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여훈언해

  • 역주 여훈언해
  • 여훈언해(女訓諺解) 하(下)
  • 여훈(女訓)
  • 제9. 임자(姙子)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9. 임자(姙子)


여훈언해 하:21ㄱ

姙임子第뎨九구
古고者쟈婦부人인ㅣ 姙임子애 寢침則즉不블側측其기體톄며 坐좌則즉不블偏편其기身신며 立닙則즉不블跛피其기足족며 行則즉必필端단其기形형며 不블食식失실飪임며 不블食식邪샤味미며 割할不블正졍ㅣ어든 不블食식며 席셕不블正졍ㅣ어든 不블坐좌며 目목不블視시邪샤色며 耳이不블聽텽淫음聲셩며 口구不블出츌傲오言언며 心

여훈언해 하:21ㄴ

심不블存존雜잡慮녀고 夜야則즉瞑명目목而이誦숑周쥬南남召쇼南남之지詩시며 坐좌則즉端단莊장而이道도仁인義의禮녜智디之지事ㅣ니 如여此則즉靈녕臺ㅣ 若약明명鏡경之지無무塵딘며 天텬府부ㅣ 若약皎교月월之지無무翳예라 天텬理리渾혼然연며 淸쳥明명ㅣ 在躬궁而이生子ㅣ 形형容용이 端단正졍야 才貌모ㅣ 過과人인니 故고로 婦부人인ㅣ 姙임子애 不블惟유正졍其기身신ㅣ라 又우必필存존乎호

여훈언해 하:22ㄱ

善션而이衛위其기身신야 以이祐우其기子니 柔유順슌貞뎡靜졍며 溫온良냥莊장敬경야 樂낙乎호和화平평은 無무乖괴戾려也야ㅣ오 存존乎호寬관洪홍은 無무忌긔嫉질也야ㅣ오 敦돈乎호仁인慈 無무殘잔害해也야ㅣ오 執집禮녜秉병彝이 無무縱죵越월也야ㅣ오 祗지率솔先션訓훈은 無무愆건違위也야니라 然연ㅣ나 婦부人인ㅣ 正졍心심積젹善션은 乃내性셩分분之지固고有유ㅣ며 人인情졍之지常샹事ㅣ라 不블爲위矜긍誇과며 不

여훈언해 하:22ㄴ

블爲위過과美미야 以이名명稱칭賢현婦부ㅣ오 以이德덕範범後후人인니 凡범婦부人인ㅣ 姙임子애 又우豈긔可가不블以이此爲위法법哉리오
Ⓒ 구결 | 최세진 / 1532년(중종 27)

식  第뎨九구이라
녯 婦부人인ㅣ 식을 오매 자맨 주001)
자맨:
자-[寢]+-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ㄴ(보조사). 잠을 잠에는.
그 몸을 기우로 주002)
기우로:
기울-[傾]+-오(부사 접미사). 기울게.
아니며 안맨 주003)
안맨:
앉-[坐]+-(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ㄴ(보조사). 앉음에는. 이 책(하 : 23ㄱ-6행)에는 ‘안앤’으로 나타난다.
그 몸을 일편도이 주004)
일편도이:
일편(一偏)되게. 한쪽으로 치우치게.
아니며 셔맨 주005)
셔맨:
셔-[立]+-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ㄴ(보조사). 서 있음에는.
그 발을 츼드디 주006)
츼드디:
츼-[偏]+드-[沓]+-디(보조적 연결어미). 치우쳐 디디지.
아니며 니맨 주007)
니맨:
다님에는. 현대어의 ‘다니다’는 ‘니다〉니다〉니다〉다니다’의 변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말이다.
반시 그 얼골 주008)
얼골:
모습. 형체.
을 端단졍히 며 그 주009)
그:
그릇되이. 잘못.
 주010)
:
-[烹]+-(관형사형 어미). 삶은. 연철 표기 ‘’과 분철 표기 ‘’의 절충적 표기인 ‘’과 같은 표기는 연철에서 분철로 바뀌는 과정에서 과도기적으로 한 때 쓰였다. 이른바 중철(重綴) 표기라는 것이다.
거 먹디 아니며 邪샤특 주011)
사(邪)특:
샤특. 요사스럽고 간특한.
마 먹디 아니며 싸미 주012)
싸미:
싸-[割]+-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칼로 썬 것이.
바디 아니커 먹디 아

여훈언해 하:23ㄱ

니며 돗기 주013)
돗기:
[席]+-이(주격 조사). 돗자리가.
바디 아니커든 안 주014)
안:
앉-[坐]+-디(보조적 연결어미). 앉지.
아니며 눈에 邪샤 비 주015)
비:
빛을.
보디 아니며 귀예 淫음 소 주016)
소:
소리[音].
 듣디 아니며 입에 교傲오 주017)
교오(傲):
교만하고 건방짐. 교오(驕傲).
 말을 내디 아니며 애 잡념녀 주018)
잡념녀:
잡념(雜念). 잡염려(雜念慮). 쓸데없는 걱정.
 두디 아니고 밤이어든 눈을 고 쥬남이며 쇼남 주019)
쥬남 쇼남:
주남(周南) 소남(召南). 이는 『시경(詩經)』 국풍의 첫 번째 두 번째 편명(篇名)으로서, 주남(周南)은 주공이 남쪽에서 모은 노래이고, 소남(召南)은 소공이 남쪽에서 모은 노래이다.
시 외오며 주020)
외오며:
외우며.
안앤 단졍며 싁싁이 여셔 仁인義의禮녜智디 주021)
인의예지(仁義禮智):
인의녜디.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성품, 즉 어질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 지혜로움을 말함.
의 일을 니를디니 이티 면 이 근 주022)
근:
-[明]+-은(관형사형 어미). 밝은.
거울의 드틀 주023)
드틀:
티끌.
업미 며 이 근 주024)
근:
-[淸]+-은(관형사형 어미). 맑은.
의 린 것 업미 디라 天텬理리 주025)
천리(天理):
텬리. 천지 자연의 이치.
渾혼然연 주026)
혼연(渾然):
다른 것이 조금도 섞이지 아니한 모양. 모나지도 아니하고 결점도 없는 원만한 모양.
여【渾혼然연

여훈언해 하:23ㄴ

오오단 주027)
오오단:
오올-[全]+-다(평서법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온전하다는. 어간 말음 ㄹ이 ㄷ 앞에서 탈락하였다.
마리라】
고 근 거시 몸애 이셔 나 주028)
나:
낳은[生].
식이 얼고리 端단正졍야 죄며 주029)
죄며:
조[才]+-ㅣ며(접속 조사). 재주와.
얼고리 사의게 넘니 그러모로 婦부人인ㅣ 식 여시매 주030)
여시매:
-[孕]+-어(연결어미)+시-(‘이시-’의 어간)+-매(종속적 연결어미). 임신하였으면.
갇 주031)
갇:
한갓. 오직. 다만.
그 몸을 졍히  이 아니라  반시 어딘 듸 두어 그 몸을 []려 주032)
려:
리-[擁]+-어(연결어미). 꾸리어. 옹위(擁衛)하여. 지켜. 동사 ‘리-’는 ‘리-’의 오각이다. ¶擁 릴 씨라(능엄경 언해 5:55ㄱ).
 그 식을 도을디니 주033)
도을디니:
도울 것이니.
부드러오며 順슌며 貞뎡며 주034)
정(貞)며:
뎡며. 정숙(貞淑)하며.
靜졍며 주035)
정(靜)며:
졍며. 편안하며.
溫온화며 어딜며 싁싁며 공敬경야 和화며 平평호믈 樂낙호믄 주036)
낙(樂)호믄:
낙-[樂]+-오-(삽입모음)+-ㅁ(명사형 어미)+-은(보조사). 즐기는 것은.
어긔며 거슬ㅣ이 주037)
거슬ㅣ이:
‘거슬이’의 오각으로 보인다. 거슬-[逆]+-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거스름이. 거역함이.
업스미오 어위츠며 주038)
어위츠며:
도량이 넓고 크며. 크고 훌륭하며.
너브매 두믄 며 주039)
며:
꺼리며. 시새우며.
믜이미 주040)
믜이미:
믜-[憎]+-이-(피동 접미사)+-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미움 받음이.
업스미오 어

여훈언해 하:24ㄱ

딜며 에엿 녀기기예 두터이 호믄 殘잔샹 주041)
잔(殘)샹:
해침. 잔상(殘傷).
며 害해호미 업스미오 禮녜졀을 자브며 덛덛 거슬 자브믄 주042)
덛덛 거슬 자브믄:
떳떳한 것을 잡음은. 이 구절을 한문 원문에서는 ‘秉彛(병이)’라 하고 있는데, ‘병이’는 타고난 천성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방죵 주043)
방죵: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함. 방종(放縱).
며 너므미 업스미오 몬졋 사 주044)
몬졋사:
솔선(率先)하는 사람.
의 친 이 공경야 조 주045)
조:
좇음. 따르는 것.
은 그르며 어긔오미 주046)
어긔오미:
어긔-[違]+-오-(삽입모음)+-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어김이.
업게 홈이라 그러나 婦부人인이 을 졍히 며 어딘 일을 싸믄 주047)
싸믄:
쌓-[積]+-(명사형 어미)+-은(보조사). 쌓음은.
셩의 분 주048)
셩의 분:
‘셩(性)’은 사람이나 사물의 본바탕을 말하고, ‘분(分)’은 알맞은 마땅한 몫을 가리킨다. 따라서 ‘셩의 분[性分]’은 사물이나 현상이 갖고 있는 고유의 특성을 뜻하는 말이다.
앧 진실로 인 거시며 사의 졍앧 덛덛 일 주049)
덛덛 일:
떳떳한 일. 한문 원문에는 ‘常事’로 되어 있으므로 ‘예삿일’로 풀이함이 옳을 듯하다.
이라 쟈랑기 디 아니며 너무 기리기 주050)
기리기:
칭찬하기를.
디 아니야 일홈으로 어딘 녀편 주051)
녀편:
아내.
이라 일고 德덕으로 후

여훈언해 하:24ㄴ

엗 사의 법이 될디니 믈읫 婦부人인이 식 여시매  엇디 가히 일로 법을 삼디 아니리오
Ⓒ 번역 | 최세진 / 1532년(중종 27)

제9. 자식(아기) 임신하기
옛날에 결혼한 여자가 자식을 배면 잠잘 때 그 몸을 한쪽으로 기울게 해서 자지 말며, 앉을 때는 그 몸을 비스듬히 해서 앉지 말며, 서 있을 때는 그 발을 치우쳐 디디지 말며, 다닐 때는 반드시 그 용모를 단정히 하며, 잘못 삶은 것은 먹지 말며, 이상하고 나쁜 맛이 나는 것도 먹지 말며, 칼로 썬 것이 똑바르지 아니한 것도 먹지 말며, 돗자리가 똑바르지 아니하거든 앉지 말며, 눈으로 요사(妖邪)한 빛을 보지 말며, 귀로 음탕한 소리를 듣지 말며, 입으로 교만하고 건방진 말을 하지 말며. 마음에 쓸데없는 걱정을 쌓아 두지 말고, 밤이면 눈을 감고 『시경(詩經)』에 있는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의 시를 외우며, 앉아 있을 때는 단정하고 엄정히 하여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일을 얘기해야 할 것이다. 이같이 하면 마음이 깨끗한(밝은) 거울에 티끌이 없는 것과 같으며, 마음이 맑은 달에 가린 것이 없는 것과 같다고 할 것이다. 천지자연의 이치는 온전하여【혼연(渾然)은 온전하다는 말이다.】 맑고 밝은 것이 몸에 있어서 낳은 자식의 모습이 단정하여 재주와 용모가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니, 그러므로 결혼한 여자가 자식을 배어 있으면 한갓 그 몸을 바르게 할 뿐만 아니라 또한 반드시 어진 것만을 생각게 하는 것으로 그 몸을 잘 지켜 뱃속의 자식을 도와야 할 것이다. 부드러우며 온화하며 어질며 온순하며 정숙하며 편안하고 조용하며 공경하고 화목하며 평안함을 즐기는 것은 어기거나 거역함이 없는 것이고, 도량이 크고 넓은 것은 꺼리고 미움 받을 일이 없는 것이고, 어질고 자비롭게 여기기를 두터이 하는 것은 모질게 굴거나 해침이 없는 것이고, 예절을 지키고 타고난 천성을 지키는 것은 방종하거나 지나침이 없는 것이고, 솔선하는 사람이 가르친 일을 공경하여 따르는 것은 잘못과 어김이 없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어미가 마음을 올바로 가지며 어진 일을 쌓는 것은 사람의 고유한 특성에 진실로 있는 것이며, 사람의 마음에 있는 예삿일이어서 자랑하기를 하지 않으며 너무 칭찬하기를 하지 않고 이름으로는 어진 부인(婦人)이라 일컫고, 덕으로는 후대 사람의 본보기가 될 것이니, 무릇 지어미가 자식을 임신하였으므로 또 어찌 가히 이것으로 법을 삼지 않겠는가?
Ⓒ 역자 | 김문웅 / 2014년 10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자맨:자-[寢]+-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ㄴ(보조사). 잠을 잠에는.
주002)
기우로:기울-[傾]+-오(부사 접미사). 기울게.
주003)
안맨:앉-[坐]+-(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ㄴ(보조사). 앉음에는. 이 책(하 : 23ㄱ-6행)에는 ‘안앤’으로 나타난다.
주004)
일편도이:일편(一偏)되게. 한쪽으로 치우치게.
주005)
셔맨:셔-[立]+-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ㄴ(보조사). 서 있음에는.
주006)
츼드디:츼-[偏]+드-[沓]+-디(보조적 연결어미). 치우쳐 디디지.
주007)
니맨:다님에는. 현대어의 ‘다니다’는 ‘니다〉니다〉니다〉다니다’의 변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말이다.
주008)
얼골:모습. 형체.
주009)
그:그릇되이. 잘못.
주010)
:-[烹]+-(관형사형 어미). 삶은. 연철 표기 ‘’과 분철 표기 ‘’의 절충적 표기인 ‘’과 같은 표기는 연철에서 분철로 바뀌는 과정에서 과도기적으로 한 때 쓰였다. 이른바 중철(重綴) 표기라는 것이다.
주011)
사(邪)특:샤특. 요사스럽고 간특한.
주012)
싸미:싸-[割]+-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칼로 썬 것이.
주013)
돗기:[席]+-이(주격 조사). 돗자리가.
주014)
안:앉-[坐]+-디(보조적 연결어미). 앉지.
주015)
비:빛을.
주016)
소:소리[音].
주017)
교오(傲):교만하고 건방짐. 교오(驕傲).
주018)
잡념녀:잡념(雜念). 잡염려(雜念慮). 쓸데없는 걱정.
주019)
쥬남 쇼남:주남(周南) 소남(召南). 이는 『시경(詩經)』 국풍의 첫 번째 두 번째 편명(篇名)으로서, 주남(周南)은 주공이 남쪽에서 모은 노래이고, 소남(召南)은 소공이 남쪽에서 모은 노래이다.
주020)
외오며:외우며.
주021)
인의예지(仁義禮智):인의녜디.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성품, 즉 어질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 지혜로움을 말함.
주022)
근:-[明]+-은(관형사형 어미). 밝은.
주023)
드틀:티끌.
주024)
근:-[淸]+-은(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025)
천리(天理):텬리. 천지 자연의 이치.
주026)
혼연(渾然):다른 것이 조금도 섞이지 아니한 모양. 모나지도 아니하고 결점도 없는 원만한 모양.
주027)
오오단:오올-[全]+-다(평서법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온전하다는. 어간 말음 ㄹ이 ㄷ 앞에서 탈락하였다.
주028)
나:낳은[生].
주029)
죄며:조[才]+-ㅣ며(접속 조사). 재주와.
주030)
여시매:-[孕]+-어(연결어미)+시-(‘이시-’의 어간)+-매(종속적 연결어미). 임신하였으면.
주031)
갇:한갓. 오직. 다만.
주032)
려:리-[擁]+-어(연결어미). 꾸리어. 옹위(擁衛)하여. 지켜. 동사 ‘리-’는 ‘리-’의 오각이다. ¶擁 릴 씨라(능엄경 언해 5:55ㄱ).
주033)
도을디니:도울 것이니.
주034)
정(貞)며:뎡며. 정숙(貞淑)하며.
주035)
정(靜)며:졍며. 편안하며.
주036)
낙(樂)호믄:낙-[樂]+-오-(삽입모음)+-ㅁ(명사형 어미)+-은(보조사). 즐기는 것은.
주037)
거슬ㅣ이:‘거슬이’의 오각으로 보인다. 거슬-[逆]+-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거스름이. 거역함이.
주038)
어위츠며:도량이 넓고 크며. 크고 훌륭하며.
주039)
며:꺼리며. 시새우며.
주040)
믜이미:믜-[憎]+-이-(피동 접미사)+-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미움 받음이.
주041)
잔(殘)샹:해침. 잔상(殘傷).
주042)
덛덛 거슬 자브믄:떳떳한 것을 잡음은. 이 구절을 한문 원문에서는 ‘秉彛(병이)’라 하고 있는데, ‘병이’는 타고난 천성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주043)
방죵: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함. 방종(放縱).
주044)
몬졋사:솔선(率先)하는 사람.
주045)
조:좇음. 따르는 것.
주046)
어긔오미:어긔-[違]+-오-(삽입모음)+-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어김이.
주047)
싸믄:쌓-[積]+-(명사형 어미)+-은(보조사). 쌓음은.
주048)
셩의 분:‘셩(性)’은 사람이나 사물의 본바탕을 말하고, ‘분(分)’은 알맞은 마땅한 몫을 가리킨다. 따라서 ‘셩의 분[性分]’은 사물이나 현상이 갖고 있는 고유의 특성을 뜻하는 말이다.
주049)
덛덛 일:떳떳한 일. 한문 원문에는 ‘常事’로 되어 있으므로 ‘예삿일’로 풀이함이 옳을 듯하다.
주050)
기리기:칭찬하기를.
주051)
녀편:아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