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개치(揩齒)
메뉴닫기 메뉴열기

개치(揩齒)


개치(揩齒
치아 닦기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치아를 닦는 이유는 양치[漱]·두드림[叩琢]·도인[導引]과 마찬가지로, 진액(津液
)이 잘 흐르게 하고 나쁜 기운[腐氣]은 씻어냄으로써, 치아[牙齒]를 단단하게 하고 은조(齦槽
치아가 박혀 있는 오목한 공간
)[齗䐬]를 치밀하게 하며 온갖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개치(揩齒)〉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揩理, 與 주002)
여(與):
원문은 ‘여(與)’이지만 ≪성제총록≫ 권121 〈구치문 개치〉의 동일 기사에는 ‘관(盥)’이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를 닦고, 양 치하고, 두드리고, 도인하는 것은[揩理, 盥漱, 叩琢, 導引]”이라는 뜻이 된다.
漱叩琢導引, 務要津液榮流, 滌除腐氣, 令牙齒堅牢, 齗䐬固密, 諸疾不生也.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치아 닦기[揩齒].
마른 상심(桑椹
뽕나무 열매
), 승마(升麻), 조협(皂莢)[소금물에 하룻밤 담가서 불에 말린 것], 생건지황(生乾地黃), 괴백피(槐白皮)[〈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위의 약재들을 잘게 자른다. 찹쌀밥[糯米飯]과 섞어서 원(圓)을 만들고, 숯불에 전체적으로 붉으스름하게 구운 후, 곱게 갈아서 가루 낸다. 먼저 좁쌀 미음[漿水]으로 입을 양치하고, 이른 아침과 잠자리에 들 때 손가락으로 약을 점찍어서 치아를 닦는다. 이것은 〈치아를〉 빛나게 하고 머리를 검게 만든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聖濟. 揩齒.
乾桑椹, 升麻, 皂莢[塩水浸一宿, 焙乾], 生乾地黃, 槐白皮[各一兩].
右細剉. 用糯米飯和爲團, 以炭火燒, 令通赤後, 細硏爲散. 先以漿水漱口, 早晨臨臥, 以指點搵藥, 揩齒. 令光潤黑髭.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21 〈구치문(口齒門) 개치(揩齒)〉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여(與):원문은 ‘여(與)’이지만 ≪성제총록≫ 권121 〈구치문 개치〉의 동일 기사에는 ‘관(盥)’이라고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를 닦고, 양 치하고, 두드리고, 도인하는 것은[揩理, 盥漱, 叩琢, 導引]”이라는 뜻이 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