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 2:46ㄱ
傅察植立【宋】오륜행실도 2:46ㄴ
傅察孟州人 宣和七年 爲接伴金國賀正使 時金人已渝盟 察至燕山 聞斡离不入寇 或勸其毋遽行 察曰 銜命以出 聞難而止 若君命何遂行 遇斡离不領兵至曰 汝國失信 吾興師南向海上之盟 不可恃也 察曰 兩國講好 信使往來 項背相望 何謂失信 太子干盟而動 意何爲乎 虜左右促使拜 白刃如林 察曰 死則死耳 豈有俱人臣而輒拜者 或抑捽使伏地 察愈植立 衣冠顚頓終不屈 斡离不怒曰 爾不拜我邪 麾令去 察知不免 謂其下曰 我死必矣 我父母老 素鐘念我 聞之必大戚 若等得脫 幸記我言 以告吾親오륜행실도 2:47ㄱ
知我死國 少解其無窮之悲也 衆皆泣 旣次燕山 遂遇害傅公銜命至燕山 聞敵渝盟莫肯還 白刃如林終不屈 輕生就死自安閑
虜令屈拜立如山 抗節孤高不可攀 臨死解親無限恨 兩全忠孝古來難
오륜행실도 2:47ㄴ
그치리오 주014)오륜행실도 2:48ㄱ
알리불이 노여 잡아내여 주048)부공이 임금의 명을 받들고 연산에 이르니적 맹약 어김 소식 듣고 돌아갈 것 원하지 않아.번쩍이는 칼이 숲과 같았으나 끝내 굽히지 않나니목숨 가볍게 여겨 나아가 죽으니 스스로 평안하여.
오랑캐 굽히어 절 시키려 하나 산처럼 서 있어굳은 절개는 고고하여 따라 올라갈 수 없어라.죽음에 임하여 늙은 부모 걱정하니 한은 끝없어충성과 효도를 겸전하다니 고래로 어려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