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4(卷四)
  • 토혈(吐血)
메뉴닫기 메뉴열기

토혈(吐血)


토혈(吐血
피를 토하는 증상
)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에 이르기를, “토혈(吐血)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내뉵(內衄)이고, 둘째는 폐저(肺疽)이고, 셋째는 상위(傷胃)이다. 내뉵은 심폐(心肺) 가까운 곳으로부터 진액(津液)이 나와 위(胃)로 환류(還流)하는 것으로 그 색은 두즙(豆汁
콩물
)과 비슷하다. 위에 고여 뭉쳐 있으면서 그득하고 답답해져서, 코피가 터지듯 토하는 것이 이것이다. 폐저는 음주(飮酒) 때문에 그득하고 답답해져서 〈피를〉 토하는 것으로, 피가 토사물과 함께 나오는데, 〈토하는 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1홉이고 많으면 1되에 이르는 것이 이것이다. 상위는 음식물을 과식하였을 때 차가운 위가 소화시키지 못하여 괴로워하면서 심하게 구토하고, 음식물과 위기(胃氣)[氣]가 모두 위로 치솟아 결국 위완(胃脘)이 손상되면서 선명하게 붉은 피를 토하는 것이 이것이다. 이 세 가지는 비록 병증이 다르지만, 요약하자면 모두 〈몸이〉 크게 허손(虛損)된 것과 음주·노상(勞傷)노상(勞傷):
몸이 피곤하여 움직이거나 말하는 것을 싫어하는 증상으로, 노권(勞倦)이라고도 한다. 지나친 노동, 감정, 섹스, 음식 등으로 인해서 외모와 기(氣)가 쇠약해지는 것이다.
때문에 발생한다.” 주002)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68 〈토혈문(吐血門) 토혈통론(吐血統論)〉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논하였다.

聖濟論曰, 吐血有三, 一曰內衄, 二曰肺疽, 三曰傷胃. 內衄者, 近從心肺間津液出, 還流入胃, 色如豆汁. 凝留胃中, 滿悶卽吐, 如衄血狀, 是也. 肺疽者, 飮酒滿悶卽吐, 血從吐出, 少或一合, 多至一升, 是也. 傷胃者, 飮食過度, 胃冷不化, 煩悶强嘔, 食物與氣, 俱上衝蹙, 胃脘因致傷損, 吐血鮮赤, 是也. 三者, 證雖不同, 要之, 皆有大虛損, 及飮酒勞傷所致.

≪경험양방(經驗良方)≫. 흑신산(黑神散). 사람들[大人]이 피를 토하거나 음주 과식으로 아파서 머리까지 손상을 입는 증상을 치료한다. 토하는 피가 많아지는 데다 피가 〈몸 속을〉 함부로 운행하게 되면 입과 코로 동시에 피가 쏟아져 나온다. 하지만 목소리를 아직 잃지 않은 사람에게 투약하면 반드시 효과가 있다.
백초상(百草霜) 적당량을 갈아서 곱게 가루 내고, 피를 토할 때 찹쌀[糯米] 미음에 1~2돈을 타서 복용하면 금방 좋아진다. 비뉵(鼻衄)에는 1자(字) 주003)
1자(字):
2푼 5리의 무게로서, 현재의 1g에 해당한다.
를 콧속에 불어넣으면 금방 효과가 있다. 살[皮肉]이 찢어진 곳이나 구창(灸瘡)으로 출혈하는 경우에, 백방으로 약을 써도 지혈되지 않을 때는 〈이 약〉 반 돈이나 1자를 쓰면 금방 지혈된다. 백초상이란 솥 아래의 검댕[鍋底黑]으로서, 시골 집[鄕人家] 솥의 밑바닥에 붙은 것을 쓰는 것이 좋다. 시골 사람들은 항상 들풀들을 많이 태우므로 〈이 검댕을〉 백초상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經驗良方. 黑神散. 治大人吐血, 及傷酒食飽, 低頭掬損. 吐血至多, 幷血妄行, 口鼻中俱出. 但聲未失者, 投之, 無不效.
百草霜不拘多少, 硏爲細末, 吐血時, 用糯米飮調下一二錢, 立佳. 鼻衄, 一字吹入鼻中, 立效. 皮肉破處, 及灸 주004)
구(灸):
원문의 글자는 ‘자(炙)’처럼 보이지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28 〈비뉵문(鼻衄門) 토혈론(吐血論)〉의 동일 기사에 따라 ‘구(灸)’로 판독하였다. 구창(灸瘡)은 뜸 뜬 자리에 생기는 창상을 말한다.
瘡出血, 百般用藥不止, 摻半錢, 或一字, 立止. 百草霜卽鍋底黑, 如用鄕人家鍋底上者, 爲佳. 謂鄕人常多燒野草, 所以名百草霜.

≪직지(直指)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 여러 종류의 혈병(血病), 토혈(吐血), 육혈(衄血
코피
)을 치료한다.
싱싱한 나복자(蘿蔔子)에서 반 종지의 즙을 내서 흰 소금[白塩] 소량을 넣어 복용하면 금방 효과가 있다. 만약 〈흰 소금이〉 없다면, 다만 살짝 볶은 나복자(蘿蔔子) 1푼에, 잘라서 가루 낸 자소경엽(紫蘇莖葉) 반 푼을 달여 먹어도 효과가 있다.

直指. 治諸血吐血衄血.
生蘿蔔取汁半鍾, 入白塩少許, 服之, 立效. 如無, 只用蘿蔔子一分, 微炒, 紫蘇莖葉半分, 剉散用煎, 亦效.

〈≪인재직지방≫의〉 또 〈다른 치료법인〉 혈여산(血餘散). 토혈(吐血), 육혈(衄血)을 치료한다.
두발(頭髮)을 태우되 〈두발의〉 약성(藥性)을 간직하도록 해서 곱게 가루 낸다. 매번 2돈을 미음(米飮)에 타서 복용한다. 코피가 날 경우에는 다시 〈혈여산〉 소량을 콧속에 불어넣는다.

又, 血餘散. 治吐血衄血.
頭髮燒存性, 硏細. 每服二錢, 米飮調下. 衄者, 更以少許, 吹入鼻.

≪백일선방(百一選方)≫. 토혈(吐血)을 치료한다.
송연묵(松烟墨) 즙을 복용하면 즉시 낫는다.

百一選方. 治吐血.
松烟墨汁服之, 卽愈.

≪산거사요(山居四要)≫. 주005)
≪산거사요(山居四要)≫:
원(元) 나라의 왕여무(王汝懋)가 1360년에 편찬한 도서이다. 왕여무는 관직을 버리고 학문에 힘써 저명한 농학자(農學者)가 되었는데, 책 이름에 나온 바와 같이 산촌의 생활을 위해 5권짜리의 이 책을 편찬하였다. 책의 편차이기도 한 사요(四要)란 운동·음식 등 건강에 관한 섭생지요(攝生之要),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양생지요(養生之要), 사람·가축의 질병 예방법을 다룬 위생지요(衛生之要), 농사법 등을 다룬 치생지요(治生之要)를 의미한다.
토혈(吐血)을 치료한다.
측백엽(側栢葉)을 곱게 가루 내고 술에 타서 복용한다. 〈측백엽〉 마른 것을 가루로 만들어서 미음에 타서 복용해도 효과가 있다.
또 복룡간(伏龍肝) 적당량을 가루 내고 형개즙(荊芥汁)에 타서 복용한다.

山居四要. 治吐血.
側栢葉硏細, 以酒調下. 乾爲末, 米飮調下亦效.
又伏龍肝不以多少, 爲末, 荊芥汁調下.

≪경험양방(經驗良方)≫. 토혈(吐血)을 치료한다.
묵은 쑥[熟艾] 1줌[拳] 정도를 물 3종지에 넣어 1종지가 될 때까지 끓여서 복용한다.

經驗良方. 治吐血.
熟艾一拳許大, 以水三鍾, 煮取一鍾, 服.

〈≪경험양방≫의〉 또 다른 처방. 형개(荊芥)를 뿌리째 깨끗이 씻은 후 빻아서 만든 즙 반 종지를 마신다. 싱싱한 것이 없을 때는 형개수(荊芥穗)[穗]를 가루 내고 숭늉에 타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又方. 荊芥連根洗淨, 搗汁半鍾, 飮之. 無生者, 穗爲末, 熟水調溫服.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토혈(吐血)과 각혈(咯血)을 치료하는 청금산(靑金散).
하엽(荷葉
연꽃 잎
) 적댱량을 불에 말리고 빻아서 가루 낸 다음, 미음에 2돈을 타서 복용한다.

聖濟. 治吐血咯血, 靑金散.
荷葉不拘多少, 焙乾, 搗羅爲末, 米飮調下二錢.

≪득효(得效)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 연심산(蓮心散). 노심초사하다가 토혈(吐血)하는 것을 치료한다.
연자심(蓮子心) 50매와 찹쌀[糯米] 50알을 함께 가루 내고 술에 타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得效. 蓮心散. 治勞心吐血.
蓮子心五十枚, 糯米五十粒, 同爲末, 酒調服, 效.

≪여거사간이(黎居士簡易)
간이방(簡易方)
≫. 주006)
≪여거사간이(黎居士簡易)≫:
여민수(黎民壽)가 쓴 ≪간이방(簡易方)≫을 지칭한다. 여민수는 13세기 후반의 남송(南宋) 사람인데, 불교에 귀의하여 호를 여거사(黎居士)라고 하였다.
측백산(側栢散). 내상[內損]으로 인한 토혈(吐血)·하혈(下血)을 치료한다. 간혹 과도한 음주로 몸이 노상(勞傷)을 입으면 혈기(血氣)가 함부로 운행하게 되는데, 입과 코 모두에 솟아나는 샘물처럼 피가 흐를 때는 곧바로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한다. 이것을 복용하면 즉시 편안해지므로 꼭 복용해야 한다.
측백엽[栢葉] 주007)
측백엽[栢葉]:
처방명이 ‘측백엽’이므로, 본문의 약재명은 측백엽 즉 측백나무잎을 가리킨다.
[1냥 반, 쪄서 말린 것], 인삼(人蔘)[노두를 제거한 것 1냥], 형개수(荊芥穗)[1냥, 태워서 재로 만든 것].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낸다. 매번 3돈을 부드러운 밀가루[飛羅麪] 주008)
비라면(飛羅麵):
바람에 날리는 미세한 먼지처럼 입자가 부드러운 밀가루를 말한다.
2돈과 고르게 섞어 새로 길어온 물[新汲水]에 묽은 풀[稀糊]처럼 타서 마시면 금방 효과가 있다.

黎居士簡易. 側栢散. 治內損吐血下血. 或因酒大過, 勞傷於內, 血氣妄行, 其出如湧泉, 口鼻皆流, 須臾不救則死. 服此卽安, 宜服之.
栢葉[壹兩半, 蒸乾], 人參[去蘆, 壹兩], 荊芥穗[壹兩, 燒灰].
右細末. 每服三錢, 入飛羅麪二錢拌勻, 新汲水調, 稀糊相似, 啜服, 立效.

〈≪간이방≫의〉 또 다른 처방. 백초상(百草霜)과 백지(白芷)를 가루 낸다. 매번 3돈을 진한 미음(米飮)과 함께 복용한다.

又方. 百草霜白芷爲末. 每服三錢, 濃米飮倂服.

≪대전양방(大全良方)
부인대전양방(婦人大全良方)
≫. 사생원(四生圓). 무릇 토혈(吐血)과 육혈(衄血)이란 양(陽)이 음(陰)에 올라타서 피가 뜨거워지면서 함부로 돌아다닌 〈결과〉이다.
싱싱한 하엽(荷葉), 싱싱한 애엽(艾葉), 싱싱한 백엽(栢葉), 생지황(生地黃)[〈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완전히 갈아서 계란 크기로 만든다. 매번 1원(圓)을 물 3종지에 여과하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大全良方. 四生圓. 凡吐血衄血, 陽乘於陰, 血熱妄行.
生荷葉, 生艾葉, 生栢葉, 生地黃[各等分].
右爛硏, 如雞卵大. 每服一圓, 水三鍾, 濾過, 溫服.

≪직지(直指)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 인삼탕(人蔘湯). 토혈(吐血)과 각혈(咯血)을 치료한다.
인삼(人蔘)을 약한 불에 달여서 복용한다.

直指. 人參湯. 治吐血咯血.
人參熳火煎服.

≪천금익(千金翼)
천금익방(千金翼方)
≫. 온갖 처방으로도 낫지 않는 토혈(吐血)을 치료하는데, 10번 치료하면 10번 차도가 있을 정도로 신효(神效)하여 함부로 전하지 않는 처방이다. 이 약성(藥性)을 자세히 살피면 열독(熱毒)으로 인한 토혈에도 효과가 있다.
생지황(生地黃) 즙[반 되], 싱싱한 대황(大黃) 가루[1방촌비(方寸匕)].
위의 약재에서 생지황[地黃] 즙을 2~3번 넘치도록 달이고, 대황(大黃) 가루를 타서 똑같은 분량으로 3번 복용한다.

千金翼. 治吐血百方不差, 療十十差, 神效不傳方. 詳此藥性, 治熱毒吐血, 有效.
生地黃汁[半升], 生大黃末[壹方寸匕].
右煎地黃汁三兩沸, 調大黃末, 令均, 爲三服.

〈≪천금익방≫의〉 또 다른 처방. 복룡간(伏龍肝)을 아주 곱게 간다. 매번 2돈을 새로 길어온 물[新汲水]에 타서 자주 복용하면 효과를 얻는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又方. 伏龍肝硏令極細. 每服二錢, 新汲水調下, 頻服, 取效.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2)
이상의 병론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68 〈토혈문(吐血門) 토혈통론(吐血統論)〉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1)
노상(勞傷):몸이 피곤하여 움직이거나 말하는 것을 싫어하는 증상으로, 노권(勞倦)이라고도 한다. 지나친 노동, 감정, 섹스, 음식 등으로 인해서 외모와 기(氣)가 쇠약해지는 것이다.
주003)
1자(字):2푼 5리의 무게로서, 현재의 1g에 해당한다.
주004)
구(灸):원문의 글자는 ‘자(炙)’처럼 보이지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28 〈비뉵문(鼻衄門) 토혈론(吐血論)〉의 동일 기사에 따라 ‘구(灸)’로 판독하였다. 구창(灸瘡)은 뜸 뜬 자리에 생기는 창상을 말한다.
주005)
≪산거사요(山居四要)≫:원(元) 나라의 왕여무(王汝懋)가 1360년에 편찬한 도서이다. 왕여무는 관직을 버리고 학문에 힘써 저명한 농학자(農學者)가 되었는데, 책 이름에 나온 바와 같이 산촌의 생활을 위해 5권짜리의 이 책을 편찬하였다. 책의 편차이기도 한 사요(四要)란 운동·음식 등 건강에 관한 섭생지요(攝生之要),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양생지요(養生之要), 사람·가축의 질병 예방법을 다룬 위생지요(衛生之要), 농사법 등을 다룬 치생지요(治生之要)를 의미한다.
주006)
≪여거사간이(黎居士簡易)≫:여민수(黎民壽)가 쓴 ≪간이방(簡易方)≫을 지칭한다. 여민수는 13세기 후반의 남송(南宋) 사람인데, 불교에 귀의하여 호를 여거사(黎居士)라고 하였다.
주007)
측백엽[栢葉]:처방명이 ‘측백엽’이므로, 본문의 약재명은 측백엽 즉 측백나무잎을 가리킨다.
주008)
비라면(飛羅麵):바람에 날리는 미세한 먼지처럼 입자가 부드러운 밀가루를 말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