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여사서언해

  • 역주 여사서언해
  • 여사서 제3권 – 내훈(內訓)
  • 제10 숭성훈장(崇聖訓章)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0 숭성훈장(崇聖訓章)


崇슝聖셩訓훈章쟝 第뎨十십
自古고로 國국家가ㅣ 肇됴基긔애 皆有유內助조之지德덕야 垂슈範범後후世셰니 夏하商샹之지初초애 塗도山산有유莘신이 皆明명敎교訓훈之지功공고 成셩周쥬之지興흥애 文문王왕后후妃비克극廣광關관雎져之지化화니라 我아太태祖조高고皇황帝뎨受슈命명而이興

여사서 3:43ㄴ

흥이어신을 孝효慈高고皇황后후ㅣ 內助조之지功공이 至디隆늉至지盛셩시니 蓋개以이明명聖셩之지資로 秉병貞뎡仁인之지德덕시며 博박古고今금之지務무샤 艱간難난之지初초애 則즉同동勤근開創창시고 平평治티之지除졔에 則즉弘홍基긔風풍化화샤 表표壼곤範범於어六뉵宮궁시며 著뎌母모儀의於어天텬下하시니 驗험之지徃왕哲텰애 莫막之지與여亰경일 譬비之지日일月월면 天텬下하

여사서 3:44ㄱ

ㅣ 仰앙其기高고明명고 譬비之지滄창海면 江강河ㅣ 趍추其기浩호溥보니라 然연이나 史傳뎐所소載 什습裁一일二이而이微미言언奧오義의ㅣ 若약南남金금焉언야 銖슈兩냥이라도 可가寶보也야며 若약穀곡粟속焉언야 一일日일이라도 不블可가無무也야ㅣ라 貫관徹텰上샹下하며 包포括괄鉅거細셰니 誠셩道도德덕之지至디要요며 而이福복慶경之지大대本본也야ㅣ라 后후妃비遵준之지則즉可가以

여사서 3:44ㄴ

이配至디尊존야 奉봉宗종廟묘며 化화天텬下하야 衍연慶경源원이오 諸뎨侯후大태夫우之지夫부人인와 與여士庶셔人인之지妻쳬ㅣ 遵준之지則즉可가以이內佐좌君군子야 長댱保보富부貴귀며 利니安안家가室실야 而이垂슈慶경後후人인矣의리라 詩시애 曰왈 주001)
시(詩)애 왈(曰):
『시경』에 말하기를. 『시경』 「대아·사제」에 나오는 말.
太태姒ㅣ嗣徽휘音음시니 주002)
휘음(徽音)시니:
아름다운 영예를 이어시니.
則즉百백斯男남이라 니 敬경之지哉어다 【◯ 塗도山산氏시 夏禹우의 妃비오 有유莘신氏시 殷은湯탕의 妃비라 亰경은 配匹필이란

여사서 3:45ㄱ

말이오 太태姒 文문王왕의 妃비니 닐온 그 싀어마님 太태任임의 알음다온 德덕을 니으시니 百男남의 慶경이 잇단 말이라】
Ⓒ 편찬 | 이덕수 / 1737년(영조 13)

녜로븓터 國국家가ㅣ 터흘 비로매 주003)
국가(國家)ㅣ 터흘 비로매:
나라가 터를 세움에. 국가의 기초를 닦음에.
주004)
비로매:
비롯함에. 닦음에. 세움에. ‘비롯[始, 俶]-+-(삽입모음)-+-ㅁ(명사형)-+-에(부사격조사)’의 구성. ¶山河 大地 모 有爲相이 次第로 올마 흘로 이 虛妄 因야 고  비니라〈능언 4:32ㄴ〉. 義理예 禮法 릴 주리 업스니 恩愛호미 남진과 겨집괘 恭敬호모로 비릇니라〈두시(중) 11:25ㄱ〉.
內助조의 德덕이 주005)
내조(內助)의 덕(德)이:
아내의 덕이. 아내란 곧 주나라 왕실의 여인들을 가리키며, 특히 태사, 태강, 태임 등을 가리킨다. 『열녀전』 「모의·주실삼모」에 실려 있다.
이셔 법을 後후世셰애 드리오니 夏하와 商샹 처애 塗도山산 주006)
도산(塗山):
도산씨의 장녀로 하나라 우임금의 비이자 계(啓)의 어머니. 황하의 치수 공사에 바쁜 우임금을 대신하여 아들 계를 훌륭하게 키웠다고 한다. 『열녀전』 「모의·계모도산」에 상세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有유莘신 주007)
유신(有莘):
상나라 탕임금의 비(妃). 구빈을 통솔하며 후궁들의 질서를 잡아 질투와 시기를 없앴다고 한다. 탕왕의 공적 역시 이 유신의 내조에 힘입었음을 『열녀전』 「모의·주실삼모」에 실려 있다.
이 다 敎교訓훈의 功을 키고 成셩周쥬의 興흥제 文문王왕의 后후妃비 능히 關관雎져 주008)
관저(關雎):
『시경』 「주남」편 ‘관저’ 시를 말함. 관저는 ‘물수리의 울음소리’인 첫 구 ‘관관저구(關關雎鳩)’에서 따온 말인데, 『시경』의 첫째 시이기도 하다. 『내훈』의 저자는 ‘관저’ 시를 태사가 문왕을 내조한 공을 노래한 것으로 보았다.
의 化화 널피니라 주009)
녈피니라:
넓히었다. ‘넓히[廣]-+-니(연결어미)라’의 구성. ‘넙-’과 ‘너르-’의 혼태로 ‘넓-’이라는 어간이 생겨났다. ㅣ-모음역행동화로 ‘넓-〉녋-’의 변화.
우리 太태祖조高고皇황帝뎨 命명을 받와 니러나셔 孝효慈

여사서 3:45ㄴ

高고皇황后후ㅣ 內助조의 功공이 지극히 놉고 지극히 盛셩시니 대개 明명聖셩신 질노 貞뎡仁인 德덕을 잡으시며 古고今금의 務무 널리 알샤 艱간難난 처애 곧 가지로 開創창을 부즈런히 시고 平평治티 즈음애 너비 風풍化화 터 자브샤 주010)
너비 풍화(風化) 터 자브샤:
널리 풍화의 터를 잡으시어.
주011)
자브샤:
잡으시어. ‘잡[執]-+으-+-샤(오+시+아)’의 구성.
壼곤範범을 주012)
곤범(壼範)을:
여성들의 모범.
六뉵宮궁애 表표시며 母모儀의 주013)
모의(母儀):
어머니로서 지녀야 할 도리를.
天텬下하애 낫타내시니 徃왕哲텰애 주014)
왕철(徃哲)애:
옛날 현철하고 뛰어난 황후를 말함.
驗험애 더부러 필리 주015)
필리:
배필로 할 사람이. ‘필-+-+-ㄹ(관형사형)#ㅣ(의존명사)-+-주격생략’의 구성.
업릴

여사서 3:46ㄱ

일月월애 譬비면
주016)
일월(日月)애 비(譬)며:
해와 달에 비유하면.
天텬下하ㅣ 그 高고明명홈을 우럴고 주017)
우럴고:
우러르고.
滄창海애 譬비면 江강河하ㅣ 그 浩호溥보홈애 주018)
호보(浩溥)홈애:
보다 더 넓은 곳에.
趍추니라 주019)
추(趍)니라:
달린다.
그러나 史傳뎐애 실닌 바 열헤 주020)
열헤:
열 가운데.
계요 주021)
계요:
겨우. 부사 ‘겨우’는 15세기에는 보이지 않고 16세기에 들면, ‘계우, 계오, 겨오’의 형태가 나타난다. ‘계오〉계요’는 ㅣ 모음 순행동화의 결과이다.
나 둘히로 微미 말과 깁흔 義의南남金금 여 주022)
남금(南金) 여:
남금(南金) 같아서. ‘남금’은 형주(荊州)와 양주(楊州) 지방에서 생산되는 황금. 아주 귀중한 물건을 뜻함. 『시경』 「노송·반수」에서도 천하에 가장 귀한 것 중에 하나로 소개하고 있다.
銖슈兩냥이라도 주023)
수량(銖兩)이라도:
적은 양이더라도. “슈냥(銖兩)이라도 가보야(可寶也)며”는 얼마 안 되는 양이라도 가히 보배가 되며. ‘수량(銖兩)’은 무게 단위. 아주 적은 양을 비유한 말이다.
可가히 보로오며 穀곡粟속 여 주024)
곡속(穀粟) 여:
곡식 같아서.
一일日일이라도 可가히 업디 몯디라 上샹下하애 貫관徹텰며 주025)
관철(貫徹)며:
자신의 주장이나 방침을 밀고 나가 목적을 이루며.
鉅거細셰 주026)
거세(鉅細):
거칠거나 세밀한 것을.
包포括괄니 진실로 道도德덕의 지극

여사서 3:46ㄴ

종요며 福복慶경의 큰 근본이라 后후妃비 遵준면 可가히 至지尊존을 配야 宗종廟묘 받들며 天텬下하 化화야 慶경源원을 널닐 주027)
널닐:
늘릴. ‘으/어’의 표기 혼란.
거시오 諸뎨侯후와 大태夫우의 夫부人인와 다 士庶셔人인의 妻쳐ㅣ 遵준면 可가히 안흐로 君군子 도와 기리 富부貴귀 보젼며 家가室실을 利니安안케 야 경화을 훋사의게 드리오리라 詩시애  太태姒ㅣ 徽휘音음을 주028)
태사(太姒)ㅣ 휘음(徽音)을:
태사의 아름다운 언행에 대한 소문을.
니

여사서 3:47ㄱ

시니 곧 百인이 男남이라 니 주029)
백(百)인이 남(男)이라 니:
백 명의 남자라고 하니. 곧 백 명의 아들을 낳았음을 말한다.
공경디어다 공경디어다
Ⓒ 언해 | 이덕수 / 1737년(영조 13)

제10장. 성인의 가르침을 숭상함[崇聖訓章]
예로부터 국가가 터를 시작함에 다 내조의 덕이 있어서 법을 후세에 드리웠다. 하나라와 상나라가 처음에 도산왕후와 유신왕후가 다 교훈의 공을 밝히고, 주나라가 일어날 때 문왕의 후비가 능히 관저(關雎)의 교화를 넓혔기 때문이다. 우리 태조고황제가 하늘의 명을 받아 일어나자 효자고황후의 내조의 공이 지극히 높고 지극히 성대하시니, 대개 밝고 현명하신 자질로서 정숙하고 인자하신 덕을 다잡았으며, 옛날과 지금의 할 일을 널리 알고서는 괴로움과 어려운 처음(개국 초창기)에 곧 한가지로 나라를 열고 창조하는 데 부지런히 하시고 평화롭게 다스릴 즈음에 널리 미풍과 교화를 터잡아서 나라의 규범을 육궁(궁궐 안)에 표하시고, 어머니의 용의(모범)를 천하에 나타냈으니, 지난 현철함에 징험할 때 더불어 짝지을 사람이 없었으므로, 해와 달에 비유하면 천하가 그 높고 밝음을 우러러보고 이를 넓은 바다에 비유하면 강물과 하천이 그 넓게 달려가는 것 같은 것이다. 그러나 역사와 전기에 실린 바는 열 가지에서 한 두 가지로되 미묘한 말씀과 심오한 뜻이 남금(南金) 같아서 적은 중량이라도 가히 보배로우며 곡식과 같아서 하루라도 가히 없어서는 안 된다. 위 아래에 꿰어들고 크고 작은 것들을 다 휩쓸어 묶으니 진실로 도덕의 지극한 마루이며 복됨과 경사로움의 큰 근본이다. 후비가 이를 잘 준수하면 가히 지존(지존의 군주)을 배필로 하여 종묘를 받들며 천하를 교화하여 경사스러운 근원을 넓힐 것이다. 제후와 태우의 부인과 모든 으뜸 선비와 서민의 아내가 이를 잘 지키면 가히 안으로 남편을 도와서 오래 부귀를 보전하며 가정을 이롭고 편안하게 하여 경사스러움을 뒷사람에게 드리우게 할 것이다. 『시경』에 말하기를, “태사가 좋은 말을 이었으니 곧 백인의 남자(백명의 아들) 주030)
백명의 아들[百男]:
자식이 많음을 뜻함. 문왕의 어머니를 흠모하는 내용의 시인데, 주나라 사회에서 남편의 자식을 많이 확보하는 것을 여성의 미덕으로 삼았다. 곧 일부다처 제도를 용인한 사회 관습을 반영하고 있다.
를 두셨더라.” 하니, 공경할 것이로다, 공경할 것이로다. 【◯ 도산씨(塗山氏)는 하나라 우임금의 비(妃)이고, 유신씨(有莘氏)는 은나라 탕임금의 비이다. 경(京)은 배필(配匹)이라는 말이고, 태사(太姒)는 문왕(文王)의 비이니, 이른바 그 시어머님 태임(太任)의 아름다운 덕을 이으시니 백 명 남자(백 명의 아들을 낳음)의 경사가 있다는 말이다.】
Ⓒ 역자 | 이상규 / 2014년 1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9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詩)애 왈(曰):『시경』에 말하기를. 『시경』 「대아·사제」에 나오는 말.
주002)
휘음(徽音)시니:아름다운 영예를 이어시니.
주003)
국가(國家)ㅣ 터흘 비로매:나라가 터를 세움에. 국가의 기초를 닦음에.
주004)
비로매:비롯함에. 닦음에. 세움에. ‘비롯[始, 俶]-+-(삽입모음)-+-ㅁ(명사형)-+-에(부사격조사)’의 구성. ¶山河 大地 모 有爲相이 次第로 올마 흘로 이 虛妄 因야 고  비니라〈능언 4:32ㄴ〉. 義理예 禮法 릴 주리 업스니 恩愛호미 남진과 겨집괘 恭敬호모로 비릇니라〈두시(중) 11:25ㄱ〉.
주005)
내조(內助)의 덕(德)이:아내의 덕이. 아내란 곧 주나라 왕실의 여인들을 가리키며, 특히 태사, 태강, 태임 등을 가리킨다. 『열녀전』 「모의·주실삼모」에 실려 있다.
주006)
도산(塗山):도산씨의 장녀로 하나라 우임금의 비이자 계(啓)의 어머니. 황하의 치수 공사에 바쁜 우임금을 대신하여 아들 계를 훌륭하게 키웠다고 한다. 『열녀전』 「모의·계모도산」에 상세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주007)
유신(有莘):상나라 탕임금의 비(妃). 구빈을 통솔하며 후궁들의 질서를 잡아 질투와 시기를 없앴다고 한다. 탕왕의 공적 역시 이 유신의 내조에 힘입었음을 『열녀전』 「모의·주실삼모」에 실려 있다.
주008)
관저(關雎):『시경』 「주남」편 ‘관저’ 시를 말함. 관저는 ‘물수리의 울음소리’인 첫 구 ‘관관저구(關關雎鳩)’에서 따온 말인데, 『시경』의 첫째 시이기도 하다. 『내훈』의 저자는 ‘관저’ 시를 태사가 문왕을 내조한 공을 노래한 것으로 보았다.
주009)
녈피니라:넓히었다. ‘넓히[廣]-+-니(연결어미)라’의 구성. ‘넙-’과 ‘너르-’의 혼태로 ‘넓-’이라는 어간이 생겨났다. ㅣ-모음역행동화로 ‘넓-〉녋-’의 변화.
주010)
너비 풍화(風化) 터 자브샤:널리 풍화의 터를 잡으시어.
주011)
자브샤:잡으시어. ‘잡[執]-+으-+-샤(오+시+아)’의 구성.
주012)
곤범(壼範)을:여성들의 모범.
주013)
모의(母儀):어머니로서 지녀야 할 도리를.
주014)
왕철(徃哲)애:옛날 현철하고 뛰어난 황후를 말함.
주015)
필리:배필로 할 사람이. ‘필-+-+-ㄹ(관형사형)#ㅣ(의존명사)-+-주격생략’의 구성.
주016)
일월(日月)애 비(譬)며:해와 달에 비유하면.
주017)
우럴고:우러르고.
주018)
호보(浩溥)홈애:보다 더 넓은 곳에.
주019)
추(趍)니라:달린다.
주020)
열헤:열 가운데.
주021)
계요:겨우. 부사 ‘겨우’는 15세기에는 보이지 않고 16세기에 들면, ‘계우, 계오, 겨오’의 형태가 나타난다. ‘계오〉계요’는 ㅣ 모음 순행동화의 결과이다.
주022)
남금(南金) 여:남금(南金) 같아서. ‘남금’은 형주(荊州)와 양주(楊州) 지방에서 생산되는 황금. 아주 귀중한 물건을 뜻함. 『시경』 「노송·반수」에서도 천하에 가장 귀한 것 중에 하나로 소개하고 있다.
주023)
수량(銖兩)이라도:적은 양이더라도. “슈냥(銖兩)이라도 가보야(可寶也)며”는 얼마 안 되는 양이라도 가히 보배가 되며. ‘수량(銖兩)’은 무게 단위. 아주 적은 양을 비유한 말이다.
주024)
곡속(穀粟) 여:곡식 같아서.
주025)
관철(貫徹)며:자신의 주장이나 방침을 밀고 나가 목적을 이루며.
주026)
거세(鉅細):거칠거나 세밀한 것을.
주027)
널닐:늘릴. ‘으/어’의 표기 혼란.
주028)
태사(太姒)ㅣ 휘음(徽音)을:태사의 아름다운 언행에 대한 소문을.
주029)
백(百)인이 남(男)이라 니:백 명의 남자라고 하니. 곧 백 명의 아들을 낳았음을 말한다.
주030)
백명의 아들[百男]:자식이 많음을 뜻함. 문왕의 어머니를 흠모하는 내용의 시인데, 주나라 사회에서 남편의 자식을 많이 확보하는 것을 여성의 미덕으로 삼았다. 곧 일부다처 제도를 용인한 사회 관습을 반영하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