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1집

  • 역주 오륜행실도
  • 오륜행실 효자도
  • 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 숙겸방약(叔謙訪藥)
메뉴닫기 메뉴열기

숙겸방약(叔謙訪藥)


오륜행실도 1:36ㄱ

叔謙訪藥【南北朝 南齊】

오륜행실도 1:36ㄴ

解叔謙 鴈門人 母有疾 叔謙夜於庭中稽顙祈福 聞空中語云 此病得丁公藤爲酒 便差 卽訪醫及本草 皆無識者 乃求訪至宜都郡 遙見山中一老公 伐木 問其所用 答曰 此丁公藤 療風尤驗 叔謙便拜伏 流涕 具言來意 老公愴然 以四段與之 幷示以漬酒法 叔謙受之 顧視 此人 已忽不見 依法爲酒 母病卽差
母疾求醫日夜憂 仰天稽顙苦祈求 神明時感誠心切 說與良方治病由
叔謙孝感豈徒然 應有精誠達上天 忽得丁公藤漬酒 卽令母病頓安痊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오륜행실도 1:37ㄱ

슉겸 주001)
슉겸:
해숙겸(解叔謙). 제나라 시대의 효자.
졔나라 주002)
남졔:
남제(南齊; 479년 ~50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강남 지방에서 건국된 나라. 북조의 북제와 춘추시대 제나라와 구별하기 위해 남제(南齊) 또는 초대 황제인 소도성의 성씨를 따라 소제(蕭齊)라고 부르기도 함.
안문 주003)
안문:
안문(鴈門).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현(代県)의 서북, 구주산(句注山)을 말함. 높은 산이라 북으로 돌아가는 기러기가 날아서 넘지 못한 데에서 중도에 구멍을 뚫어 그 통로로 가게 했다고 하는 속설이 있음.
사이니 어미 병이 이시매 주004)
이시매:
‘이시-+-매(연결어미)’. 있으므로.
슉겸이 밤마다 주005)
밤마다:
‘밤+마다(부사격 조사)’. 밤마다.
가온대 주006)
가온대:
‘+가온대+에’. 뜰가운데에(서).
마리를 조아 병 낫기 주007)
병낫기:
‘병#낫-+-기(명사형 어미)+를(목적격 조사)’. 병(이)낫기를.
비더니 주008)
비더니:
‘빌-+-더(회상 시상 접미사)-+-니(연결어미)’. 빌더니. ‘빌-’은 ‘ㄹ 불규칙 용언’임.
공듕에셔 주009)
공듕에셔:
‘공듕+에셔’. 공중(空中)에서.
웨여 주010)
웨여:
‘웨-+-여(연결어미)’. 웨치어.
닐오 이 병이 뎡공등 주011)
뎡공등:
정공등(丁公藤). 마가목.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喬木)으로 한약재로 쓰임.
약라 주012)
약라:
‘약#이-+-라(종결어미)’. 약재(藥材)이다.
으로 술을 비저 주013)
비저:
‘빚-+-어(염ㄴ결어미)’. 빚어. ‘빚-’은 ‘술을 빚-’의 뜻이다. ¶醞 빚을 온 釀 비즐 양〈훈몽(초) 하:7〉.
먹으면 나으리라 주014)
나으리라:
‘낫-+-으리(추정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나으리라. 낫겠다. ‘낫-’은 ‘ㅅ 불규칙 용언’임.
거 의원려 주015)
의원려:
‘의원+려(부사격 조사)’. 의원에게.
믓고 주016)
믓고:
‘믓-+-고(연결어미)’. 묻고.
본초 주017)
본초:
본초(本草). 한방에서 약재로 쓰이는 식물·동물·광물 따위를 말함. 여기서는 약재를 소개한 책이라고 하였다.
약명 주018)
약명:
약명(藥名). 약이름.
긔록 주019)
긔록:
‘긔록#-+-ㄴ(관형사형 어미)’. 기록(記錄)한.
이라 주020)
이라:
‘#이-+-라(종결어미)’. 책(冊)이다.
즈되 주021)
즈되:
‘-+-으되(연결어미)’. 찾되.
알 니 주022)
알니:
‘알-+ㄹ(관형사형 어미)+이’. 알 사람이. ‘알니’는 ‘알+ㄹ+이〉알리〉’에서 뒤 음절의 ‘ㄹ’을 ‘ㄴ’에서 닮은 것으로 보고 쓴 것이다.
업디라 주023)
업디라:
‘없-+-(관형사형 어미)#디-#이-+-라(종결어미)’. 없는 것이다.
두로 주024)
두로:
두루.
방문여 주025)
방문여:
‘방문(訪問)#-+-여(연결어미)’. 방문하여.
의도라 주026)
의도라:
‘의도(宜都)#이-+-라(서술법 종결어미)’. 의도라(고). ‘의도(宜都)’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이창(宜昌)시에 있는 관광지이다.
  주027)
:
‘ㅎ+(부사격 조사)’. 땅에.
니러 주028)
니러:
‘니-+-러(연결어미)’. 이르러.
먼니 주029)
먼니:
‘멀-+-리(부사 파생접미사’. 멀리. ‘먼니’는 ‘멀-’이 원형이므로, 여기서 파생한 부사는 ‘멀리’일 텐데, ‘ㄹㄹ’이 ‘ㄴㄴ’에서 왔다고 보고, 적은 것이다. ¶갓갑거나 멀어나〈석보 19:17-18〉. 父母ㅣ 겨시거든 멀리 노디 아니며〈소언 2:11〉.
라보니 주030)
라보니:
‘라-+-아(보조적 연결어미)#보-+니(연결어미)’. 바라보니.
산듕의 주031)
산듕의:
‘산듕+의(부사격 조사)’. 산중(山中)에. 산속에.
늙은 주032)
늙은:
‘늙-+-은(관형사형 어미)’. 늙은.
사이 남글 주033)
남글:
‘+을“. 나무를.
버히거 주034)
버히거:
‘버히-+-거늘(연결어미)’. ‘베거늘. 베므로.
주035)
:
‘-+-ㄹ(관형사형 어미)’. 쓸.
 주036)
:
‘+(목적격 조사)’. 데를.
므른대 주037)
므른대:
‘믇-+-ㄴ대(연결어미)’. 물으니.
답 주038)
답:
‘답(答)#-+-(연결어미)’. 답하되. 답하니.
이 주039)
이:
‘이(대명사)+(보조사)’. 이는.
뎡공등이니 주040)
뎡공등이니:
“뎡공등#이-+-니(연력어미)‘. 정공등(丁公藤)이니.
풍병에 주041)
풍병에:
‘풍병(風病)+에(부사격 조사)’. 풍병에.
신효니라 주042)
신효니라:
‘신효(神效)#-+-니(진행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신효하다. ‘신효다’는 신기한 효험이 있음을 뜻한다.
슉겸이 믄득 주043)
믄득:
문득.
절고 주044)
절고:
‘절#-+-고’. 절하고.
업여 주045)
업여:
‘업-+-여(연결어미)’. 엎드려.
눈믈을 주046)
눈믈을:
눈물을.
흘리며 주047)
흘리며:
‘흐르-+-리(사동 파생 잡미사-+-며(연결어미)’. 흘리며.
을 주048)
을:
‘+을’. 뜻을.
셰히 주049)
셰히:
‘자셰#-+-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세(仔細)히.
니니 주050)
니니:
‘니-+-니(연결어미)’. 이르니.
늙은 사이

오륜행실도 1:37ㄴ

감동여 주051)
감동여:
‘감동(感動)#-+-여(연결어미)’. 감동하여.
줄기 주052)
줄기:
‘줄기+’. 줄기를.
주며 술빗 주053)
술빗:
‘술#빗-+-’. 술빚는. ‘빗-’의 기본형태는 ‘빚-’인데, 받침 ‘ㅈ’과 ‘ㅅ’이 ‘ㄷ’으로 중화되므로, ‘빗’으로 쓴 것이다.
법을 다 치거 주054)
치거:
‘치-+-거(연결어미)’. 가르치므로. 가르치어서.
슉겸이 밧고 주055)
밧고:
‘밧-+-고(연결어미)’. 받고. ‘밧-’의 원래 기본형태는 ‘받-’인데, 받침 ‘ㅈ’과 ‘ㅅ’이 ‘ㄷ’으로 중화되므로, ‘빗’으로 쓴 것이다.
도라보니 주056)
도라보니:
‘돌-+-아(보조적 연결어미)#보-+-니(연결어미)’. 돌아보니.
그 사이 홀연 간 주057)
:
‘+이(주격조사)’. 데가. ‘’는 ‘’에서 ‘ㆎ’가 반홀소리 ‘ㅣ’로 끝나므로, 주격조사 ‘ㅣ’가 떨어진 것이다.
업더라 주058)
업더라:
‘없-+-더(회상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없더라.
법대로 주059)
법대로:
‘법(法)+대로(부사격 조사)’. 법대로.
술을 라 주060)
라:
‘-+-아(연결어미)’. 만들어.
드리니 병이 나으니라 주061)
나으니라:
‘낫-+-으니(진행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나았다.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9. 숙겸방약(叔謙訪藥)【남북조 남제(南齊)나라】 - 숙겸이 약을 얻으려 다니다
해숙겸은 제나라 안문 사람이다. 어머니가 병이 있으므로, 해숙겸이 밤마다 뜰가운데 머리를 조아려 병 낫기를 빌더니, 공중에서 외쳐 말하기를, “이 병이 정공등【약재이다.】으로 술을 빚어 먹으면 나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의원에게 묻고, 본초【약이름을 기록한 책이다.】에 찾아도 다 알 방법이 없었다. 여기저기 방문하여 의도라고 하는 땅에 이르러 멀리 바라보니, 산중에 한 늙은 사람이 나무를 베므로, 그 쓸 데를 물어보니 답하기를, “이는 정공등이니, 풍병에 아주 효과가 있다.” 하였다. 해숙겸이 문득 절하고, 엎드려 눈물을 흘리며 온 뜻을 자세히 이르니, 늙은 사람이 감동하여 네 줄기를 주며, 술 빚는 법을 다 가르쳐 주었다. 해숙겸이 받고 돌아보니, 그 사람이 홀연히 간 데가 없었다. 법대로 술을 만들어 드리니, 병이 나았다.
어머니 병을 치료하기 위해 밤낮 근심하여
하늘을 우러러 머리를 조아려 괴로이 빌더니.
신명(神明)은 당시 효성이 간절함에 감동하여
일러주거니 좋은 처방과 병을 치료하게 될 것을.
숙겸(叔謙)의 효도의 감동 어찌 헛되랴
마땅히 그의 정성은 높은 하늘에 전달 돼.
뜻밖 약재[丁公藤]를 얻어 술 담가 드리니
곧 어머니의 병은 온전하게 치료가 되었어라.
Ⓒ 역자 | 성낙수 / 2016년 11월 일

〈삼강행실언해문〉
解叔謙의 어미 病얫거늘 바  가온 머리 조 비더니 虛空애셔 닐오 丁公藤로 수을 비저 머그면 됴리라 야 醫員려 무르니 다 모거늘 두루 가 얻니더니  한아비 나모 버히거늘 므스게 다 무른대 對答호 丁公藤이라 야 절고 울며 얻니논 들 니대 어엿비 너겨 네 조가 주고 수울 빗논 法을 치고 믄득 업거늘 法다히 수울 비저 머기니 어믜 病이 즉자히 됴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슉겸:해숙겸(解叔謙). 제나라 시대의 효자.
주002)
남졔:남제(南齊; 479년 ~50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강남 지방에서 건국된 나라. 북조의 북제와 춘추시대 제나라와 구별하기 위해 남제(南齊) 또는 초대 황제인 소도성의 성씨를 따라 소제(蕭齊)라고 부르기도 함.
주003)
안문:안문(鴈門).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현(代県)의 서북, 구주산(句注山)을 말함. 높은 산이라 북으로 돌아가는 기러기가 날아서 넘지 못한 데에서 중도에 구멍을 뚫어 그 통로로 가게 했다고 하는 속설이 있음.
주004)
이시매:‘이시-+-매(연결어미)’. 있으므로.
주005)
밤마다:‘밤+마다(부사격 조사)’. 밤마다.
주006)
가온대:‘+가온대+에’. 뜰가운데에(서).
주007)
병낫기:‘병#낫-+-기(명사형 어미)+를(목적격 조사)’. 병(이)낫기를.
주008)
비더니:‘빌-+-더(회상 시상 접미사)-+-니(연결어미)’. 빌더니. ‘빌-’은 ‘ㄹ 불규칙 용언’임.
주009)
공듕에셔:‘공듕+에셔’. 공중(空中)에서.
주010)
웨여:‘웨-+-여(연결어미)’. 웨치어.
주011)
뎡공등:정공등(丁公藤). 마가목.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喬木)으로 한약재로 쓰임.
주012)
약라:‘약#이-+-라(종결어미)’. 약재(藥材)이다.
주013)
비저:‘빚-+-어(염ㄴ결어미)’. 빚어. ‘빚-’은 ‘술을 빚-’의 뜻이다. ¶醞 빚을 온 釀 비즐 양〈훈몽(초) 하:7〉.
주014)
나으리라:‘낫-+-으리(추정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나으리라. 낫겠다. ‘낫-’은 ‘ㅅ 불규칙 용언’임.
주015)
의원려:‘의원+려(부사격 조사)’. 의원에게.
주016)
믓고:‘믓-+-고(연결어미)’. 묻고.
주017)
본초:본초(本草). 한방에서 약재로 쓰이는 식물·동물·광물 따위를 말함. 여기서는 약재를 소개한 책이라고 하였다.
주018)
약명:약명(藥名). 약이름.
주019)
긔록:‘긔록#-+-ㄴ(관형사형 어미)’. 기록(記錄)한.
주020)
이라:‘#이-+-라(종결어미)’. 책(冊)이다.
주021)
즈되:‘-+-으되(연결어미)’. 찾되.
주022)
알니:‘알-+ㄹ(관형사형 어미)+이’. 알 사람이. ‘알니’는 ‘알+ㄹ+이〉알리〉’에서 뒤 음절의 ‘ㄹ’을 ‘ㄴ’에서 닮은 것으로 보고 쓴 것이다.
주023)
업디라:‘없-+-(관형사형 어미)#디-#이-+-라(종결어미)’. 없는 것이다.
주024)
두로:두루.
주025)
방문여:‘방문(訪問)#-+-여(연결어미)’. 방문하여.
주026)
의도라:‘의도(宜都)#이-+-라(서술법 종결어미)’. 의도라(고). ‘의도(宜都)’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이창(宜昌)시에 있는 관광지이다.
주027)
:‘ㅎ+(부사격 조사)’. 땅에.
주028)
니러:‘니-+-러(연결어미)’. 이르러.
주029)
먼니:‘멀-+-리(부사 파생접미사’. 멀리. ‘먼니’는 ‘멀-’이 원형이므로, 여기서 파생한 부사는 ‘멀리’일 텐데, ‘ㄹㄹ’이 ‘ㄴㄴ’에서 왔다고 보고, 적은 것이다. ¶갓갑거나 멀어나〈석보 19:17-18〉. 父母ㅣ 겨시거든 멀리 노디 아니며〈소언 2:11〉.
주030)
라보니:‘라-+-아(보조적 연결어미)#보-+니(연결어미)’. 바라보니.
주031)
산듕의:‘산듕+의(부사격 조사)’. 산중(山中)에. 산속에.
주032)
늙은:‘늙-+-은(관형사형 어미)’. 늙은.
주033)
남글:‘+을“. 나무를.
주034)
버히거:‘버히-+-거늘(연결어미)’. ‘베거늘. 베므로.
주035)
:‘-+-ㄹ(관형사형 어미)’. 쓸.
주036)
:‘+(목적격 조사)’. 데를.
주037)
므른대:‘믇-+-ㄴ대(연결어미)’. 물으니.
주038)
답:‘답(答)#-+-(연결어미)’. 답하되. 답하니.
주039)
이:‘이(대명사)+(보조사)’. 이는.
주040)
뎡공등이니:“뎡공등#이-+-니(연력어미)‘. 정공등(丁公藤)이니.
주041)
풍병에:‘풍병(風病)+에(부사격 조사)’. 풍병에.
주042)
신효니라:‘신효(神效)#-+-니(진행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신효하다. ‘신효다’는 신기한 효험이 있음을 뜻한다.
주043)
믄득:문득.
주044)
절고:‘절#-+-고’. 절하고.
주045)
업여:‘업-+-여(연결어미)’. 엎드려.
주046)
눈믈을:눈물을.
주047)
흘리며:‘흐르-+-리(사동 파생 잡미사-+-며(연결어미)’. 흘리며.
주048)
을:‘+을’. 뜻을.
주049)
셰히:‘자셰#-+-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세(仔細)히.
주050)
니니:‘니-+-니(연결어미)’. 이르니.
주051)
감동여:‘감동(感動)#-+-여(연결어미)’. 감동하여.
주052)
줄기:‘줄기+’. 줄기를.
주053)
술빗:‘술#빗-+-’. 술빚는. ‘빗-’의 기본형태는 ‘빚-’인데, 받침 ‘ㅈ’과 ‘ㅅ’이 ‘ㄷ’으로 중화되므로, ‘빗’으로 쓴 것이다.
주054)
치거:‘치-+-거(연결어미)’. 가르치므로. 가르치어서.
주055)
밧고:‘밧-+-고(연결어미)’. 받고. ‘밧-’의 원래 기본형태는 ‘받-’인데, 받침 ‘ㅈ’과 ‘ㅅ’이 ‘ㄷ’으로 중화되므로, ‘빗’으로 쓴 것이다.
주056)
도라보니:‘돌-+-아(보조적 연결어미)#보-+-니(연결어미)’. 돌아보니.
주057)
:‘+이(주격조사)’. 데가. ‘’는 ‘’에서 ‘ㆎ’가 반홀소리 ‘ㅣ’로 끝나므로, 주격조사 ‘ㅣ’가 떨어진 것이다.
주058)
업더라:‘없-+-더(회상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없더라.
주059)
법대로:‘법(法)+대로(부사격 조사)’. 법대로.
주060)
라:‘-+-아(연결어미)’. 만들어.
주061)
나으니라:‘낫-+-으니(진행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나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