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권4(卷四)
  • 일체연수(一切涎嗽)
메뉴닫기 메뉴열기

일체연수(一切涎嗽)


일체연수(一切涎嗽
모든 가래와 기침 증상
)

≪유가사친방(儒家事親方)
유문사친(儒門事親)
≫에 이르기를, “모든 연수(涎嗽)는 자극적인 음식과 열담(熱痰
열(熱)로 인해 생 긴 담음(痰飮)
)으로 생긴다.” 주001)
이상의 병론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4 〈일체연수삼십(一切涎嗽三十)〉에 나오는 문장이다.
라고 하였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 이르기를, “가을에 습기로 손상당하면 겨울에 기침이 생긴다.” 주002)
이상의 병론은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 〈음양응상대론편(陰陽應象大論篇) 제5〉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 표현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4 〈해수삼십일(咳嗽三十一)〉에도 인용되어 있다.
라고 하였다.

儒家事親方云, 一切涎嗽, 是飮食厚味熱痰之所致也. 黃帝內經云, 秋傷於濕, 冬生咳嗽.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폐수(肺嗽) 주003)
폐수(肺嗽):
기침이 나고 호흡이 급해지면서, 심한 경우에는 피까지 토하는 증상이다.
와 담타(痰唾
가래와 침
)를 치료하는 옥액산(玉液散).
반하(半夏)[2냥, 큰 것을 골라 깨끗이 씻고 배꼽을 버린 것], 조협(皂莢)[20정, 껍질과 씨를 버린 후, 잘라서 물 1말에 넣고 반하와 함께 5되가 될 때까지 끓인다. 반하를 빼내고 얇게 잘라서 불에 말린 것].
위의 약재에서 우선 반하만을 빻아 가루 낸다. 매번 반 돈을 물 1종지, 생강 1쪽에 넣고 4분(分)으로 졸아들도록 달여서, 식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聖濟. 治肺嗽痰唾, 玉液散.
半夏[貳兩, 大者, 淨洗, 去臍], 皂莢[弍拾挺, 去皮子, 剉, 水壹斗, 同半夏, 煮至五升. 取出半夏, 薄切, 焙乾].
右只取半夏, 搗羅爲散. 每服半錢, 水一鍾, 生薑一片, 煎四分, 食後溫服.

〈≪성제총록≫의〉 또 다른 치료법. 담벽(痰癖) 주004)
담벽(痰癖):
흉부에 있던 수음(水飮)이 한기(寒氣)·열기(熱氣)와 만나 담(痰)을 형성하는데, 이 담이 옆구리[脇肋]로 몰리면서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및 음주로 인한 정담(停痰), 낫지 않는 적취(積聚), 구토, 눈이 어두운 것[䀮䀮], 이롱(耳聾), 창자[腸]에서 물소리가 나는 증상, 소음(消飮
소갈(消渴)로 인해 물을 마시는 증상
).
백출(白朮), 반하(半夏)[끓는 물에 씻고 진을 빼서[去滑] 불에 말린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3냥], 지각(枳殼)[속을 파내고 밀기울에 볶은 것 4냥], 건강(乾薑)[구운 것 2냥].
위의 약재들을 가루 내고 졸인 꿀[鍊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환을 따뜻한 미음과 함께 식전에 복용한다.

又治. 痰癖及飮酒停痰, 積聚不利, 嘔吐, 目視䀮䀮, 耳聾, 腸中水聲, 消飮.
白朮, 半夏[湯洗, 去滑, 焙, 各參兩], 枳殼[去瓤, 麩炒, 四兩], 乾薑[炮, 弍兩].
右爲末, 鍊蜜和丸, 如桐子大. 每服三十丸, 溫米飮下, 食前服.

≪화제(和劑)
화제국방(和劑局方)
≫. 사칠탕(四七湯). 칠정(七情)으로 기가 막히면서 해진 솜이나 매실씨 같은 느침[痰涎]이 쌓이는데, 목구멍에서는 토하려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아울러 중완(中脘
배꼽 위의 4치[寸] 지점
)이 그득하고, 느침이 가득하며, 기가 치밀어 오르면서 숨이 찬 증상도 치료한다.
반하(半夏)[5냥], 복령(茯苓)[4냥], 자소엽(紫蘇葉)[2냥], 후박(厚朴)[3냥].
위의 약재들을 거칠게 자른다. 매번 4돈을 물 1종지 반, 생강 7쪽, 대추 1개에 넣고 1종지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수시로 복용한다.

和劑. 四七湯. 治七情氣欝, 結聚痰涎, 狀如破絮, 或如梅核, 在咽{口+候}之間, 咯不出, 嚥不下. 幷治中脘痞滿, 痰涎壅盛, 上氣喘急.
半夏[五兩], 茯苓[四兩], 紫蘇葉[弍兩], 厚朴[參兩].
右㕮咀. 每服四錢, 水一鍾半, 薑七片, 棗一箇, 煎一鍾, 去滓, 不拘時服.

≪간이(簡易)
간이방(簡易方)
≫. 섭씨분연탕(葉氏分涎湯). 풍담(風痰)이 가슴에 쌓여 있어서 숨이 가쁘며, 오심(惡心
위기(胃氣)가 올라와 구토할 것 같은 중상
)이 있으며 가래가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진피(陳皮)[흰 속을 버린 것], 신라간삼(新羅揀蔘), 반하(半夏)[끓는 물에 7차례 씻어 부드럽게 만든다. 1개를 4쪽으로 나누어 생강즙에 하룻밤을 재운 것], 지실(枳實), 길경(桔梗)[苦梗], 천남성(天南星)[겉껍질을 버리고 젖은 종이로 싼 후 잿불에 향긋하도록 구웠다가 꺼낸 것, 〈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동일한 분량].
위의 약재들을 거칠게 자른다. 매번 3돈을 물 1종지 반, 생강 10쪽에 넣고 1종지가 될 때까지 함께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후에 복용한다.

簡易. 葉氏分涎湯. 治風痰留滯膈間, 喘滿惡心, 涎唾不利.
陳皮[去白], 新羅揀參, 半夏[湯洗七次, 令軟. 每介切四片, 姜汁浸壹夕], 枳実, 苦 주005)
고(苦):
원문은 ‘고(苦)’인데, 문맥상 ‘길(䓀)’이 분명하다. ‘길(䓀)’은 ‘길(桔)’의 속자이다.
梗, 天南星[去外皮, 濕紙包, 灰火煨香熟, 取出, 各等分].
右㕮咀. 每服三錢, 水一鍾半, 姜十片, 同煎一鍾, 去滓, 食後服.

≪직언치병방(直言治病方)≫. 주006)
≪직언치병방(直言治病方)≫:
금(金) 나라 장종정(張從正)이 쓴 의서이다. 장종정의 대표 저작인 ≪유문사친(儒門事親)≫은 원래 3권이었는데, 나중에 제자들인 마구주(麻九疇)와 상덕(常德) 등이 ≪직언치병방≫을 ≪유문사친≫ 권15에 편입시켰다. 본문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15 〈화담연수단(化痰延壽丹)〉에 나오는 문장이다.
화담연수단(化痰延壽丹).
천마(天麻)[반 냥], 구기자(枸杞子)[2냥 반], 백반(白礬)[白凣][1냥, 절반은 생〈백반〉 그대로이고, 절반은 익힌 것], 반하(半夏)[1냥], 건강[乾生薑][1냥 반], 인삼(人蔘)[1냥].
위의 약재들을 가루 내어 좋은 찹쌀[糯]로 빚은 술과 고르게 사탕[沙糖]처럼 섞는다. 이것을 떡[𩚫餠]으로 싸서 완전히 익도록 찐 후, 껍질을 버리고 절구로 40~50번 찧어, 환(丸)을 만든다. 만약 〈반죽이〉 되게[乾] 되면 술 3방울을 떨어뜨려 팥만한[小豆大] 환을 만든다. 매번 30~50환을 생강탕(生薑湯)[生姜湯]과 함께 복용한다.

直言治病方. 化痰延壽丹.
天麻[半兩], 枸杞子[弍兩半], 白凣[壹兩, 半生, 半熟], 半夏[一兩], 乾生薑[一兩半], 人參[一兩].
右爲末, 好糯酒, 拌勻, 如沙糖. 用𩚫 주007)
정(𩚫):
정(𩚫)은 병(餠)과 같으므로, 본문의 ‘용정병제(用𩚫餠劑)’는 의미가 이상해진다. ≪유문사친≫ 권15 〈화담연수단〉에서는 ‘용증병제(用蒸餠劑)’라고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것을 찐 떡으로 싸서”라고 해석된다.
餠劑, 蒸熟, 去皮, 杵臼四五十杵, 便丸. 如乾, 入酒三點, 丸如小豆大. 每服三五十丸, 生姜湯下.

≪백일선방(百一選方)≫. 주008)
≪백일선방(百一選方)≫:
≪시재백일선방(是齋百一選方)≫을 가리킨다. 이 책은 송(宋) 나라 왕구(王璆)가 1196년에 편찬한 20권짜리 의서이다.
담으로 인한 천식[痰喘]을 치료한다.
호도육(胡桃肉)[3개], 생강(生薑)[3쪽].
위의 약재들을 잠자리에 들면서 씹어 먹고, 뜨거운 물을 2~3모금 마신 후, 다른 일을 하지 말고 곧바로 자고 나면 즉시 낫는다.

百一選方. 治痰喘.
胡桃肉[參箇], 生薑[參片].
右臨臥, 嚼下, 飮湯三兩呷, 勿行, 就枕, 卽愈.

≪양문위(楊文蔚)≫〈의 처방〉. 담수(痰嗽)를 치료하고 가슴[胸膈]을 편하게 한다.
괄루(栝樓)[크고 살진 열매를 쪼개어 씨를 깨끗이 씻어낸 후 찧고, 〈괄루〉 껍질은 깎고 잘게 썰어 불에 말린 것], 반하(半夏)[49개, 끓는 물에 10차례 씻고 찧어서 불에 말린 것].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씻은 괄루를 삶은 물[熟水] 및 〈괄루〉 속[瓤]과 함께 진하게 달여서 고약처럼 만든다. 이것을 〈다시〉 곱게 다져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20환을 생강탕(生薑湯)[生姜湯]과 함께 복용한다.

楊文蔚. 治痰嗽, 利胷膈.
栝樓[肥実大者, 割開, 子淨洗, 椎碎, 刮皮, 細切, 焙乾], 半夏[四十九箇, 湯洗十遍, 槌碎, 焙乾].
右細末, 用洗栝蔞熟水, 幷瓤同熬, 成膏. 硏細, 丸如桐子大. 每服二十丸, 生姜湯下.

≪직지(直指)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 주009)
≪직지(直指)≫:
≪직지(直指)≫는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의 약칭이다. 본문의 처방은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권8 〈천수증치(喘嗽證治)〉(사고전서본 권744)에 나온다.
욱리인원(郁李仁圓). 수기(水氣)가 폐를 침범하면서 담(痰)을 자극해 기침이 일어나고, 몸이 약간 붓는 증상을 치료한다.
정력(葶藶)[종이를 깔고 볶은 것], 행인(杏仁)[껍질과 끝을 제거한 것], 방풍(防風), 욱리인(郁李仁)[볶은 것], 진소자(眞蘇子), 진피(陳皮), 적복령(赤茯苓)[〈이상의 약재들은〉 각각 반 냥].
위의 약재들을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원(圓)을 만든다. 매번 30~40원을 식후에 생강자소탕(生姜紫蘇湯)과 함께 복용한다.

直指. 郁李仁圓. 治水氣乘肺, 動痰作喘, 身軆微腫.
葶藶[隔紙, 炒], 杏仁[去皮尖], 防風, 郁李仁[], 眞蘇子, 陳皮, 赤茯苓[各半兩].
右末, 煉蜜圓, 如桐子大. 每參四十圓, 食後生姜紫蘇湯下.

≪병부수집(兵部手執)
병부수집방(兵部手集方)
≫. 주010)
≪병부수집(兵部手執)≫:
당(唐) 나라 이강(李絳, 764~831년)의 ≪병부수집방(兵部手集方)≫을 말한다. ≪병부수집방≫은 3권으로 병부상서(兵部尙書) 이강(李絳)이 전해준 내용을 설홍경(薛弘慶)이 편찬하였다. 원서는 현존하지 않으나 ≪증류본초(證類本草)≫, ≪부광주후방(附廣肘後方)≫, ≪본초강목(本草綱目)≫ 등의 중국 의서와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등의 우리나라 의서에 인용되어 그 내용이 전해진다.
풍기(風氣)로 머리와 눈에 현기증[昬眩]이 나고, 몸의 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담연을 없애주는 흑호단(黑虎丹).
대천남성(大天南星)[반 근, 야채즙[虀汁] 주011)
야채즙[虀汁]:
제즙(虀汁)은 야채로 낸 즙을 말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2 〈풍문(風門) 풍담(風痰) 병부수집(兵部手集)〉의 동일 기사에서는 이 부분이 ‘구즙(韭汁)’ 곧 부추즙으로 되어 있다.
으로 부드럽게 끓여서, 절편으로 잘라 불에 말린 것
], 향묵(香墨)[반 냥, 불에 태운 것].
위의 약재들을 가루 내고 메밀가루[白麪]로 쑨 풀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15환을 형개탕(荊芥湯)과 함께 복용한다. 또는 사향(麝香) 1푼을 추가로 넣고 바둑알 크기로 넓적하게 빚는다. 매번 1~2개 덩어리[餠]를 씹어서 복용한다[싱싱한 서각(犀角)으로 덩어리를 만든다고도 한다]. 주012)
위지생서병자(爲之生犀餠子):
세주로 되어 있는데, ≪향약집성방≫ 권2 〈풍문 풍담 병부수집〉의 동일한 기사에는 이 세주가 없다.

兵部手執. 주013)
집(執):
문맥상 ≪병부수집방(兵部手集方)≫을 의미하므로, 원문의 ‘집(執)’은 ‘집(集)’의 오식으로 판단된다.
治風氣頭目昬眩, 肢軆疼痛, 化痰涎, 黑虎丹.
大天南星[半斤, 用虀汁煮軟, 切作片子, 焙乾], 香墨[半兩, 燒].
右爲末, 以白麪爲糊, 搜和丸, 如桐子大. 每服十五丸, 荊芥湯下. 又更入麝香一分, 却捏匾, 如碁子大. 每服一兩餠嚼下[爲之生犀餠子].

장종정(張從正)의 ≪육문방(六門方)
유문사친(儒門事親)
주014)
본문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15 〈해수담연제팔(欬嗽痰涎第八)〉에 나오는 이분차(二分茶) 문장이다.
. 기침을 치료하는 이분차(二分茶).
차(茶)[2돈], 꿀[蜜][2냥], 교맥면(蕎麥麪)[4냥].
위의 약재들을 새 물[新水
새로 길어 온 물
] 큰 1사발[一大椀]에 〈넣어〉 1,000여 번 흔들어서 한번에 마신다. 마신 후 한참 지나면 기(氣)가 가라앉고, 멈출 수 없었던 기침[喘]이 즉시 사그러든다.
Ⓒ 역자 | 이경록 / 2013년 12월 30일

張氏六門方. 治嗽, 二分茶.
茶[二錢], 蜜[二兩], 蕎麥麪[四兩].
右以新水一大椀, 約打千餘數, 連飮之. 飮畢, 良久, 下氣, 不可停人喘卽止.
Ⓒ 편찬 | 권중화 / 1399년(정종 원년)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상의 병론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4 〈일체연수삼십(一切涎嗽三十)〉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2)
이상의 병론은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 〈음양응상대론편(陰陽應象大論篇) 제5〉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 표현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4 〈해수삼십일(咳嗽三十一)〉에도 인용되어 있다.
주003)
폐수(肺嗽):기침이 나고 호흡이 급해지면서, 심한 경우에는 피까지 토하는 증상이다.
주004)
담벽(痰癖):흉부에 있던 수음(水飮)이 한기(寒氣)·열기(熱氣)와 만나 담(痰)을 형성하는데, 이 담이 옆구리[脇肋]로 몰리면서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주005)
고(苦):원문은 ‘고(苦)’인데, 문맥상 ‘길(䓀)’이 분명하다. ‘길(䓀)’은 ‘길(桔)’의 속자이다.
주006)
≪직언치병방(直言治病方)≫:금(金) 나라 장종정(張從正)이 쓴 의서이다. 장종정의 대표 저작인 ≪유문사친(儒門事親)≫은 원래 3권이었는데, 나중에 제자들인 마구주(麻九疇)와 상덕(常德) 등이 ≪직언치병방≫을 ≪유문사친≫ 권15에 편입시켰다. 본문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15 〈화담연수단(化痰延壽丹)〉에 나오는 문장이다.
주007)
정(𩚫):정(𩚫)은 병(餠)과 같으므로, 본문의 ‘용정병제(用𩚫餠劑)’는 의미가 이상해진다. ≪유문사친≫ 권15 〈화담연수단〉에서는 ‘용증병제(用蒸餠劑)’라고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것을 찐 떡으로 싸서”라고 해석된다.
주008)
≪백일선방(百一選方)≫:≪시재백일선방(是齋百一選方)≫을 가리킨다. 이 책은 송(宋) 나라 왕구(王璆)가 1196년에 편찬한 20권짜리 의서이다.
주009)
≪직지(直指)≫:≪직지(直指)≫는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의 약칭이다. 본문의 처방은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권8 〈천수증치(喘嗽證治)〉(사고전서본 권744)에 나온다.
주010)
≪병부수집(兵部手執)≫:당(唐) 나라 이강(李絳, 764~831년)의 ≪병부수집방(兵部手集方)≫을 말한다. ≪병부수집방≫은 3권으로 병부상서(兵部尙書) 이강(李絳)이 전해준 내용을 설홍경(薛弘慶)이 편찬하였다. 원서는 현존하지 않으나 ≪증류본초(證類本草)≫, ≪부광주후방(附廣肘後方)≫, ≪본초강목(本草綱目)≫ 등의 중국 의서와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등의 우리나라 의서에 인용되어 그 내용이 전해진다.
주011)
야채즙[虀汁]:제즙(虀汁)은 야채로 낸 즙을 말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2 〈풍문(風門) 풍담(風痰) 병부수집(兵部手集)〉의 동일 기사에서는 이 부분이 ‘구즙(韭汁)’ 곧 부추즙으로 되어 있다.
주012)
위지생서병자(爲之生犀餠子):세주로 되어 있는데, ≪향약집성방≫ 권2 〈풍문 풍담 병부수집〉의 동일한 기사에는 이 세주가 없다.
주013)
집(執):문맥상 ≪병부수집방(兵部手集方)≫을 의미하므로, 원문의 ‘집(執)’은 ‘집(集)’의 오식으로 판단된다.
주014)
본문은 ≪유문사친(儒門事親)≫ 권15 〈해수담연제팔(欬嗽痰涎第八)〉에 나오는 이분차(二分茶) 문장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