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 2:41ㄱ
若水効死【宋】오륜행실도 2:41ㄴ
李若水洺州人 靖康三年 徽宗至金營 以吏部侍郞扈從 金人逼帝易服 若水抱持而哭 詆金人爲狗 金人曳出 擊之敗面 氣結仆地 粘罕曰 必便李侍郞無恙 若水絶不食 或勉之曰 今日順從 明日富貴矣 若水嘆曰 天無二日 若水寧有二主哉 其僕亦慰解曰 公父母春秋高 若少屈 冀得一歸覲 若水叱曰 忠臣事君 有死無二 吾不復顧家矣 然吾親老 汝歸勿遽言 令兄弟徐言之可也 後旬日 粘罕召計事 若水因歷數而罵之 粘罕 令擁之去 若水反顧 罵益甚 監軍者 撾破其脣 噀血 罵愈切至 以刃裂頸斷舌而死 臨오륜행실도 2:42ㄱ
死歌曰 矯首問天兮 天卒不言 忠臣効死兮 死亦何愆胡兵逼帝易黃衣 吏部哀號獨抱持 矯首問天天不語 臨終一曲最堪悲
雙親已老勢阽危 何不將身少屈爲 縱使順從明日貴 歲寒高節孰能移
오륜행실도 2:42ㄴ
고아 주019)오륜행실도 2:43ㄱ
튱신이 님군을 셤기매 죽어도 두 이 업니 내 다시 집을 도라보디 주056)오륜행실도 2:43ㄴ
으믈 주087)오랑캐[金] 병사 황제께 용포 바꿔 입으라고 핍박해이부시랑 약수(若水)는 통곡하며 황제를 끌어안아.머리를 들어 하늘에 물어도 하늘은 아무 말이 없어죽음에 임하여 한 수 노래 지어 부르니 참으로 슬프다.
부모는 이미 늙었거니와 형세는 점차 위태한데어찌하여서 자신을 좀 굽히려 하지 아니하는가.설사 오랑캐에 순종하여 내일 귀하게 된다고 해도세한(歲寒)의 높은 절개 누구라고 움직이게 하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