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6(卷六)
  • 기리(氣痢)
메뉴닫기 메뉴열기

기리(氣痢)


기리(氣痢
기(氣)의 부조화로 인한 이질
)

〈≪성제총록≫에 이르기를,〉 기리(氣痢)란 냉기(冷氣)가 장위(腸胃) 사이에서 정체됨에 따라 냉기·열기(熱氣)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비위(脾胃)가 화합을 이루지 못하면서, 배·옆구리[腹脅]는 헛되이 그득하고, 장(腸)은 으르렁거리고 배[腹]는 아프며, 적리(赤痢)·백리(白痢)를 누는 증상이다. 마땅히 장위(腸胃)를 두텁게 하고 냉기·열기를 조화시키고 비기(脾氣)를 보익하면 낫는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77 〈설리문(泄痢門) 기리(氣痢)〉에 나오는 문장이다.

氣痢者, 由冷氣停於腸胃間, 致冷熱不調, 脾胃不和, 腹脅虛滿, 腸鳴, 腹痛, 便利赤白. 宜厚腸胃, 調冷熱, 補脾氣則愈.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기리(氣痢) 때문에 배가 아프고 편안히 잠들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향애환(香艾丸).
애엽(艾葉)[볶은 것], 진귤피(陳橘皮)[끓는 물에 담갔다가 흰 속을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이상의 약재들은〉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가루 내어 술과 함께 충분히 끓이고, 밥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20환을 공복에 염탕(塩湯
소금 끓인 물
)과 함께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聖濟. 治氣痢腹痛, 睡臥不安, 香艾丸.
艾葉[], 陳橘皮[湯浸, 去白, 焙, 等分].
右爲末, 酒煮爛, 飯和丸, 如桐子大. 每二十丸, 空心塩湯下.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77 〈설리문(泄痢門) 기리(氣痢)〉에 나오는 문장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