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여사서언해

  • 역주 여사서언해
  • 여사서 제3권 – 내훈(內訓)
  • 제9 천선장(遷善章)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9 천선장(遷善章)


遷텬善션章쟝 第뎨九구
人인非비上샹智디면 其기孰슉無무過과ㅣ리오 過과而이能능智디면 可가以이爲위明명이며 知디而이能능改면 可가以이跂기聖셩이니라 小쇼過과 不블改면 大대惡악이 形형焉언고 小쇼善션애 能능遷쳔이면 大대德덕이 成셩焉언니라 婦부人

여사서 3:40ㄴ

인之지過과 無무他타ㅣ라 惰타慢만也야와 嫉질妬투也야와 邪샤僻벽也야ㅣ니 惰타慢만則즉驕교야 孝효敬경이 衰쇠焉언고 嫉질妬투則즉刻야 菑害해興흥焉언고 邪샤僻벽則즉佚일야 節졀義의頹퇴焉언리니 是시數수者쟈 皆德덕之지弊폐而이身신之지殃앙이라 或혹有유一일焉언이어든 必필去거之지 如여蟊모螣특며 遠원之지 如여蜂봉蠆태니 주001)
봉태(蜂蠆)니:
벌이나 전갈이니. 원문 협주에서, 태(蠆)를 전갈류(全蝎類)라고 하였다.
蜂봉蠆태 不블遠원則즉螫셕身신고 주002)
석신(螫身)고:
몸에 기어들고.
蟊모螣특을不

여사서 3:41ㄱ

블遠원則즉傷샹稼가고 己긔過과 不블改則즉累누德덕이니라 若약夫부以이惡악小쇼而이爲위之지無무恤휼則즉必필敗패고 以이善션小쇼而이忽홀之지不블爲위則즉必필覆복이니 能능行小쇼善션면 大대善션의 攸유基긔며 戒계於어小쇼惡악면 終둉無무大대戾려리라 故고諺언애 有유之지니 曰왈屋옥漏누ㅣ어든 遷텬居거고 路노紆우ㅣ어든 改塗도ㅣ라며 傳뎐애 曰왈 人인孰슉無무過과ㅣ리오 過과而이能

여사서 3:41ㄴ

능改면 善션莫막大대焉언이라 니라 【◯ 蠆태 全젼蝎갈오 蟊모螣특은 곡셕 먹 버러지라】
Ⓒ 편찬 | 이덕수 / 1737년(영조 13)

사이 上샹智디 주003)
상지(上智):
성인. 보통의 사람보다 지혜가 뛰어난 사람. 『논어』 〈양화〉에서 공자는 “누구나 습관을 통해서 인성을 변화시킬 수 있지만 오직 타고난 지혜로운 자와 타고난 멍청한 자는 변할 수 없다[子曰 唯上知與下愚, 不移]”라고 하였다. ‘상지(上知)’는 ‘상지(上智)’와 같은 뜻.
아니면 그 뉘 허믈이 업스리오 허믈을 能능히 알면 可가히 금이 되며 알고 能능히 곧티면 可가히 聖셩을 跂기 주004)
성(聖)을 기(跂):
성자에 발돋움할.
니라 젹은 허믈을 곳티디 주005)
곳티지:
고치지. ‘고티-+-디(〉지)’의 구성. ‘ㅅ’-첨가와 구개음화.
아니면 큰惡악이 낟타나고 주006)
낟타나고:
나타나고. 과도분철표기.
젹근 어딘 거새 能능히 올므면 큰德덕이 이니라 믈읫 婦부人인의 허믈은 다이 업디라 惰타慢만과 주007)
타만(惰慢)과:
게으르고 나태함과. 게으름과.
嫉질妬투과 邪샤

여사서 3:42ㄱ

僻벽홈이니
주008)
사벽(邪僻)홈이니:
간사함이니.
惰타慢만면 驕교야 주009)
교(驕)야:
교만하여.
孝효敬경이 衰쇠고 嫉질妬투면 刻야 주010)
각(刻)야:
새겨.
葘害해 주011)
재해(葘害):
재앙이.
니러나고 邪샤僻벽면 佚일야 주012)
일(佚)야:
방탕하여.
節졀義의 문허디니 이 두어가지 다 德덕의 弊폐오 몸의 殃앙이라 或혹  가지 읻거든 반시 업시을 蟊모螣특 주013)
모특(蟊螣):
바구미. 원문 협주에서, ‘곡셕 먹 버러지’라고 하였다.
티 며 멀니 홈을 蜂봉蠆태 티 띠니 蜂봉蠆태 멀니 아니면 몸을 고 蟊모螣특을 멀니 아니면 곡식을 傷샹오고 몸 허믈을 곧티디 아니

여사서 3:42ㄴ

면 德덕을 더러이니라 주014)
더러이나니라:
더럽힌다.
만일 그 惡악이 젹기로 주015)
젹기로:
적은 것이라도.
기 恤휼티 아니 주016)
휼(恤)티 아니:
구휼하지 아니함이.
면 반시 敗패고 善션이 젹기로 忽홀야 디 아니면 반시 覆복 띠니 能능히 小쇼善션을 行면 大대善션의 터 배며 小쇼惡악을 경계면 내 大대戾려ㅣ 주017)
대려(大戾)ㅣ:
크게 어그러짐이.
업스리라 故고로 諺언애 이시니  집이 거든 올마 居거고 길히 굽거든 길 곧티라 며 傳뎐애  사이 뉘 허믈이 업리오 허믈을 能

여사서 3:43ㄱ

능히 곧티면 주018)
능히 곧티면:
능히 고치면.
어딜미 주019)
어딜미:
어짊이. ‘어딜-+-(오)-+-ㅁ(명사형)-+-이(주격조사)’의 구성.
이만 크니 주020)
이만 크니:
이만큼 큰 이가. 이보다 큰 것이.
업다 니라
Ⓒ 언해 | 이덕수 / 1737년(영조 13)

제9장. 착한 사람 되기[遷善章]
사람이 가장 뛰어난 지혜를 가진 사람(성인)이 아니면 그 누가 허물이 없으리오? 허물을 능히 알면 가히 밝은 사람이 되며 알고서 능히 고치면 가히 성스러운 지경의 경지에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작은 허물을 고치지 아니하면 큰 악행이 나타나고 작은 선행을 능히 옮기면 큰 덕행이 이루어질 것이다. 무릇 부인의 허물은 다름이 없는 것이라. 게으름과 질투와 사벽(간사함)함이니 게으르면 교만해져 효도하고 공경하는 마음이 쇠퇴하고, 질투하면 각박하여 재해가 일어나고, 사벽(간사)하면 방탕하여 절개와 의리를 무너뜨릴 것이다. 이 두어 가지는 다 덕행을 해치는 것이다. 몸에 재앙이다. 혹 한 가지라도 잘못이 있거든 반드시 없애기를 땅강아지나 박가시나방 벌레같이 하고, 이를 멀리함을 벌이나 전갈같이 할 것이다. 벌이나 전갈을 멀리하지 않으면 몸을 쏘고 땅강아지나 박각시나방 벌레를 멀리하지 않으면 곡식을 상하게 한다. 몸의 허물을 고치지 아니하면 덕을 더럽힐 것이다. 만일 그 악이 작다고 해서 근심하지 않으면 반드시 패망하고 선이 작다고 해서 소홀하여 행하지 아니하면 반드시 엎어질 것이다. 능히 작은 선행을 행하면 큰 선행의 터전이 되고 작은 악행을 경계하면 마침내 큰 잘못이 없어지리라. 그러므로 옛말에 있으니 이르기를, “집이 새거든 옮겨 살고, 길이 굽으면 길을 고치라.”고 하였으며, 전하는 말에 이르기를, “사람이 어느 누가 허물이 없으리오? 허물을 능히 고치면 어짊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 태(蠆)는 전갈(全蝎) 종류이고, 모특(蟊螣)은 곡식 먹는 벌레이다.】
Ⓒ 역자 | 이상규 / 2014년 1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봉태(蜂蠆)니:벌이나 전갈이니. 원문 협주에서, 태(蠆)를 전갈류(全蝎類)라고 하였다.
주002)
석신(螫身)고:몸에 기어들고.
주003)
상지(上智):성인. 보통의 사람보다 지혜가 뛰어난 사람. 『논어』 〈양화〉에서 공자는 “누구나 습관을 통해서 인성을 변화시킬 수 있지만 오직 타고난 지혜로운 자와 타고난 멍청한 자는 변할 수 없다[子曰 唯上知與下愚, 不移]”라고 하였다. ‘상지(上知)’는 ‘상지(上智)’와 같은 뜻.
주004)
성(聖)을 기(跂):성자에 발돋움할.
주005)
곳티지:고치지. ‘고티-+-디(〉지)’의 구성. ‘ㅅ’-첨가와 구개음화.
주006)
낟타나고:나타나고. 과도분철표기.
주007)
타만(惰慢)과:게으르고 나태함과. 게으름과.
주008)
사벽(邪僻)홈이니:간사함이니.
주009)
교(驕)야:교만하여.
주010)
각(刻)야:새겨.
주011)
재해(葘害):재앙이.
주012)
일(佚)야:방탕하여.
주013)
모특(蟊螣):바구미. 원문 협주에서, ‘곡셕 먹 버러지’라고 하였다.
주014)
더러이나니라:더럽힌다.
주015)
젹기로:적은 것이라도.
주016)
휼(恤)티 아니:구휼하지 아니함이.
주017)
대려(大戾)ㅣ:크게 어그러짐이.
주018)
능히 곧티면:능히 고치면.
주019)
어딜미:어짊이. ‘어딜-+-(오)-+-ㅁ(명사형)-+-이(주격조사)’의 구성.
주020)
이만 크니:이만큼 큰 이가. 이보다 큰 것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