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3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3권
  • 오륜행실 열녀도
  • 오륜행실열녀도(五倫行實烈女圖)
  • 왕씨경사(王氏經死)
메뉴닫기 메뉴열기

왕씨경사(王氏經死)


오륜행실도 3:52ㄴ

王氏經死【元】

오륜행실도 3:53ㄱ

惠士玄 주001)
혜사현(惠士玄):
본문 왕씨의 남편이나 행적을 잘 알 수 없음. 아내 왕씨는 남편의 똥 맛을 보아 병의 정도를 알아내고자 함. 이렇게 똥으로 병의 정도를 알아내는 이야기는 중국에서나 우리나라에서나 여러 가지 형태의 설화로 전하고 있다.
妻王氏 大都 주002)
대도(大都):
원나라의 수도. 지금의 북경.
人 士玄病革 주003)
병혁(病革):
병이 중하고 깊음. ‘혁(革)’은 매우 급하다는 뜻. 『삼강행실도』에서는 ‘도옛거늘’(되었거늘)로 언해하여 중병임을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王曰 吾聞病者糞苦則愈 乃嘗其糞頗甘 王色愈憂 士玄囑王曰 我病必不起 前妾所生子 汝善保護之 待此子稍長 卽從汝自嫁矣 王泣曰 君何爲出此言邪 設有不諱 妾義當死 尙復有他說乎 君幸有兄嫂 此兒必不失所 居數日士玄卒 王居墓側 蓬首垢面 哀毁逾禮 주004)
유예(逾禮):
일상적인 예를 초월하여 지성을 다함의 의미.
常以妾子置左右 飮食寒煖 惟恐不至 歲餘妾子亦死 乃哭曰 無復望矣 屢引刀自殺 家人驚救得免 至終喪 親舊皆携酒禮祭士玄于墓 祭畢 衆欲行酒 王已經死 주005)
경사(經死):
목매어 죽음.
於樹矣

오륜행실도 3:53ㄴ

病勢纏緜 주006)
전면(纏緜):
실이 얽히고설킨 모양. 여기서는 병이 심하여 낫기가 어렵다는 의미.
已向深 糞甜憂思更欽欽 延生閱歲無他意 不負良人囑子心
夫死廬墳 주007)
여분(廬墳):
죽은 자의 무덤가에 지은 초막.
正致哀 遺孤亦逝已焉哉 終喪便爾自經死 親舊無由行酒 주008)
행주(行酒):
술을 잔에 따라 올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원나라 혜현의 쳐 왕시 대도 사이니 현이 병이 듕거 왕시 오 내 드니 병든 사의 이 면 낫다 고 주009)
이 면 낫다 고:
똥이 쓰면 낫는다 하고.
그 을 맛보니 마시 디라 주010)
맛보니 마시 디라:
맛을 보니 맛이 달므로.
왕시 더옥 근심더니 현이 왕시려 당부여 오 내 병이 반시 니디 못디라 죽은 쳡의 아을 주011)
죽은 쳡의 아을:
죽은 첩의 아들을. 『삼강행실도』에서는 ‘고마 나혼 子息을’이라고 언해하였다. ‘고마’는 ‘첩(妾)’의 옛말이다.
잘 길러 라거든 가여 가

오륜행실도 3:54ㄱ

주012)
가여 가라:
개가(改嫁)하여 가거라. 『삼강행실도』에서는 ‘다 남진 어르라’(다른 남자와 혼인하라)라고 언해하였다. 이와 같이 『삼강행실도』에서 쓰던 순우리말 낱말이 『오륜행실도』에서는 한자말로 교체된 것을 볼 수 있다.
니 왕시 울며 오 그 엇디 이런 말을 뇨 그 죽으면 내 가지로 죽으리니 내 비록 죽어도 그 형쉬이시니 죡히 아 기리라 주013)
그 형쉬 이시니 죡히 아 기리라:
그대의 형수가 있으니 족히 아이를 기를 것입니다. 『삼강행실도』에서는 ‘兄 겨지비 이실 이 아기 다 이대 길리다’라고 하여, ‘형수’를 ‘兄 겨집’이라 하였다. ‘다’는 ‘마땅히’의 뜻이고, ‘이대’는 ‘잘, 좋이’의 말이다. ‘길리다’는 ‘길러 질 것입니다, 양육될 것입니다, 키울 것입니다’의 뜻이다.
더니 현이 죽으매 왕시 무덤 겻 이셔 소셰 폐고 주014)
소셰 폐고:
소세(梳洗)를 폐(廢)하고. 머리 빗고 세수하는 일을 하지 않고.
훼미 녜에 넘게 고 주015)
훼미 녜에 넘게 고:
애훼(哀毁)함이 예(禮)에 넘치게 하고. 슬퍼함이 예법에 넘치게 하고. 지극한 정성으로 보살피고.
쳡아을 겻 두어 지셩을 기더니 그 아  죽으니 우러 오 이제 다시 랄거시 업다 고 여러번 칼을 가져 스로 멱디르려 거 주016)
스로 멱디르려 거:
스스로 목을 찌르려고 하거늘.
집사이 급히 구여 죽디 못고 인여 삼년을 니 친귀 다 술을 가지고 주017)
친귀 다 술을 가지고:
친구(親舊)가 모두 술을 가지고. ‘친구’는 『삼강행실도』에서 풀이한 것과 같이, ‘아로리 히 다 스울 가지고’처럼 ‘아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즉 현대말 ‘친구’와는 다른 뜻으로 쓰인 말이다.
현의 무덤에 졔더니 졔

오륜행실도 3:54ㄴ

 매 왕시 이믜 남게 목여 죽엇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6. 왕씨경사(王氏經死)【원(元)나라】 - 왕씨 목매어 죽다
원나라 혜사현(惠士玄)의 아내 왕씨는 대도(大都) 사람이다. 혜사현이 병이 중해졌으므로, 왕씨가 말하기를, “내가 들으니 병든 사람의 똥이 쓰면 낳는다.”라고 하고, 그 똥을 맛을 보니 맛이 달았다. 왕씨 더욱 근심하였다. 혜사현이 왕 씨에게 당부하여 말하기를, “나의 병이 반드시 일어나지 못할 것이다. 죽은 첩의 아들을 잘 길러 자라거든 개가(改嫁)하여 가라”라고 하였다. 왕씨 울며 말하기를, “그대 어찌 이런 말을 하나요? 당신 죽으면 내 함께 죽을 것이다. 내가 비록 죽더라도 당신의 형수(兄嫂)가 있으니, 족히 아이를 기를 것이다.”라고 하였다. 혜사현이 죽음으로 왕씨 무덤 곁을 떠나지 않고 있어, 머리를 빗고 세수를 하지 않고, 슬퍼하고 불쌍해하는 것을 예를 넘어 하였다. 첩의 아들을 곁에 두고(어) 지성으로 길렀다. 그 아이가 또 죽으니 우러러 말하기를, “이제는 다시 바랄 것이 없다.”라고 하고, 여러 번 칼을 가져와 스스로 목을 찌르려고 하였으므로, 그렇거늘 집의 사람들이 급히 구하여 죽지 못하고 인하여 삼 년을 마쳤다. 친구가 모두 술을 가지고와 혜사현의 무덤에 제사를 지내었다. 제사를 마칠 마지막에 왕씨는 이미 나무에 목매어 죽었다.
병세가 더욱 얽히어 매우 깊어지는데
똥의 맛이 다니 걱정은 더욱 짙어만 가.
목숨을 이어가기 여러 해 다른 뜻 없어
남편의 아들의 부탁 저버릴 수 없음이다.
남편이 죽어 묘막에서 바로 슬픔을 울어
외로운 아들마저 죽으니 이를 어찌하나.
장사를 끝낸 뒤에 바로 목매어 죽으니
친구들 잔에 술을 따라 올릴 수 없노라.
Ⓒ 역자 | 이수웅 / 2016년 11월 일

〈삼강행실언해문〉
惠士玄이 病이 도옛거늘 겨집 王氏 닐오 나 드로니 곳 면 됴리라 다 고 머거 보니 져기 어늘 더욱 시름야 더니 남지니 닐오 내 病이 다 몯 됴리로소니 고마 나혼 子息을 네 이대 길어 라거든 네 다 남진 어르라 王氏 우러 닐오 엇뎨 이런 마 시고 다가 업스시면 내 다 주구리니 다 마리 이시리가 兄 겨지비 이실 이 아기 다 이대 길리다 더니 사나 고 남지니 죽거늘 王氏 墓ㅅ 겨틔 사라 너므 슬허 며 녜 그 아기 겨틔 두고 밥 머기며 덥시기 盡情야 더니   나마 그 아기  죽거늘 울며 닐오 외야 라올 일 업거다 고 조 갈로 주구려 커늘 집 사미 놀라아 救야 뒷더니 居喪 차 아미며 아로리 히 다 스울 가지고 墓애 禮로 祭고 모다 수울 머구려 거늘 王氏 쎠 남 목 여 주그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혜사현(惠士玄):본문 왕씨의 남편이나 행적을 잘 알 수 없음. 아내 왕씨는 남편의 똥 맛을 보아 병의 정도를 알아내고자 함. 이렇게 똥으로 병의 정도를 알아내는 이야기는 중국에서나 우리나라에서나 여러 가지 형태의 설화로 전하고 있다.
주002)
대도(大都):원나라의 수도. 지금의 북경.
주003)
병혁(病革):병이 중하고 깊음. ‘혁(革)’은 매우 급하다는 뜻. 『삼강행실도』에서는 ‘도옛거늘’(되었거늘)로 언해하여 중병임을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주004)
유예(逾禮):일상적인 예를 초월하여 지성을 다함의 의미.
주005)
경사(經死):목매어 죽음.
주006)
전면(纏緜):실이 얽히고설킨 모양. 여기서는 병이 심하여 낫기가 어렵다는 의미.
주007)
여분(廬墳):죽은 자의 무덤가에 지은 초막.
주008)
행주(行酒):술을 잔에 따라 올림.
주009)
이 면 낫다 고:똥이 쓰면 낫는다 하고.
주010)
맛보니 마시 디라:맛을 보니 맛이 달므로.
주011)
죽은 쳡의 아을:죽은 첩의 아들을. 『삼강행실도』에서는 ‘고마 나혼 子息을’이라고 언해하였다. ‘고마’는 ‘첩(妾)’의 옛말이다.
주012)
가여 가라:개가(改嫁)하여 가거라. 『삼강행실도』에서는 ‘다 남진 어르라’(다른 남자와 혼인하라)라고 언해하였다. 이와 같이 『삼강행실도』에서 쓰던 순우리말 낱말이 『오륜행실도』에서는 한자말로 교체된 것을 볼 수 있다.
주013)
그 형쉬 이시니 죡히 아 기리라:그대의 형수가 있으니 족히 아이를 기를 것입니다. 『삼강행실도』에서는 ‘兄 겨지비 이실 이 아기 다 이대 길리다’라고 하여, ‘형수’를 ‘兄 겨집’이라 하였다. ‘다’는 ‘마땅히’의 뜻이고, ‘이대’는 ‘잘, 좋이’의 말이다. ‘길리다’는 ‘길러 질 것입니다, 양육될 것입니다, 키울 것입니다’의 뜻이다.
주014)
소셰 폐고:소세(梳洗)를 폐(廢)하고. 머리 빗고 세수하는 일을 하지 않고.
주015)
훼미 녜에 넘게 고:애훼(哀毁)함이 예(禮)에 넘치게 하고. 슬퍼함이 예법에 넘치게 하고. 지극한 정성으로 보살피고.
주016)
스로 멱디르려 거:스스로 목을 찌르려고 하거늘.
주017)
친귀 다 술을 가지고:친구(親舊)가 모두 술을 가지고. ‘친구’는 『삼강행실도』에서 풀이한 것과 같이, ‘아로리 히 다 스울 가지고’처럼 ‘아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즉 현대말 ‘친구’와는 다른 뜻으로 쓰인 말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