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1집

  • 역주 오륜행실도
  • 오륜행실 효자도
  • 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 황향선침(黃香扇枕)
메뉴닫기 메뉴열기

황향선침(黃香扇枕)


오륜행실도 1:14ㄱ

黃香扇枕【漢】

오륜행실도 1:14ㄴ

黃香 江夏人 年九歲 失母 思慕憔悴 殆不免喪 鄕人 稱其孝 獨養其父 躬執勤苦 夏則扇枕席 冬則以身溫被 太守劉護表而異之 自是名聞於世 後官累遷 至尙書令 至子瓊及孫皆貴顯
黃香行孝自髫年 扇枕溫衾世共傳 寒署不令親禮受 誠心一念出天然
江夏黃童志異常 當時已道世無雙 累官直至尙書令 孝感能令後嗣昌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황향 주001)
황향(黃香):
강하(江夏) 안륙(安陸) 사람으로 자는 문강(文強), 문강(文疆)임. 동한(東漢) 시대의 관리이자 이름난 효자(孝子)로 벼슬은 낭주(郞中), 상서랑(尚書郞), 상서좌승(尚書左丞), 상서령(尚書令), 위군태수(魏郡太守), 태위(太尉) 등을 역임함.
한나라 강하 주002)
강하(江夏):
당대[唐代]의 현[縣] 이름. 지금의 무한시[武漢市] 부근에 위치해 있었으며, 관할 소재지는 악주[卾州]였음.
사이니 나히 주003)
나히:
‘나히+이(주격조사)’. 나이가.
구셰에 주004)
구셰에:
구세에. 아홉 살에.
어미 주005)
어미:
어머니를.
일코 주006)
일코:
‘잃-+-고(연결어미)’. 잃고. 여의고.
모고 주007)
모고:
‘모#-+-고(연결어미)’. 사모(思慕)하고. 그리워하고.
쵸여 주008)
쵸여:
‘쵸췌#-+-여(연결어미)’. 초췌(憔悴)하여. ‘ㅈ, ㅉ, ㅊ’ 다음에는 반홀소리 ‘ㅣ’로 된 겹홀소리는 홑홀소리로 발음되므로, ‘쵸’는 중국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려는 반증이다.
거의 죽게 되니 향니

오륜행실도 1:15ㄱ

사이
주009)
향니사이:
‘향니+사+이(주격조사)’. 시골 동네 사람들이. ‘향니’는 ‘향리(鄕里)’에서 ‘리’의 ‘ㄹ’이 앞음절의 ‘ㅇ’에 동화되어 ‘니’로 표기된 것이다.
그 효셩을 일더라 주010)
일더라:
‘일-+-더(회상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일컫더라. 말하더라.
홀로 주011)
홀로:
‘올로’에서 온 말이며, 이는 ‘올[獨, 單]’에 부사형 어미 ‘-로’가 결합된 것임. ¶올 鶴 외오  번 소리니라〈두해(초) 24:38〉.
아비 주012)
아비:
‘아비+(목적격 조사)’. 아버지를.
봉양 몸소 주013)
몸소:
몸소. ‘몸쇼, 몸’로도 나타남. ¶집이 가난야 몸소 받갈아〈소언 6:25〉. 몸쇼 구호시고〈한중 12〉. 몸 받 가다가 니러나〈두해(초) 6:34〉.
근고믈 주014)
근고믈:
‘근고#-+-ㅁ(명사형 어미)+을(목적격 조사)’. 근고(勤苦)함을. 근고다. (사람이) 애써 부지런히 일하다.
잡아 주015)
잡아:
‘잡-+-아(연결어미)’. 잡아. 맡아.
여이면 주016)
여이면:
‘여#이(지정사 어근)-+-면(연결어미)’. 여름이면. ‘여’은 ‘녀름, 여롬, 여름’으로도 쓰이는데, ‘여’는 ‘녀’에서 머릿소리 규칙으로 ‘ㄴ’이 탈락된 형태이다. ¶보미 마 녀르미 외도소니〈두해(초) 10:9〉.  봄과 여롬과 을과 져을과〈염보 4〉. 여름 오슬 거니와〈이륜 중:13〉.
벼개 주017)
벼개:
베개.
와 자리에 부딜고 주018)
부딜고:
‘부+-딜(파생 접미사)+-+-고(연결어미)’. 부채질하고. ‘-딜’은 현대국어에서 입천장 소리 되기로, ‘-질’로 바뀐다.
겨이면 주019)
겨이면:
‘겨#이(지정사 어근)-+-면(연결어미)’. 겨울이면. ‘겨’은 옛말에서 ‘겨슬, 겨(ㅎ), 겨, 겨(ㅎ)’으로도 나타나는데, 현대국어의 ‘겨울’은 ‘겨슬〉겨〉겨울’로 변화된 것이다. ‘겨’은 ‘겨’에서 온 것으로 본다면, 원래는 ‘겨’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겨스레 다 초와〈칠대 17〉. 겨렌 덥고〈월인 1:26〉. 겨레 므레 플여〈구간 1:75〉.
몸으로 주020)
몸으로:
‘몸+으로(부사격 조사)’. 몸으로써.
니블을 주021)
니블을:
‘니블+을(목적격 조사)’. 이불을. ‘니블’은 현대국어에서 ‘니’는 머릿소리 규칙으로 ‘이’가 되 고, ‘블’의 ‘ㅡ’는 ‘ㅜ’가 되어 ‘이불’로 변화하였다.
게 주022)
게:
‘-+(접미사)-+-게(부사격 어미)’. 따스하게. ‘-’는 옛말에 ‘-’라는 형용사가 쓰였으므로, 이 자체가 어근이 될 수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는 ‘-+-아(보조적 연결어미)’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는 보조 용언으로 해석됨. ¶ 수레  分을 프러〈구방 상:17〉. 溫  온〈천자 광 12〉. ‘-’를 유일 형태소로 보면, ‘--’는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 접미사로 보아야 한다.
니 태 주023)
태:
‘태슈(太守)+이(주격조사)’. 태수(太守)가. ‘태수’는 예전에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주(州), 부(府), 군(郡), 현(縣)의 행정 책임을 맡았던 벼슬아치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는 ‘슈’와 ‘ㅣ’가 결합된 형태나, ‘ㅣ’는 반홀소리로 발음 되엇을 것이다.
나라 주024)
나라:
‘나라ㅎ+(부사격 조사)’. 나라에. ‘나라ㅎ’는 ‘ㅎ 말음 체언’이다. ¶다 나라〈법화 2:183〉. 나라해 도라오시고〈용가 24장〉.
주문여 주025)
주문여:
‘주문(奏聞)+-+-여(연결어미)’. 주문하여. 주달(奏達)하여. ‘주문’은 임금에게 아뢰는 것이다.
일로브터 주026)
일로브터:
‘이(대명사)+로(부사격 조사)+브터(보조사)’. 이로부터. ‘일로’는 ‘이로’에서 ‘ㄹ’이 ‘ㄹㄹ’로 발음됨을 나타낸다.
셰샹에 주027)
셰샹에:
세상에.
일홈 주028)
일홈:
이름.
난 디라 주029)
난디라:
‘나-+-ㄴ(관형사형 어미)+디#이(지정사 어근)+-라(종결어미)’. 난 것이라. 난 것이다.
후에 벼이 여러 번을 올마 주030)
올마:
‘옮-+-아(연결어미)’. 옮겨서. ‘옮-’은 ‘이동하-’, ‘옮기-’의 뜻으로 사용한다.
샹셔령에 주031)
샹셔령에:
‘샹셔령+에(부사격 조사)’. 상서령(尙書令)에. ‘상서령’은 관직명으로 상서대(尙書臺)의 장관으로 한대에는 소부(少府)에 속했다. 동한 시기에 독립해 황제 혹은 녹상서사의 명을 받는 대신이 된다.
니고 주032)
니고:
‘니-+-고(연결어미)’. 이르고. ‘니-’는 현대국어에서 머릿소리 규칙에 따라 ‘니’에서 ‘ㄴ’이 탈락하고, ‘’에서 ‘ㆍ’가 ‘ㅡ’로 바뀐다.
아과 주033)
아과:
‘아+과(부사격 조사)’. 아들과.
손 주034)
손:
‘소+이(주격조사)’. 손자가.
귀히 주035)
귀히:
‘귀(貴)#-+-이(부사형 어미)’. 귀히. 귀하게. ‘히’는 ‘-+-이’에서 ‘홀소리 충돌 회피 현상’으로 ‘ㆍ’가 없어진 것이다.
되니라 주036)
되니라:
‘되-+-니(지속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되었다.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8. 황향선침(黃香扇枕)【한(漢)나라】 - 황향이 베개를 부치다
황향은 한나라 강하 사람이다. 나이 아홉 살에 어머니를 잃고, 사모하고 초췌해져서, 거의 죽게 되니, 동네 사람이 그 효성을 일컫더라. 홀로 그 아버지를 봉양하기를 몸소 근고함을 잡아, 여름이면 베개와 자리에 부채질을 하고, 겨울이면 몸으로 이불을 따뜻하게 하니, 태수가 나라에 주문하여, 이로부터 세상에 그 이름이 난 것이다. 후에 벼슬이 여러 번 옮겨 상서령에 이르고, 아들과 손자가 다 귀하게 되었다.
황향(黃香)의 효행은 어릴 때부터 비롯해
베개는 서늘하게 이불은 따듯이 덥여드리어.
추위와 더위를 아비로 하여 몸소 겪지 않도록
효성스런 한결같은 마음은 하늘이 낸 그런대로.
강하(江夏)의 황향은 어려서도 뜻이 남달라서
당시에 이미 세상에는 둘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벼슬은 올라가 곧바로 상서령(尙書令)에 이르러
효도는 감동하게 하여 자손으로 하여금 번창케 해.
Ⓒ 역자 | 성낙수 / 2016년 11월 일

〈삼강행실언해문〉
黃香이 아호빈 저긔 어미 일코 슬허 주 시 외어늘  사미 孝道 일더니 오 아비 孝道야 녀르미면 벼개와 돗과 부체 붓고 겨리면 제 모로 니브를 시 더니 員이 나라 엳니 일후미 世間애 들이더니 後에 벼스를 尙書令 니르리 야 子孫이 다 노피 외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황향(黃香):강하(江夏) 안륙(安陸) 사람으로 자는 문강(文強), 문강(文疆)임. 동한(東漢) 시대의 관리이자 이름난 효자(孝子)로 벼슬은 낭주(郞中), 상서랑(尚書郞), 상서좌승(尚書左丞), 상서령(尚書令), 위군태수(魏郡太守), 태위(太尉) 등을 역임함.
주002)
강하(江夏):당대[唐代]의 현[縣] 이름. 지금의 무한시[武漢市] 부근에 위치해 있었으며, 관할 소재지는 악주[卾州]였음.
주003)
나히:‘나히+이(주격조사)’. 나이가.
주004)
구셰에:구세에. 아홉 살에.
주005)
어미:어머니를.
주006)
일코:‘잃-+-고(연결어미)’. 잃고. 여의고.
주007)
모고:‘모#-+-고(연결어미)’. 사모(思慕)하고. 그리워하고.
주008)
쵸여:‘쵸췌#-+-여(연결어미)’. 초췌(憔悴)하여. ‘ㅈ, ㅉ, ㅊ’ 다음에는 반홀소리 ‘ㅣ’로 된 겹홀소리는 홑홀소리로 발음되므로, ‘쵸’는 중국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려는 반증이다.
주009)
향니사이:‘향니+사+이(주격조사)’. 시골 동네 사람들이. ‘향니’는 ‘향리(鄕里)’에서 ‘리’의 ‘ㄹ’이 앞음절의 ‘ㅇ’에 동화되어 ‘니’로 표기된 것이다.
주010)
일더라:‘일-+-더(회상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일컫더라. 말하더라.
주011)
홀로:‘올로’에서 온 말이며, 이는 ‘올[獨, 單]’에 부사형 어미 ‘-로’가 결합된 것임. ¶올 鶴 외오  번 소리니라〈두해(초) 24:38〉.
주012)
아비:‘아비+(목적격 조사)’. 아버지를.
주013)
몸소:몸소. ‘몸쇼, 몸’로도 나타남. ¶집이 가난야 몸소 받갈아〈소언 6:25〉. 몸쇼 구호시고〈한중 12〉. 몸 받 가다가 니러나〈두해(초) 6:34〉.
주014)
근고믈:‘근고#-+-ㅁ(명사형 어미)+을(목적격 조사)’. 근고(勤苦)함을. 근고다. (사람이) 애써 부지런히 일하다.
주015)
잡아:‘잡-+-아(연결어미)’. 잡아. 맡아.
주016)
여이면:‘여#이(지정사 어근)-+-면(연결어미)’. 여름이면. ‘여’은 ‘녀름, 여롬, 여름’으로도 쓰이는데, ‘여’는 ‘녀’에서 머릿소리 규칙으로 ‘ㄴ’이 탈락된 형태이다. ¶보미 마 녀르미 외도소니〈두해(초) 10:9〉.  봄과 여롬과 을과 져을과〈염보 4〉. 여름 오슬 거니와〈이륜 중:13〉.
주017)
벼개:베개.
주018)
부딜고:‘부+-딜(파생 접미사)+-+-고(연결어미)’. 부채질하고. ‘-딜’은 현대국어에서 입천장 소리 되기로, ‘-질’로 바뀐다.
주019)
겨이면:‘겨#이(지정사 어근)-+-면(연결어미)’. 겨울이면. ‘겨’은 옛말에서 ‘겨슬, 겨(ㅎ), 겨, 겨(ㅎ)’으로도 나타나는데, 현대국어의 ‘겨울’은 ‘겨슬〉겨〉겨울’로 변화된 것이다. ‘겨’은 ‘겨’에서 온 것으로 본다면, 원래는 ‘겨’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겨스레 다 초와〈칠대 17〉. 겨렌 덥고〈월인 1:26〉. 겨레 므레 플여〈구간 1:75〉.
주020)
몸으로:‘몸+으로(부사격 조사)’. 몸으로써.
주021)
니블을:‘니블+을(목적격 조사)’. 이불을. ‘니블’은 현대국어에서 ‘니’는 머릿소리 규칙으로 ‘이’가 되 고, ‘블’의 ‘ㅡ’는 ‘ㅜ’가 되어 ‘이불’로 변화하였다.
주022)
게:‘-+(접미사)-+-게(부사격 어미)’. 따스하게. ‘-’는 옛말에 ‘-’라는 형용사가 쓰였으므로, 이 자체가 어근이 될 수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는 ‘-+-아(보조적 연결어미)’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는 보조 용언으로 해석됨. ¶ 수레  分을 프러〈구방 상:17〉. 溫  온〈천자 광 12〉. ‘-’를 유일 형태소로 보면, ‘--’는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 접미사로 보아야 한다.
주023)
태:‘태슈(太守)+이(주격조사)’. 태수(太守)가. ‘태수’는 예전에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주(州), 부(府), 군(郡), 현(縣)의 행정 책임을 맡았던 벼슬아치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는 ‘슈’와 ‘ㅣ’가 결합된 형태나, ‘ㅣ’는 반홀소리로 발음 되엇을 것이다.
주024)
나라:‘나라ㅎ+(부사격 조사)’. 나라에. ‘나라ㅎ’는 ‘ㅎ 말음 체언’이다. ¶다 나라〈법화 2:183〉. 나라해 도라오시고〈용가 24장〉.
주025)
주문여:‘주문(奏聞)+-+-여(연결어미)’. 주문하여. 주달(奏達)하여. ‘주문’은 임금에게 아뢰는 것이다.
주026)
일로브터:‘이(대명사)+로(부사격 조사)+브터(보조사)’. 이로부터. ‘일로’는 ‘이로’에서 ‘ㄹ’이 ‘ㄹㄹ’로 발음됨을 나타낸다.
주027)
셰샹에:세상에.
주028)
일홈:이름.
주029)
난디라:‘나-+-ㄴ(관형사형 어미)+디#이(지정사 어근)+-라(종결어미)’. 난 것이라. 난 것이다.
주030)
올마:‘옮-+-아(연결어미)’. 옮겨서. ‘옮-’은 ‘이동하-’, ‘옮기-’의 뜻으로 사용한다.
주031)
샹셔령에:‘샹셔령+에(부사격 조사)’. 상서령(尙書令)에. ‘상서령’은 관직명으로 상서대(尙書臺)의 장관으로 한대에는 소부(少府)에 속했다. 동한 시기에 독립해 황제 혹은 녹상서사의 명을 받는 대신이 된다.
주032)
니고:‘니-+-고(연결어미)’. 이르고. ‘니-’는 현대국어에서 머릿소리 규칙에 따라 ‘니’에서 ‘ㄴ’이 탈락하고, ‘’에서 ‘ㆍ’가 ‘ㅡ’로 바뀐다.
주033)
아과:‘아+과(부사격 조사)’. 아들과.
주034)
손:‘소+이(주격조사)’. 손자가.
주035)
귀히:‘귀(貴)#-+-이(부사형 어미)’. 귀히. 귀하게. ‘히’는 ‘-+-이’에서 ‘홀소리 충돌 회피 현상’으로 ‘ㆍ’가 없어진 것이다.
주036)
되니라:‘되-+-니(지속 시상 접미사)-+-라(종결어미)’.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