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3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3권
  • 오륜행실 열녀도
  • 오륜행실열녀도(五倫行實烈女圖)
  • 서씨매사(徐氏罵死)
메뉴닫기 메뉴열기

서씨매사(徐氏罵死)


오륜행실도 3:35ㄴ

徐氏罵死【宋】

오륜행실도 3:36ㄱ

徐氏 和州人閎中女 適同郡張弼 주001)
장필(張弼):
송(宋)나라 선유(仙游) 사람. 공부를 좋아 했으며, 특히 역(易)을 깊이 연구하고 상수(象數)를 밝힘. 역가(易家)로서의 그의 저서인 『역해(易解)』가 알려지고, 나라에서는 ‘보광처사(保光處士)’라는 호를 하사하였다.〈송사(宋史)〉.
建炎 주002)
건염(建炎):
남송 고종의 첫 번째 연호. 1127년부터 1130년까지 4년 동안의 연호.
三年 金人 주003)
금인(金人):
금나라 사람. 여기서는 송나라를 침범한 금군(金軍)을 일컬음.
維揚 주004)
유양(維揚):
지금의 강소성 양주시(揚州市).
官軍望風奔潰 多肆虜掠 執徐欲汗之 徐瞋目大罵曰 朝廷蓄汝輩以備緩急 今敵犯行在 旣不能赴難 又乘時爲盜 我恨一女子 不能引劒斷汝頭 以快衆憤 肯爲汝辱 以苟活耶 第速殺我 賊慚恚以刃刺殺之 投江中而去
官軍奔潰自相屠 徐氏蒼皇被執拘 不獨當時全淑行 美名今日上新圖
大罵言辭出至忱 官軍將卒獨何心 至今江水鳴嗚咽 多少行人痛憤深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오륜행실도 3:36ㄴ

셔시 송나라 화쥬 사이니 댱필의 쳬 되엿더니 이에 금인이 텨드러오니 주005)
텨드러오니:
쳐들어오니. 들이쳐 오니.
관군이 패야 라날 주006)
관군이 패야 라날:
관군(官軍)이 패배(敗北)하여 달아나므로. 이때 관군은 송나라 군대를 가리킨다. 『삼강행실도』의 협주에서는, ‘官軍은 그윗 軍馬ㅣ라’라고 하였는데, ‘그윗’은 ‘그위(관청, 공관)+ㅅ(관형격)’이다. ‘그위’는 15세기 중세어로서 많이 쓰던 말인데 18세기에는 ‘관군’ 등으로 대체된 것을 볼 수 있다. ‘그우실(관직)’〈내훈〉(1522), ‘그우실다(벼슬하다)’〈원각경언해〉(1465), ‘그위실(공직 관직)’〈선종영가집언해〉(1495), ‘그위실다(벼슬하다)’〈능엄경언해(1461), 내훈, 삼강행실도(1481)〉, ‘그위다(송사하다)’〈정속언해〉(1518), ‘그윗것(공물)’〈월인석보〉 (1459), ‘그윗곧(청사)’〈이륜행실도〉(1518), ‘그윗글왈(공안(公案))’〈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1472), ‘그윗일(공사(公事))’〈법화경언해(1463), 원각경언해〉, ‘그윗집(관사, 공관)’〈두시언해〉(1481) 등 다양하게 쓰이던 말이 『내훈』(1522) 이후로는 잘 보이지 않고, 그 자리에 ‘관군’과 같은 말이 나타나고 있다.
두로 노략여 주007)
두로 노략여:
두루 노략(虜掠)하여. ‘다사(多肆)’는 ‘심히 방자하게’라는 말인데 ‘두로(두루)’로 해석하였다. 『삼강행실도』에서는 ‘(매우, 한껏, 크게)’이라고 언해하였다.
셔시 잡아 핍박고져 거 셔시 눈을 부고 주008)
눈을 부고:
눈을 부릅뜨고.
지저 오 나라히 너희 길러 급 에 려 시거 이제 도적이 나라흘 범호 능히 구티 못고 도로혀 어즈러오믈 인여 도적이 되니 내  녀라 너희 마리 버히디 못믈 니 엇디 네게 욕을 보고 구챠히 살리오 리 날을 죽이라 대 도적이 븟그리고 노여 죽여 강믈에 더디고 가니라 주009)
강믈에 더디고 가니라:
강물에 던지고 갔다.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8. 서씨매사(徐氏罵死)【송나라】- 서씨가 〈도적을〉 꾸짖다가 죽다
서씨는 송나라 화주(和州) 사람이다. 장필(張弼)의 아내가 되었는데, 이때에 금(金)나라 사람이 쳐들어왔다. 관군이 패하여 달아나므로, 두루 노략질을 하였다. 서씨를 잡아 핍박(욕을)을 하고자 하거늘, 서씨는 눈을 부릅뜨고 꾸짖어 말하기를, “나라는 너희를 길러 급한 때에 쓰려 하시거늘, 이제 도적이 나라를 침범하되 능히 구하지를 못하고 도리어 어지러움으로 인하여 도적이 되다니, 내 한낱 여자이라 너희 머리를 베지 못하는 것을 한탄한다. 〈그런데〉 어찌 네게 욕을 보고 구차하게 살겠는가? 빨리 나를 죽여라.”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도적이 부끄러워하고 노하여 죽이어 강물에 던지고 갔다.
송나라 군대 궤멸하여 달아나고 서로 죽이니
서 씨는 창황(蒼皇)하던 터에 잡히고 말아.
한낱 여인으로 당시에 온전한 맑은 행실 아니면
아름다운 이름 지금 새로운 책에 올릴 수 있을까.
크게 꾸짖는 말은 지극히 참된 마음에서 나왔거니
관군(官軍)의 장졸들은 유독 어떤 마음일런가?
지금의 강물은 큰소리로 오열(嗚咽)하며 흐르고
오고 가는 많은 사람들의 아픈 분노는 깊어라.
Ⓒ 역자 | 이수웅 / 2016년 11월 일

〈삼강행실언해문〉
金ㅅ 兵馬ㅣ 드리텨 오나 官軍이 라다가며 쳐 가며  虜掠더니≪官軍은 그윗 軍馬ㅣ라≫ 張弼의 겨집 徐氏 자바 더러려 커늘 徐氏 눈 브르  구지조 朝廷이 너희 치샤 이런 예 려 거시 이제 도기 行在所 犯屬거늘 救란 몯고  어더 도니 내  겨지비라 갈 가지고 내 머리 버혀  매 싀훠니 몯논 이 애라 가니 네게 受辱야 사로려 리여 리 나 주기라 도기 怒야 갈로 딜어 주겨 江애 드리디고 가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장필(張弼):송(宋)나라 선유(仙游) 사람. 공부를 좋아 했으며, 특히 역(易)을 깊이 연구하고 상수(象數)를 밝힘. 역가(易家)로서의 그의 저서인 『역해(易解)』가 알려지고, 나라에서는 ‘보광처사(保光處士)’라는 호를 하사하였다.〈송사(宋史)〉.
주002)
건염(建炎):남송 고종의 첫 번째 연호. 1127년부터 1130년까지 4년 동안의 연호.
주003)
금인(金人):금나라 사람. 여기서는 송나라를 침범한 금군(金軍)을 일컬음.
주004)
유양(維揚):지금의 강소성 양주시(揚州市).
주005)
텨드러오니:쳐들어오니. 들이쳐 오니.
주006)
관군이 패야 라날:관군(官軍)이 패배(敗北)하여 달아나므로. 이때 관군은 송나라 군대를 가리킨다. 『삼강행실도』의 협주에서는, ‘官軍은 그윗 軍馬ㅣ라’라고 하였는데, ‘그윗’은 ‘그위(관청, 공관)+ㅅ(관형격)’이다. ‘그위’는 15세기 중세어로서 많이 쓰던 말인데 18세기에는 ‘관군’ 등으로 대체된 것을 볼 수 있다. ‘그우실(관직)’〈내훈〉(1522), ‘그우실다(벼슬하다)’〈원각경언해〉(1465), ‘그위실(공직 관직)’〈선종영가집언해〉(1495), ‘그위실다(벼슬하다)’〈능엄경언해(1461), 내훈, 삼강행실도(1481)〉, ‘그위다(송사하다)’〈정속언해〉(1518), ‘그윗것(공물)’〈월인석보〉 (1459), ‘그윗곧(청사)’〈이륜행실도〉(1518), ‘그윗글왈(공안(公案))’〈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1472), ‘그윗일(공사(公事))’〈법화경언해(1463), 원각경언해〉, ‘그윗집(관사, 공관)’〈두시언해〉(1481) 등 다양하게 쓰이던 말이 『내훈』(1522) 이후로는 잘 보이지 않고, 그 자리에 ‘관군’과 같은 말이 나타나고 있다.
주007)
두로 노략여:두루 노략(虜掠)하여. ‘다사(多肆)’는 ‘심히 방자하게’라는 말인데 ‘두로(두루)’로 해석하였다. 『삼강행실도』에서는 ‘(매우, 한껏, 크게)’이라고 언해하였다.
주008)
눈을 부고:눈을 부릅뜨고.
주009)
강믈에 더디고 가니라:강물에 던지고 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