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5(卷五)
  • 목양급급적통(目痒急及赤痛)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양급급적통(目痒急及赤痛)


목양급급적통(目痒急及赤痛
눈이 가려우면서 땅기고 충혈되면서 아픈 증상
)

〈≪성제총록≫에서〉 논하기를, “간경(肝經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이 허해져서 풍사(風邪)가 편승하게 되면 눈이 가려워진다. 심열(心熱)이 성해져서 혈행(血行
피의 움직임
)이 지나치게 되면 눈이 붉어진다. 이제 〈눈이〉 붉고 가려운 데다 눈꺼풀까지 땅기는 것은, 안에서는 풍사와 심열[風熱]이 번갈아 일어나고 밖으로는 한랭한 기운을 쐬었기 때문이다. 사독(邪毒)이 바야흐로 불타오르면서 기혈(氣血)이 소통되지 못하므로 수시로 아픈 것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양급급적통(目痒急及赤痛)〉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論曰, 肝經虛而風邪乘之, 則目痒. 心熱盛而血行湧溢, 則目赤. 今赤且痒, 而瞼又急, 則以風熱交作於內, 而又外冒寒冷之氣. 邪毒方熾, 氣血不得流通, 故時痛也.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붉은 눈이 가렵고 깔깔한 증상 및 일체의 안과 질환[目疾]을 치료하는 탕기위(湯器熨
그릇에 담긴 뜨거운 물로 찜질하는 법
).
뜨거운 물을 그릇[구리 그릇이라면 더욱 좋다]에 가득 채운 후 손으로 물을 떠서 눈을 찜질한다. 눈은 꼭 감고 뜨지 않도록 하며 손으로 눈을 문질러서도 안 된다. 다만 뜨거운 물을 떠서 〈눈을〉 적시기만 하며, 뜨거운 물이 식으면 그만둔다. 안질[疾]이 있을 때는 1일에 3~4번이 괜찮지만, 안질이 없을 때는 1일에 1~2번 적시어 눈을 밝게 한다. 이 방법은 눈에 핏발이 서거나 눈꺼풀·눈초리[瞼眥]가 가려울 때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젊은 시절 밤에 작은 글자[小字]를 쓰느라 눈병이 생겨 통증이 극심한 지 20년이 되었는데, 이 방법을 써서 완전히 나았다. 또 어떤 사람은 눈이 어두워서 고생하다가 이 방법을 썼는데, 1년이 지난 후 능히 등불 아래에서 잔글씨[細書]를 볼 수 있게 되었다. 대체로 피가 따뜻해야 〈몸을〉 잘 영윤(營潤)하는데, 눈은 전적으로 피가 영양(營養)해 주는 것에 달려 있다. 〈외출해서〉 풍(風)을 쐬거나 냉기(冷氣)를 만나더라도 귀가해서 〈눈을 이렇게〉 적시어 주면 눈에 아주 유익하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聖濟. 治赤目痒澁, 及一切目疾, 湯器熨.
盛熱湯滿器[銅器尤佳], 以手掬熨眼. 眼緊閉勿開, 亦勿以手揉眼. 但掬湯沃, 湯冷卽已. 若有疾, 一日可三四爲之, 無疾, 日一兩次沃, 令眼明. 此法最治赤眼及瞼眥痒. 昔有人, 因少年夜書小字, 病目痛楚, 凡二十年, 用此法, 遂永差. 又有人苦目昏, 用此法, 踰年後, 遂能燈下觀細書. 大率血得溫, 則榮, 目全要血養. 若衝風冒冷, 歸而沃之, 極有益於目.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7 〈안목문(眼目門) 목양급급적통(目痒急及赤痛)〉에 나오는 문장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