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목편시풍견(目偏視風牽)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편시풍견(目偏視風牽)


목편시풍견(目偏視風牽
눈이 풍사(風邪)의 영향으로 편시가 된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목편시(目偏視)목편시(目偏視):
편시(偏視)는 눈동자가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시선이 정면을 보지 못하고 옆으로 흘겨보는 증상이다. 우리말로는 흑보기라고 한다.
란 장부(臟腑)가 허해져서 풍사(風邪)가 눈동자를 끌어당기므로 시선이 비뚤어지는 것이다.” 주002)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편시풍견(目偏視風牽)〉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目偏視者, 以府藏虛, 而風邪牽睛, 故其視偏也.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눈이 풍사(風邪)의 끌림을 당해 침에 찔린 듯이 아프면서, 사물을 바라볼 때 〈시선을〉 돌릴 수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황금(黃芩), 대황(大黃)[잘라서 볶은 것], 길경(桔梗)[볶은 것], 지모(知母)[불에 말린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현삼(玄蔘), 마두령(馬兜零)[〈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반],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2냥].
위의 약재들을 잘게 대강 썬다. 매번 3돈을 물 1종지에 넣어 6분(分)으로 졸아들도록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후와 잠자리에 들면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聖濟. 治眼風牽, 痛如針刺, 視物不能迴顧.
黃芩, 大黃[剉炒], 桔梗[], 知母[焙, 各一兩], 玄參, 馬兜零[各一兩半], 防風[去叉, 二兩].
右爲麁末. 每服三錢, 水一鍾, 煎六分, 去滓, 食後臨臥, 溫服.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간풍(肝風)으로 눈동자가 바르지 않아서 사물을 볼 때 비스듬히 보는 증상.
방풍(防風)[잔뿌리를 없앤 것 2냥], 국화(菊花)[4냥], 질려자(蒺蔾子)[蒺梨子][볶아서 껍질을 제거한 것], 악실(惡實)[〈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1냥, 볶은 것].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낸다. 매번 3돈을 식후에 숭늉에 타서 복용한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治. 肝風目睛不正, 視物偏斜.
防風[去叉, 二兩], 菊花[四兩], 蒺梨子[炒, 去殼], 惡實[各一兩, 炒].
右爲細末. 每服三錢, 食後, 以熟水調服.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2)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편시풍견(目偏視風牽)〉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1)
목편시(目偏視):편시(偏視)는 눈동자가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시선이 정면을 보지 못하고 옆으로 흘겨보는 증상이다. 우리말로는 흑보기라고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