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3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3권
  • 오륜행실 열녀도
  • 오륜행실열녀도(五倫行實烈女圖)
  • 목강무자(穆姜撫子)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강무자(穆姜撫子)


오륜행실도 3:12ㄱ

穆姜 주001)
목강(穆姜):
진문구의 처로, 성은 이(李)씨며 이름은 알 수 없음. 그녀의 자가 ‘목강’이라고 한다.
撫子 주002)
무자(撫子):
‘자식을 부양하다. 아들을 사랑하다’라는 뜻. 여기서는 전처의 아들 넷을 가리킨다.
【漢】

오륜행실도 3:12ㄴ

陳文矩 주003)
진문구(陳文矩):
목강의 남편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생애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 『후한서(後漢書)』에는 ‘정문구(程文矩)’라고 하였다.
妻 字穆姜 有二男 而前妻四子 文矩爲安衆令 주004)
안중령(安衆令):
안중의 관원 혹은 현령. ‘안중’이 어디인지 기록을 찾을 수 없음.
喪於官 四子以母非所生 憎毁日積 而穆姜撫字益隆 衣食資供 皆兼倍所生 前妻子興 遇疾困篤 母親調藥膳 주005)
약선(藥膳):
약을 다려주다.
恩情篤密 興疾瘳 呼三弟謂曰 繼母慈仁 吾兄弟不識恩養 雖母道益隆 我曹過惡深矣 遂將三弟 詣南鄭獄 주006)
예남정옥(詣南鄭獄):
남쪽의 고을 옥을 찾아가다. 계모를 미워하고 헐뜯음이 지나쳐 이미 죄를 지었음으로 스스로 형벌을 받겠다고 옥을 찾아가는 것임.
陳母德狀 주007)
덕상(德狀):
덕의 모습.
已過 乞就刑辟 주008)
형벽(刑辟):
형벌. 죄지음대로 형벌을 받는 것을 뜻함.
縣言之於郡 表異 주009)
표이(表異):
표창하다.
其母 蠲除 주010)
견제(蠲除):
제거하다. 없이하다.
家徭 주011)
가요(家徭):
그 집의 부역(賦役). 당시 ‘복호(復戶)’라는 제도에 의하여 부역, 세금을 면제하였음.
遣散四子 許以修革 自後訓導愈明 並爲良士
移天已喪在惸惸 撫育諸孤倍所生 訓導愈明隆母道 終敎悔悟有賢名
義子頑愚視若讎 那

오륜행실도 3:13ㄱ

知慈母似鳲鳩 주012)
시구(鳲鳩):
뻐꾸기.
終然悔過爭歸獄 始信人心本不渝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한 적 주013)
한 적:
한(漢)나라 때.
진문구의 후쳐의  목강이니 아 둘흘 나코 주014)
아 둘흘 나코:
아들 둘을 낳고. ‘둘ㅎ’은 ㅎ종성체언이다.
젼쳐의게 주015)
젼쳐의게:
전처(前妻)에게. 전처가 낳은. 『삼강행실도』에서는 ‘몬졧 겨지븐’(먼저 계집은)으로 풀이하였다.
아 네히 주016)
아 네히:
아들 넷이. ‘넿’은 ㅎ종성체언이다.
잇더니 문귀 안듕 원이 되엿다가 주017)
문귀 안듕 원이 되엿다가:
문구(정문구)가 안중 땅의 원님이 되었다가.
임소에셔 죽으니 젼쳐의 네 아이 목강을 제 어미 아니라 야 훼방며 믜워기 날로 심되 목강이 랑기 더옥 극진히 여 주018)
더옥 극진히 여:
더욱 극진히 보살펴. 원문 ‘의식자공(衣食資供)’을 언해한 말이다. 직역하면 ‘옷과 밥을 제공하다, 옷밥을 공급(供給)하다’의 뜻인데 여기서는 의역한 것이다. 『삼강행실도』에서는 ‘의복과 음식, 의식(衣食)’을 ‘옷밥’이란 옛말로 표기하였다.
나흔 식에셔 더더라 주019)
나흔 식에셔 더더라:
낳은 자식보다 더 사랑하더라.
젼쳐의 아 흥이 병드럿거 목강이 친히 약과 음식을 보펴 은졍이 더옥 깁흐니 흥이 병이 나아 세 아려 닐

오륜행실도 3:13ㄴ

러 오 계뫼 우리 깁히 랑시거 주020)
깁히 랑시거:
깊이 사랑하시거늘. 극진히 사랑하시거늘. 원문 ‘자인(慈仁)’의 언해인데, 이를 『삼강행실도』에서는 ‘어엿비 너기거시’이라 하였다. ‘자비롭고 인자하다’의 뜻으로 15세기에는 ‘어엿비 너기다’라는 말을 썼는데 18세기에 와서 ‘랑하다’라는 말로 바뀌었다. 즉 처음엔 ‘생각하다, 자비를 베풀다’로 혼용하였으나 차츰 ‘사랑하다[愛]’로 뜻이 좁아졌음을 볼 수 있다. ¶손 머리 갓고 묏고래 이셔 道理 더니〈석보상절 6:12〉. 이티 컨댄[如是思惟컨댄]〈능엄경언해 1:105〉. 여듧 옰 刺史ㅣ  번 사호고져 니[八州刺史思一戰]〈두시언해 8:23〉./ 어버 子息 호 아니한 어니와〈석보상절 6:3〉. 虛 미라 오직 내 죄조 놋다[虛懷只愛才]〈두시언해 7:34〉. 赤心로 처 보샤 迺終내 赤心이시니 뉘 아니 리[維是赤心을 始相見斯오 終亦赤心하시니 孰不思懷리오](처음에 적심을 보이시고 끝까지 적심이시니, 누가 그리워하지 않으리오)〈용비어천가 78장〉.
주021)
-시거늘:
‘-시-’(주체높임)+거늘(까닭 원인의 연결어미). ‘-시-’는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다. 주체 높임법이란 말하는 이가 문장 속의 주체를 높이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다. 대표적으로 선어말 어미 ‘-(으)시-’를 통해 실현된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을 보면, “어떤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말하는 사람에게 사회적인 상위자로 인식될 때 그와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기술에 결합하여 그것이 상위자와 관련됨을 나타내는 어미. ¶아버님께서 오시었다. 선생님은 키가 크시다. 충무공은 훌륭한 장군이셨다. 어머니께서는 소원을 빌며 탑 주위를 도셨다. 天下애 功이 크샤 太子ㅿ位 다거시늘 새벼리 나 도니〈용비어천가 101장〉. 前品에 壽量 니거시늘 듣 功德을 分別시고〈월인석보 17:44〉.”라고 하였다. 그런데 15세기 문헌에서는 이 ‘-시거늘’이 ‘-거시늘’과 함께 두루 나타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거시나, -거시니, -거시니와, -거시다, -거신’ 등도 볼 수 있는데, 이 모두가 ‘거’와 ‘시’의 자리를 바꿀 뿐, 그 의미는 같다는 것이다. 이것은 ‘-거늘’을 문법적으로 둘로 쪼갤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은 이 ‘-거-’를 ‘대체로 일인칭 아닌 월의 풀이말에 쓰여 그 말투를 세게 하는 말.’이라고 규정하였다. 즉, 강조하는 어미 ‘거’와 주체 높임 어미 ‘시’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바뀌었다는 것이다. 오늘날 현대말에서는 이 강조하는 어미 ‘거’는 ‘거나, 거늘, 거니, 거니와, 건’과 같이 어말 어미와 붙어버렸고, 주체 높임 어미 ‘시’는 그 앞에만 올 수 있게 된 것이다.
우리 은혜 모로고 셤기믈 무상이 여시니 죄악이 만토다 고 세 아 리고 주022)
세 아 리고:
세 아우를 데리고. ‘아[弟]’가 ‘아’로 되었다.
고 옥으로 나아가 계모의 어딘 덕을 고고 스로 형벌 닙기 쳥니 원이 긔특이 너겨 그 어미 표쟝고 주023)
어미 표쟝고:
어미를 표창(表彰)하고.
집을 복호엿더니 주024)
집을 복호엿더니:
집을 복호(復戶)하였더니. 원문 ‘허이수혁(許以修革)’을 의역한 것이다.
그 후에 목강이 여러 아을 쳐 다 어딘 션 되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7. 목강무자(穆姜撫子)【한나라】 - 목강이 (전처의) 아들을 사랑하다
한(漢)나라 때 진문구(陳文矩)의 후처의 자는 목강(穆姜)이니, 아들 둘을 낳았고, 전처에게는 아들 넷이 있었다. 진문구가 안중(安衆) 땅의 원이 되었다가 임소
(任所, 옛 관원이 머물던 곳)
에서 죽으니, 전처의 네 아들이 목강을 저의 어머니가 아니라고 하여 헐뜯으며 미워하기 날로 심하였다. 〈그러나〉 목강이 사랑하기를 더욱 극진이 하여 낳은 자식보다 더하였다. 전처의 맏아들 진흥(陳興)이 병이 들었거늘 목강이 친히 약과 음식을 보살펴 은정이 더욱 깊었다. 진흥이 병이 나아 세 아우들에게 말하기를, “계모가 우리를 깊이 사랑하시거늘, 우리는 은혜를 모르고 섬기기를 잘못 하였으니 죄악이 많다.”라고 하고, 세 아우를 데리고 고을 옥으로 나아가 계모의 어진 덕을 알리고 스스로 형벌을 받기를 청하니, 원님이 기특하게 여겨 그 어미를 표창하고 집의 세금과 부역을 면제하였다. 그 후에 목강이 여러 아들을 가르쳐 모두 어진 선비가 되었다.
하늘을 떠나 이미 죽으니 걱정이 깊어
전처의 외로운 아들의 양육 친아들보다 더해.
가르치고 인도함 더욱 밝게 하고 어미도리 높이니
마침내는 뉘우치고 깨달아 어진 선비가 되어.
전처의 아들들 어리석어 원수처럼 여기더니
어찌 자비한 어머니의 뻐꾸기 같은 사랑 알까.
마침내는 저들 잘못 뉘우치고 다투어 옥으로 가
비로소 사람의 마음을 믿고 본분을 어기지 않아.
Ⓒ 역자 | 이수웅 / 2016년 11월 일

〈삼강행실언해문〉
程文矩의 겨집 穆姜이 두 아 뒷고 몬졧 겨지븐 네 아 뒷더니 文矩ㅣ 죽거늘 네 아리 穆姜이 믜여 거 穆姜이 더욱 委曲히 야 옷바 제 아두고 倍히 더니 디 病 되얫거늘 穆姜이 손 藥밥 야 머기더니 病 됴하 세 아려 닐오 繼母ㅣ 우리 어엿비 너기거시≪繼母 다어미라≫ 우리 兄弟 恩惠 모니 우리 罪 기프니라 고 세 아 더브러 獄애 가아 죽가지다 야 縣에셔 郡에 닐어 집 그위실 덜오 네 아 보내야 고티라 야 그 後로 쵸 더욱 야 다 어딘 사미 외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목강(穆姜):진문구의 처로, 성은 이(李)씨며 이름은 알 수 없음. 그녀의 자가 ‘목강’이라고 한다.
주002)
무자(撫子):‘자식을 부양하다. 아들을 사랑하다’라는 뜻. 여기서는 전처의 아들 넷을 가리킨다.
주003)
진문구(陳文矩):목강의 남편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생애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 『후한서(後漢書)』에는 ‘정문구(程文矩)’라고 하였다.
주004)
안중령(安衆令):안중의 관원 혹은 현령. ‘안중’이 어디인지 기록을 찾을 수 없음.
주005)
약선(藥膳):약을 다려주다.
주006)
예남정옥(詣南鄭獄):남쪽의 고을 옥을 찾아가다. 계모를 미워하고 헐뜯음이 지나쳐 이미 죄를 지었음으로 스스로 형벌을 받겠다고 옥을 찾아가는 것임.
주007)
덕상(德狀):덕의 모습.
주008)
형벽(刑辟):형벌. 죄지음대로 형벌을 받는 것을 뜻함.
주009)
표이(表異):표창하다.
주010)
견제(蠲除):제거하다. 없이하다.
주011)
가요(家徭):그 집의 부역(賦役). 당시 ‘복호(復戶)’라는 제도에 의하여 부역, 세금을 면제하였음.
주012)
시구(鳲鳩):뻐꾸기.
주013)
한 적:한(漢)나라 때.
주014)
아 둘흘 나코:아들 둘을 낳고. ‘둘ㅎ’은 ㅎ종성체언이다.
주015)
젼쳐의게:전처(前妻)에게. 전처가 낳은. 『삼강행실도』에서는 ‘몬졧 겨지븐’(먼저 계집은)으로 풀이하였다.
주016)
아 네히:아들 넷이. ‘넿’은 ㅎ종성체언이다.
주017)
문귀 안듕 원이 되엿다가:문구(정문구)가 안중 땅의 원님이 되었다가.
주018)
더옥 극진히 여:더욱 극진히 보살펴. 원문 ‘의식자공(衣食資供)’을 언해한 말이다. 직역하면 ‘옷과 밥을 제공하다, 옷밥을 공급(供給)하다’의 뜻인데 여기서는 의역한 것이다. 『삼강행실도』에서는 ‘의복과 음식, 의식(衣食)’을 ‘옷밥’이란 옛말로 표기하였다.
주019)
나흔 식에셔 더더라:낳은 자식보다 더 사랑하더라.
주020)
깁히 랑시거:깊이 사랑하시거늘. 극진히 사랑하시거늘. 원문 ‘자인(慈仁)’의 언해인데, 이를 『삼강행실도』에서는 ‘어엿비 너기거시’이라 하였다. ‘자비롭고 인자하다’의 뜻으로 15세기에는 ‘어엿비 너기다’라는 말을 썼는데 18세기에 와서 ‘랑하다’라는 말로 바뀌었다. 즉 처음엔 ‘생각하다, 자비를 베풀다’로 혼용하였으나 차츰 ‘사랑하다[愛]’로 뜻이 좁아졌음을 볼 수 있다. ¶손 머리 갓고 묏고래 이셔 道理 더니〈석보상절 6:12〉. 이티 컨댄[如是思惟컨댄]〈능엄경언해 1:105〉. 여듧 옰 刺史ㅣ  번 사호고져 니[八州刺史思一戰]〈두시언해 8:23〉./ 어버 子息 호 아니한 어니와〈석보상절 6:3〉. 虛 미라 오직 내 죄조 놋다[虛懷只愛才]〈두시언해 7:34〉. 赤心로 처 보샤 迺終내 赤心이시니 뉘 아니 리[維是赤心을 始相見斯오 終亦赤心하시니 孰不思懷리오](처음에 적심을 보이시고 끝까지 적심이시니, 누가 그리워하지 않으리오)〈용비어천가 78장〉.
주021)
-시거늘:‘-시-’(주체높임)+거늘(까닭 원인의 연결어미). ‘-시-’는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다. 주체 높임법이란 말하는 이가 문장 속의 주체를 높이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다. 대표적으로 선어말 어미 ‘-(으)시-’를 통해 실현된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을 보면, “어떤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말하는 사람에게 사회적인 상위자로 인식될 때 그와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기술에 결합하여 그것이 상위자와 관련됨을 나타내는 어미. ¶아버님께서 오시었다. 선생님은 키가 크시다. 충무공은 훌륭한 장군이셨다. 어머니께서는 소원을 빌며 탑 주위를 도셨다. 天下애 功이 크샤 太子ㅿ位 다거시늘 새벼리 나 도니〈용비어천가 101장〉. 前品에 壽量 니거시늘 듣 功德을 分別시고〈월인석보 17:44〉.”라고 하였다. 그런데 15세기 문헌에서는 이 ‘-시거늘’이 ‘-거시늘’과 함께 두루 나타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거시나, -거시니, -거시니와, -거시다, -거신’ 등도 볼 수 있는데, 이 모두가 ‘거’와 ‘시’의 자리를 바꿀 뿐, 그 의미는 같다는 것이다. 이것은 ‘-거늘’을 문법적으로 둘로 쪼갤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은 이 ‘-거-’를 ‘대체로 일인칭 아닌 월의 풀이말에 쓰여 그 말투를 세게 하는 말.’이라고 규정하였다. 즉, 강조하는 어미 ‘거’와 주체 높임 어미 ‘시’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바뀌었다는 것이다. 오늘날 현대말에서는 이 강조하는 어미 ‘거’는 ‘거나, 거늘, 거니, 거니와, 건’과 같이 어말 어미와 붙어버렸고, 주체 높임 어미 ‘시’는 그 앞에만 올 수 있게 된 것이다.
주022)
세 아 리고:세 아우를 데리고. ‘아[弟]’가 ‘아’로 되었다.
주023)
어미 표쟝고:어미를 표창(表彰)하고.
주024)
집을 복호엿더니:집을 복호(復戶)하였더니. 원문 ‘허이수혁(許以修革)’을 의역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