弟馬兒 走報劉氏 劉遽往救之’ 부분이 생략되었는데, 『삼강행실도』에서는, ‘仲義의 이 라가아 아미 劉氏려 닐어늘(이중의의 동생이 달려가서 아주머니 유씨(劉氏)에게 말하니)’이라고 언해하였다. 좀더 정확히 풀이하자면, ‘이중의의 동생 마아(馬兒)가 〈집으로〉 달려가서 아주머니(형수) 유씨(劉氏)에게 〈이 사실을〉 말하니’라고 하여야 옳다.
주011)
내 지아비 살오면:내 지아비를 살려주면. ‘살오다’는 ‘살리다’로서, ‘살-[生]+-오-+면’의 ‘-오-’는 동사 뒤에 붙어서, 사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현대말 ‘날리다, 울리다, 꿇리다, 알리다’ 등의 ‘-리-’와 같은 형태이다.
주012)
지아비 여위고 져그니 먹엄즉디 아니디라:지아비는 여위고 적으니 먹음직하지 아니하므로. 남편은 살이 마르고 몸집이 적으니 먹을 만하지 않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