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3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3권
  • 오륜행실 열녀도
  • 오륜행실열녀도(五倫行實烈女圖)
  • 양씨피살(梁氏被殺)
메뉴닫기 메뉴열기

양씨피살(梁氏被殺)


오륜행실도 3:44ㄴ

梁氏被殺【宋】

오륜행실도 3:45ㄱ

梁氏 臨川 주001)
임천(臨川):
중국의 지명. 3국 오나라 때의 설치하였는데 원나라 때에 폐지함. 지금의 강서 임천현(臨川縣)서쪽임.
주002)
귀(歸):
시집가다의 뜻.
王氏纔數月 會元兵至 與夫約曰 吾遇兵必死 義不受汗辱 頃之 주003)
경지(頃之):
얼마가 안 되어. 깜박 할 사이.
夫婦被掠 有軍千戶 주004)
유군천호(有軍千戶):
천호의 군대를 만나. 천호(千戶)는 만호(萬戶), 백호(百戶)와 더불어 관령(管領)하는 민호(民戶)의 수에 따라 붙여진 관직이름인데, 이러한 관직 체계는 중국 원나라에서 특히 발달하여서, 우리나라 고려에도 영향을 주었다.
强使從已 婦紿曰 夫在 伉儷之情 주005)
항려지정(伉儷之情):
부부의 정.
有所不忍 乞歸之而後可 千戶以所得金帛與其夫而歸之 幷與一矢以却後兵 約行十餘里 千戶卽之 주006)
천호즉지(千戶卽之):
적군 천호가 곧 가다.
婦拒且罵曰 斫頭奴 吾與夫誓 天地鬼神寔臨之 此身寧死 不可得也 因奮搏之 乃被殺
梁氏于歸數月餘 元兵孔熾 주007)
공치(孔熾):
참으로 치열하다. ‘공(孔)’은 ‘매우’, ‘심히 ’의 뜻.
乘虛 주008)
승허(乘虛):
허공을 타듯이.
自知未遂偕生計 誓死蒼天實鑑予
家室俱爲虜所擒 주009)
위로소금(爲虜所擒):
포로로 붙잡히게 되었다.
緩辭元是活夫心 忘生抗節誰能犯 磊落貞姿想至

오륜행실도 3:45ㄴ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냥시 송적 왕가의 쳬니 님쳔 사이라 주010)
냥시 송적 왕가의 쳬니 님쳔 사이라:
양씨(梁氏)는 송나라 때 왕가(王哥)의 처(妻)로서 임천(臨川) 사람이다.
싀집간 디 두어의 난을 만나 주011)
싀집간 디 두어의 난을 만나:
시집간 지 두어달만에 난리를 만나서. 원문은 ‘歸王氏纔數月 會元兵至(왕씨네 집에 시집간 지 두어 달만에 원나라 병사가 쳐들어와 잡혀서)’라고 하였다.
지아비와 언약여 오 주012)
지아비와 언약여 오:
남편 왕씨에게 언약(言約)하며 말하기를.
내 죽을디언뎡 주013)
내 죽을디언뎡:
내가 죽을지언정. 원문 ‘吾遇兵必死(내가 적군을 맞닥뜨려서 반드시 죽게 되더라도)’를 축약하여 풀이한 것인데, 『삼강행실도』에서는 ‘一定야 주구리니’라고 풀이하였다. ‘일정(一定)하다’는 우리말에서, 주로 ‘변동이 없거나 정해져 있는 그대로’의 뜻으로 쓰이나, 옛말로는 ‘반드시. 필히. 꼭. 불변하게. 필연적으로’라는 뜻으로 함께 쓰였다.
도적의게 욕을 밧디 아니리라 더니 부뷔 다 도적의게 잡히여 주014)
부뷔 다 도적의게 잡히여:
부부(夫婦)가 모두 도적에게 잡히어서. 『삼강행실도』에서는 ‘갓시 자펴 나거늘(부부가 잡혀 나가니)’라고 풀이하였는데, ‘갓시’는 원문 ‘부부(夫婦)’를 언해한 말이므로, ‘남편과 아내’를 모두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중세어 ‘갓시’는 오직 이 한 곳일 뿐, 다른 용례를 찾아볼 수 없고, ‘갓/가시(아내)’는 ‘각시’로도 표기되므로, ‘갓시’가 ‘각시’의 또다른 표기일 수도 있겠다.
적댱이 냥시 겁박려 니 냥시 소겨 오 지아비 이시니 도라보낸 후에 너 조리라 적댱이 고디듯고 그 지아비 금과 비단을 주고  살 나흘 주어 주015)
 살 나흘 주어:
또 화살 하나를 주어.
보람 삼아 길에 다른 도적이 해티 못게 여 보내니 주016)
보람 삼아 길에 다른 도적이 해티 못게 여 보내니:
표시 삼아 길에 다른 도적이 해치지 못하게 하라고 〈멀리〉 보내니. 도적이 남편 왕씨에게 멀리 가서 망을 보라고 하는 것이다.
냥시 그 지아비 먼리 갈 만여 적댱을 지

오륜행실도 3:46ㄱ

저 오 죽일 놈아 내 지아비와 셰여시니 텬디 귀신이 실노 아신디라 죽을디언뎡 엇디 너 조리오 고 인여 냅더 티다가 내 도적의게 죽으니라 주017)
냅더 티다가 내 도적의게 죽으니라:
냅다 치다가 마침내 도적에게 죽었다. 분주히 달아나려고 도망치다가 끝내 피살(被殺)되었다. 원문 ‘인분박지(因奮搏之)’를 ‘냅더 티다가’로 언해한 것이니, ‘냅더’는 부사 ‘냅다’로서 ‘몹시 빠르고 세찬 모양’이다.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2. 양씨피살(梁氏被殺)【송나라】 - 〈남편을 살리고〉 양 씨 죽임을 당하다
양씨는 송나라 때의 왕가의 아내이니 임천(臨川) 사람이다. 시집을 간지 두어 달인데(의) 전란을 만나 지아비와 언약하여, “내 죽을지언정 도적에게 욕을 당하지 아니하리라.”고 말하였다. 〈얼마 되지 않아〉 부부 모두 도적에게 잡히었다. 도적의 장이 양씨를 겁박하려고 하니, 양씨가 거짓으로 말하기를, “남편이 〈여기〉 있으니 돌려보낸 뒤에 당신을(너를) 쫓으리라.”고 하였다. 적장이 곧이듣고 그의 남편에게 금과 비단을 주고, 또 화살 하나를 주어서 〈신변의 안전을〉 보장 삼아 가는 길에 다른 도적이 해하지 못하게 하여 보내었다. 양씨는 그의 남편이 멀리 갔을 것으로 여기어 적장을 꾸짖어 말하기를, “죽일 놈아 내 남편과 맹서하였으니, 천지의 귀신이 실로 알고 계신지라, 죽을지언정 어찌 너를 따르겠느냐?” 하고, 인하여 냅다 치다가 마침내 도적에게 죽었다.
양씨가 시집간 지 두어 달밖에 되지 않았는데
원나라 군사 참으로 무섭게 허공을 탄 듯 침입해.
스스로 남편과 백년해로를 못할 것을 알고
죽음으로 푸른 하늘에 맹서하니 실로 나를 볼 터.
집안사람들 잡혀가고 살림살이 모두를 빼앗기고
조용한 말로 달래임은 원래 지아비 살리려는 마음.
생명을 버리고 절개를 막아내니 누가 침범을 하랴
높고 높은 정절의 모습은 오늘에도 생각하게 해.
Ⓒ 역자 | 이수웅 / 2016년 11월 일

〈삼강행실언해문〉
梁氏 남지 지븨 온 두 래 元ㅅ 兵馬ㅣ 다와다 오거늘 남진과 期約호 내 一定야 주구리니 현마 受辱 아니호리라 이고 갓시 자펴 나거늘  千戶ㅣ 구틔여 어루려 커늘 소겨 닐오 남지니 이실 디 몯야 노니 보낸 後에 그리호리다 千戶ㅣ 金과 깁과로 남진 주고  살 니르리 주어 도 마라 야 보내야 十里 남 갈 만 야 千戶ㅣ 梁氏ㅅ게 나간대 거슬며 구지조 목 버힐 노마 내 남진과 盟誓호니 天地 鬼神이 아시니라 이 모 히 주글 몯 得리라 고 텨늘 주기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임천(臨川):중국의 지명. 3국 오나라 때의 설치하였는데 원나라 때에 폐지함. 지금의 강서 임천현(臨川縣)서쪽임.
주002)
귀(歸):시집가다의 뜻.
주003)
경지(頃之):얼마가 안 되어. 깜박 할 사이.
주004)
유군천호(有軍千戶):천호의 군대를 만나. 천호(千戶)는 만호(萬戶), 백호(百戶)와 더불어 관령(管領)하는 민호(民戶)의 수에 따라 붙여진 관직이름인데, 이러한 관직 체계는 중국 원나라에서 특히 발달하여서, 우리나라 고려에도 영향을 주었다.
주005)
항려지정(伉儷之情):부부의 정.
주006)
천호즉지(千戶卽之):적군 천호가 곧 가다.
주007)
공치(孔熾):참으로 치열하다. ‘공(孔)’은 ‘매우’, ‘심히 ’의 뜻.
주008)
승허(乘虛):허공을 타듯이.
주009)
위로소금(爲虜所擒):포로로 붙잡히게 되었다.
주010)
냥시 송적 왕가의 쳬니 님쳔 사이라:양씨(梁氏)는 송나라 때 왕가(王哥)의 처(妻)로서 임천(臨川) 사람이다.
주011)
싀집간 디 두어의 난을 만나:시집간 지 두어달만에 난리를 만나서. 원문은 ‘歸王氏纔數月 會元兵至(왕씨네 집에 시집간 지 두어 달만에 원나라 병사가 쳐들어와 잡혀서)’라고 하였다.
주012)
지아비와 언약여 오:남편 왕씨에게 언약(言約)하며 말하기를.
주013)
내 죽을디언뎡:내가 죽을지언정. 원문 ‘吾遇兵必死(내가 적군을 맞닥뜨려서 반드시 죽게 되더라도)’를 축약하여 풀이한 것인데, 『삼강행실도』에서는 ‘一定야 주구리니’라고 풀이하였다. ‘일정(一定)하다’는 우리말에서, 주로 ‘변동이 없거나 정해져 있는 그대로’의 뜻으로 쓰이나, 옛말로는 ‘반드시. 필히. 꼭. 불변하게. 필연적으로’라는 뜻으로 함께 쓰였다.
주014)
부뷔 다 도적의게 잡히여:부부(夫婦)가 모두 도적에게 잡히어서. 『삼강행실도』에서는 ‘갓시 자펴 나거늘(부부가 잡혀 나가니)’라고 풀이하였는데, ‘갓시’는 원문 ‘부부(夫婦)’를 언해한 말이므로, ‘남편과 아내’를 모두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중세어 ‘갓시’는 오직 이 한 곳일 뿐, 다른 용례를 찾아볼 수 없고, ‘갓/가시(아내)’는 ‘각시’로도 표기되므로, ‘갓시’가 ‘각시’의 또다른 표기일 수도 있겠다.
주015)
 살 나흘 주어:또 화살 하나를 주어.
주016)
보람 삼아 길에 다른 도적이 해티 못게 여 보내니:표시 삼아 길에 다른 도적이 해치지 못하게 하라고 〈멀리〉 보내니. 도적이 남편 왕씨에게 멀리 가서 망을 보라고 하는 것이다.
주017)
냅더 티다가 내 도적의게 죽으니라:냅다 치다가 마침내 도적에게 죽었다. 분주히 달아나려고 도망치다가 끝내 피살(被殺)되었다. 원문 ‘인분박지(因奮搏之)’를 ‘냅더 티다가’로 언해한 것이니, ‘냅더’는 부사 ‘냅다’로서 ‘몹시 빠르고 세찬 모양’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