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 2:73ㄴ
丕寧突陣(陳)【新羅】오륜행실도 2:74ㄱ
丕寧子不知鄕邑族姓 新羅善德王元年 百濟將軍義直率兵分攻 甘勿 桐岑二城 王遣金庾信率兵拒之 苦戰氣竭 庾信顧謂丕寧子曰 事急矣 子能奮激出奇 以勵衆心乎 丕寧子拜曰 當以死報 出謂奴合節曰 吾爲國家死之 吾子擧眞年雖幼有壯志 必欲俱死 若父子幷命 則家人疇依 汝其與擧眞 好收吾骨歸 以慰其母心 卽鞭馬 橫槊突陳 格殺數人而死 擧眞望之欲赴 合節曰 大人令合節 奉阿郞還家 以慰夫人 今子負父命 棄母慈 可乎 執馬轡不放 擧眞曰 見父之死而苟存 豈孝子 卽以劒擊折合節臂 奔오륜행실도 2:74ㄴ
入敵中戰死 合節曰 所天崩矣 不死何爲 亦交鋒而死 軍士爭進 斬首三千餘級 王聞之涕淚 禮葬厚賜二城受敵勢將危 倉卒將軍力莫支 奮激出奇能勵衆 一身忠義永無隳
囑奴收骨慰家人 突陳橫戈不顧身 合節擧眞相繼死 宜加恩禮獎忠臣
오륜행실도 2:75ㄱ
라 고 그 죵 합졀려 주013)오륜행실도 2:75ㄴ
시니 주034)두 성 적의 공격을 받고 형세가 곧 위태로워창졸간에 장군은 힘으로 지탱할 수 없었으나.분격하여 기묘한 생각을 내어 군사들 격려하니일신의 충성의 의리 영원히 떨어지지 않으리라.
노비에게 유골의 수거와 아내의 위로를 부탁하고창을 비껴들고 적진을 돌파 자신은 돌보지 않아.합절(合節)과 거진(擧眞)이 잇따라서 죽었거니마땅히 은혜의 예를 더하여 충신으로 표창하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