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인후(咽喉)
메뉴닫기 메뉴열기

인후(咽喉)


인후(咽喉
목구멍 질환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심한 경우에는 미음조차 삼키지 못해서 금세 죽을 수 있다. 그 증후는 환자가 한열(寒熱)을 느끼는 것인데 상한증(傷寒證)과 흡사하다. 마땅히 서둘러 치료해야 한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인후종통(咽喉腫痛)〉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甚則水漿不下, 便能殺人. 其候有使人寒熱, 似傷寒者. 宣急治之.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목구멍이 갑자기 부어서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해(薤
염교
) 1줌을 완전히 빻고 식초[醋]와 섞어서 부은 부위에 바르고, 식으면 다시 바꾼다.

聖濟. 治咽喉卒腫, 食飮不通.
薤一握爛擣, 和醋, 付腫上, 冷復易.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의이인(薏苡仁) 7매(枚)를 물과 함께 삼키면 즉시 낫는다.

又方. 薏苡人七枚, 以水呑之, 卽差.

〈≪성제총록≫의〉 또 다른 처방. 인후통(咽喉痛).
사간(射干)을 씻어 콩만하게[大豆許] 잘라서, 매번 1알을 입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 수시로 입을 크게 벌려 기(氣)를 배출하면서 빈번하게 양 귀를 잡아당기면 즉시 낫는다.

又方. 咽喉痛. 주002)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은 이상까지이다.
射干洗剉, 如大豆許, 每含一粒, 嚥津. 時時大開口, 吐氣, 주003)
토기(吐氣):
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 권122 〈인후문 인후종통〉의 동일 기사에 따라 ‘토기(吐氣)’로 판독하였다.
頻拽兩耳, 卽差.

≪간이(簡易)
간이방(簡易方)
≫. 금소원(金消圓). 목구멍[咽喉]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황벽(黃蘗) 껍질, 형개수(荊芥穗), 사간(射干), 황금(黃芩)[〈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검실(芡實)만한[雞頭大] 환(丸)을 만든다. 매번 1환을 수시로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簡易. 金消圓. 治咽喉腫痛.
黃蘗皮, 荊芥穗, 射干, 黃芩[各等分].
右細末, 煉蜜爲丸, 如雞頭大. 每用一丸, 不計時, 含化.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2 〈인후문(咽喉門) 인후종통(咽喉腫痛)〉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은 이상까지이다.
주003)
토기(吐氣):원문 인쇄상태가 좋지 못한데, ≪성제총록≫ 권122 〈인후문 인후종통〉의 동일 기사에 따라 ‘토기(吐氣)’로 판독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