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여사서언해

  • 역주 여사서언해
  • 여사서 제3권 – 내훈(內訓)
  • 제11 경현범장(景賢範章)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1 경현범장(景賢範章)


景경賢현範범章쟝 第뎨十십一일
詩시書셔所소載賢현妃비貞뎡女녀ㅣ 德덕懿의行備비야 師表표後후世셰니 皆可가法법也야ㅣ니라 夫부女녀無무姆무敎교면 則즉婉완娩만을 何從죵이며 不블親친書셔史면 則즉徃왕行을 奚考고ㅣ리오 稽계徃왕行며 質질前젼言언야 模모而이則측之지則즉德덕行이

여사서 3:47ㄴ

成셩焉언이니라 夫부明명 鏡경은 可가以이鑑감姸연媸티며 權권衡형은 可가以이擬의輕경重듕며 尺텩度도는 可가以이測측長댱短단며 徃왕轍텰은 可가以이軌궤新신跡젹이니 希희聖셩者쟈 昌챵고 踵둉弊폐者쟈 亡망니라 是시故고로 修슈恭공儉검인대 莫막盛셩於어皇황英영고 求구誠셩莊장인대 莫막隆늉於어太태任임고 孝효敬경은 莫막純슌於어太태姒니 儀의式식刑형之지야 齊졔之지則즉聖셩이오 下하

여사서 3:48ㄱ

之지則즉賢현이오 否부ㅣ라도 亦역不블失실於어從죵善션이니라 夫부珠쥬玉옥이 非비寶보ㅣ라 淑슉聖셩이 주001)
숙성(淑聖)이:
아름다운 덕행이.
爲위寶보ㅣ며 令녕德덕이 不블虧휴면 室실家가ㅣ 是시宜의니 詩시애 曰왈 高고山산仰앙止지며 景경行行止지라니 其기謂위是시與여뎌 【◯ 軌궤 뎌 자최 와 주002)
와:
밟아.
단 말이라 皇황英영은 堯요의 女녀ㅣ오 舜슌의 妻쳐ㅣ오 太태任임은 文문王왕의 母모ㅣ오 太태姒 文문王왕의 妃비라】
Ⓒ 편찬 | 이덕수 / 1737년(영조 13)

詩시書셔애 실닌 바 賢현妃비와 貞뎡女녀ㅣ 德덕이 아답고 실이 자 주003)
자:
갖추어. ‘[備]-+-아’의 구성.
後후

여사서 3:48ㄴ

世셰애 師表표니 다 可가히 법바담 니라 주004)
법바담니라:
본받음직하다.
女녀ㅣ 姆무敎교 주005)
무교(姆敎):
여스승의 가르침. 여스승이란 보모(保姆)로서, 그의 가르침이 왕세자에게는 매우 중요하다는 말이다.
ㅣ 업스면 곧 婉완娩만 주006)
완만(婉娩):
아름다움을 낳음을. 『예기』 「내칙」에, “여자 나이 열 살이 되면 외출을 시키지 않고 스승의 온화한 말씨와 얌전한 태도를 가르친다.[女子十年不出, 姆婉娩聽從]”에 나오는 말로서 스승이 없다면 부드럽고 얌전한 태도를 가르칠 수 없다는 말임.
홈을 얻디 졷며 書셔史 親친히 아니면 곧 徃왕行 주007)
왕행(徃行):
과거의 행적.
을 얻디 샹고리오 간 실을 주008)
간 실을:
지나간 행실을.
샹고며 前젼 말을 질졍야 模모야 주009)
모(模)야:
본받아.
법 바드면 德덕行이 일올 니라 明명鏡경은 주010)
명경(明鏡)은:
맑은 거울은.
可가히 아다오며 더러온 거 비최며 權권衡형은 주011)
권형(權衡)은:
저울추와 저울대. 사물의 가볍고 무거움을 고르게 함은.
可가히 가뵈야오며 무거옴을 주012)
무거옴을:
‘무겁[重]-+-오(삽입모음)-+-ㅁ(명사형)-+-을(목적격조사)’의 구성. 무거움을.
비기며 주013)
비기며:
비교하며. ¶이 根과 塵과 識괘 가비건댄 뭇군  서르 브터 비기야〈능언 5:8ㄱ〉. 燕燕詩 엇디 能히 비기리오〈어내훈 62ㄴ〉.
尺쳑度도 주014)
척도(尺度):
자.
 可가히 길며 댜 주015)
댜:
짧은. ‘댜라[短]-+-’의 구성.

여사서 3:49ㄱ

 혜아리며 徃왕徹텰 주016)
왕철(徃徹):
과거의 행적. 왕행(徃行)과 같은 말.
은 可가히 새 자최예 주017)
자최예:
자취에. ‘자최-+예(처격)’의 구성. ‘자최〉자최’의 변화는 18세기 초에 앞 음절 모음이 ‘ㅏ, ㅗ, ㆍ’와 이들 모음을 핵모음으로 하는 j하향 이중모음일 때에, 그 뒤 음절 ‘ㅗ’를 ‘ㅜ’로 변동시키는 규칙을 반영한 결과이다.
법되게 홀디니 聖셩을 라 者쟈 昌턍고 주018)
창(昌)고:
창성하고.
弊폐  者쟈 亡망니라 이런 故고로 恭공儉검을 주019)
공검(恭儉)을:
공손함과 겸손함을.
닷그려 딘대 皇황英영 주020)
황영(皇英):
요임금의 두 딸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말함. 이 두 딸은 빈천한 순(舜)에게 시집을 가서 그 가족들에게 공경을 하였는데 검소하고 부지런히 내조하여 순(舜)이 임금에 오를 수 있게 하였다는 고사. 『열녀전』 「모의·유우이비」에 상세하게 실려 있다.
에셔 盛셩니 업고 誠셩莊장 求구딘대 太태任임에셔 놉흐니 업고 孝효敬경은 太태姒 주021)
태사(太姒):
문왕의 비이자 무왕의 어머니. 「적선」장과 「숭성훈」장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
에셔 슌일 이 업니 儀의며 式식며 刑형야 면 주022)
면:
가지런[齊]하면.
聖셩이오 리면 賢현이오 몯야도  善션을 從죵기에

여사서 3:49ㄴ

일티 아닐 디니라 珠듀玉옥이 주023)
주옥(珠玉)이:
구슬이나 옥이.
보 아니라 淑슉聖셩홈이 보 되니 어딘 德덕이 虧휴티 주024)
휴(虧)티:
부족함.
아니면 室실家가 주025)
실가(室家):
집안.
ㅣ 이에 맏당 주026)
맏당:
마땅할. 당당할.
니 詩시애  高고山산을 仰앙며 주027)
고산(高山)을 앙(仰)며:
높은 산을 우르러 보며. 『시경』 「소아·거할」에서 인용한 대목이다. 모든 것이 법도대로 되어 간다는 것을 뜻한다. 주희의 『시전집』은 혼례를 축하하는 노래로 알려졌으나 『모시』 서에 유왕(幽王)을 풍자한 시로 해석하기도 한다. 무도한 포사(襃姒) 대신 훌륭한 여성을 새로운 비로 맞이했더라면 나라가 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景경行 주028)
경행(景行):
큰 길.
을 行다 니 그 이 니인뎌 주029)
니인뎌:
이르는 것이다. 말함이다.
Ⓒ 언해 | 이덕수 / 1737년(영조 13)

제11장. 현인의 법도를 따름[景賢範章]
『시경』과 『서경』에 실린 바, 현명한 왕비와 정숙한 여자는 덕행이 아름답고 행실이 갖추어 있어 후세에 사표가 되니 다 가히 본받을 만하다. 여자가 모교
(姆敎, 보모의 가르침)
가 없으면 즉 태도가 예쁘고 부드러움
(=수더분함)
을 어찌 쫒으며, 경서와 사서를 가까이 하지 않으면 곧 지난 행적을 어찌 상고하리오? 지난 행적을 상고하며 앞 사람의 말씀을 질정하여 모범으로 본받으면 덕행이 이루어질 것이다. 밝은 거울은 가히 아름다움과 더러운 것을 비추며 저울은 가히 가벼우며 무거움을 헤아릴 수 있으며, 자는 가히 길며 짧은 것을 헤아리며, 지난 자취는 가히 새로운 자취에 법도가 되게 할 것이다. 거룩함을 바라는 사람은 창성하고, 퇴폐한 것을 밟는 사람은 망하게 될 것이다. 이런 때문에 공손하고 검소함을 닦으려 할 것 같으면 아황과 여영[皇英]보다 훌륭한 이가 없고, 성실하고 장엄함을 구할 것 같으면 태임(太任)보다 높은 이가 없고, 효성스럽고 공경스러움은 태사(太姒)보다 순일
(=순수하고 전임함)
한 이가 없으니, 이 같은 예의와 법식을 본받으며 이와 같이 가지런하면 성스러움이요, 아래로 끼치면 어짊이다. 이보다 좀 못하여도 또한 어짊을 따르는 것을 잃지 아니할 것이다. 구슬이나 옥이 보배가 아니라도 깨끗하고 성스러운 것이 보배가 되니 어진 덕행이 이지러지지 않으면 한 가정이 곧 마땅하게 될 것이다. 『시경』에 말하기를, “높은 산을 우러러보고 큰 길을 다녀라.” 하였으니, 그 뜻은 곧 이를 말함이다. 【◯ 궤(軌)는 저 자취를 밟아 행한다는 말이다. 황영
(皇英, 아황과 여영)
요(堯)임금의 딸이고, 순(舜)임금의 처(妻)고, 태임(太任)문왕(文王)의 어머니고, 태사(太姒)문왕의 비(妃)다.】
Ⓒ 역자 | 이상규 / 2014년 1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숙성(淑聖)이:아름다운 덕행이.
주002)
와:밟아.
주003)
자:갖추어. ‘[備]-+-아’의 구성.
주004)
법바담니라:본받음직하다.
주005)
무교(姆敎):여스승의 가르침. 여스승이란 보모(保姆)로서, 그의 가르침이 왕세자에게는 매우 중요하다는 말이다.
주006)
완만(婉娩):아름다움을 낳음을. 『예기』 「내칙」에, “여자 나이 열 살이 되면 외출을 시키지 않고 스승의 온화한 말씨와 얌전한 태도를 가르친다.[女子十年不出, 姆婉娩聽從]”에 나오는 말로서 스승이 없다면 부드럽고 얌전한 태도를 가르칠 수 없다는 말임.
주007)
왕행(徃行):과거의 행적.
주008)
간 실을:지나간 행실을.
주009)
모(模)야:본받아.
주010)
명경(明鏡)은:맑은 거울은.
주011)
권형(權衡)은:저울추와 저울대. 사물의 가볍고 무거움을 고르게 함은.
주012)
무거옴을:‘무겁[重]-+-오(삽입모음)-+-ㅁ(명사형)-+-을(목적격조사)’의 구성. 무거움을.
주013)
비기며:비교하며. ¶이 根과 塵과 識괘 가비건댄 뭇군  서르 브터 비기야〈능언 5:8ㄱ〉. 燕燕詩 엇디 能히 비기리오〈어내훈 62ㄴ〉.
주014)
척도(尺度):자.
주015)
댜:짧은. ‘댜라[短]-+-’의 구성.
주016)
왕철(徃徹):과거의 행적. 왕행(徃行)과 같은 말.
주017)
자최예:자취에. ‘자최-+예(처격)’의 구성. ‘자최〉자최’의 변화는 18세기 초에 앞 음절 모음이 ‘ㅏ, ㅗ, ㆍ’와 이들 모음을 핵모음으로 하는 j하향 이중모음일 때에, 그 뒤 음절 ‘ㅗ’를 ‘ㅜ’로 변동시키는 규칙을 반영한 결과이다.
주018)
창(昌)고:창성하고.
주019)
공검(恭儉)을:공손함과 겸손함을.
주020)
황영(皇英):요임금의 두 딸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말함. 이 두 딸은 빈천한 순(舜)에게 시집을 가서 그 가족들에게 공경을 하였는데 검소하고 부지런히 내조하여 순(舜)이 임금에 오를 수 있게 하였다는 고사. 『열녀전』 「모의·유우이비」에 상세하게 실려 있다.
주021)
태사(太姒):문왕의 비이자 무왕의 어머니. 「적선」장과 「숭성훈」장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
주022)
면:가지런[齊]하면.
주023)
주옥(珠玉)이:구슬이나 옥이.
주024)
휴(虧)티:부족함.
주025)
실가(室家):집안.
주026)
맏당:마땅할. 당당할.
주027)
고산(高山)을 앙(仰)며:높은 산을 우르러 보며. 『시경』 「소아·거할」에서 인용한 대목이다. 모든 것이 법도대로 되어 간다는 것을 뜻한다. 주희의 『시전집』은 혼례를 축하하는 노래로 알려졌으나 『모시』 서에 유왕(幽王)을 풍자한 시로 해석하기도 한다. 무도한 포사(襃姒) 대신 훌륭한 여성을 새로운 비로 맞이했더라면 나라가 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주028)
경행(景行):큰 길.
주029)
니인뎌:이르는 것이다. 말함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