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현옹종(懸癰腫)
메뉴닫기 메뉴열기

현옹종(懸癰腫)


현옹종(懸癰腫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장부(臟腑)에 숨어있던 열기가 위로 목구멍과 부딪히면서, 기혈(氣血)이 막혀 현옹(懸癰)으로 맺히는데, 독기(毒氣)가 흩어지지 않으므로 붓고 아프며 답답해지는 것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3 〈인후문(咽喉門) 현옹종(懸癰腫)〉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藏府有伏熱之氣, 上衝咽喉, 氣血壅遏, 結於懸癰, 毒氣不散, 故腫痛妨悶.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길이가 두어 치나 되면서 목구멍을 따라 들락거려서 숨을 쉴 수가 없는 현옹종(懸癰腫)을 치료한다.
환자에게 입을 크게 벌리게 하고 젓가락으로 혀를 아래로 누른 후, 작은 낙침(烙鍼)을 불에 달궈서 대나무 대롱[竹管]을 통해 지져서 〈환부를〉 터뜨리면 즉시 낫는다. 〈환부의〉 작은 뿌리가 아직 남아 있으면 조금씩 다시 지져 주고, 즉시 소금[塩]을 지진 부위에 바른다.

聖濟. 治懸癰腫, 長數寸, 隨喉出入, 不得息.
令病人大開口, 以筯按舌下, 燒小烙鍼, 於竹管中, 烙之, 令破卽愈. 小根不盡, 漸更烙之, 卽以塩塗烙處.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소금[塩]을 빻아 곱게 가루 낸다. 면(綿)으로 젓가락 끝을 감싸서 소금을 묻혀 매일 6~7번씩 찍어 바른다.

又方. 塩擣令細. 綿纏筯頭, 搵塩點之, 日六七度.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식육(息肉)이 길게 자라난 현옹종(懸癰腫) 증상과 설종(舌腫) 증상.
양제초(羊蹄草)를 끓여 즙을 내서 머금는다. 혹은 콩누룩[塩豉]과 반죽하여 바르기도 한다.

又治. 懸癰腫長生息肉, 及舌腫.
羊蹄草煮汁, 含之. 或以塩豉和, 塗之.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소금[塩]과 콩누룩[豉]은 동일한 분량을 사용한다. 소금을 콩누룩과 섞어서 아픈 부위에 매일 3~5번 바른다.

又方. 塩豉等分. 以塩和豉, 塗患處, 日三五次.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4~5세 어린이의 소변(小便) 1홉을 동전(銅錢) 2푼[文]과 함께 입에 머금는다.

又方. 童子小便四五歲者一合, 幷銅錢二文, 含之.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식육(息肉)이 자라나는 현옹종(懸癰腫) 증상.
건강(乾薑)[구워서 자른 것], 반하(半夏)[끓는 물에 7차례 씻은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푼].
위의 약재들을 빻아서 가루 낸다. 콩누룩[塩豉]과 섞어서 아픈 부위에 바른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懸癰腫生息肉.
乾薑[炮裂], 半夏[湯洗七次, 各一分].
右擣爲散. 塩豉和, 塗所患處.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3 〈인후문(咽喉門) 현옹종(懸癰腫)〉에 나오는 문장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