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경민편

  • 역주 경민편
  • 제13 살인(殺人)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3 살인(殺人)


殺人第十三
人命至重 彼我無間 暴惡之人 或因貪財 或因讎怨 暮夜無人之中 潛行殺害 自以謂得計 上天 臨下孔昭 鬼神 在傍 早晩發露 必蒙殃孽

17ㄴ

 戕殺無罪之人 保全平生者 自古未有 謀殺人爲首者斬 下手者絞 因而得財者 不分首從皆斬 咀呪殺人者斬 同居人 雖不知情 流二千里 用毒藥殺人者斬 故用毒蟲蛇咬人致死者斬 朽橋毁船 深水泥濘 故欺人令過渡致死者絞
Ⓒ 필자 | 김정국 / 1519년(중종 14)

■구결 풀이■
: 라/이라
爲尼 : 하니
:
爲㫆 : 하며
爲也 : 하야
:
爲古 : 하고
爲飛尼 : 하나니
:
爲時古 : 하시고
爲尼羅 : 하니라
: 은/는
爲那 : 하나
:

사 이 주001)
이:
(命)+-이(주격 조사). 생명이. 목숨이.
지그기 주002)
지그기:
지극히. 15세기 문헌에는 ‘至極히’로 표기되어 있다.
디라 주003)
디라:
-[重]+-ㄴ디라(종속적 연결 어미). 소중한지라. 소중하므로.
뎌와 나왜 주004)
뎌와 나왜:
뎌[彼]+-와(접속 조사)+나[我]+-와(접속 조사)+-ㅣ(주격 조사). 남과 내가. 두 개 이상의 체언 항목을 나열할 때 사용되는 접속 조사 ‘-과/-와’를 중세 국어에서는 나열되는 맨 끝의 항목에도 붙인 다음 필요한 조사를 다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법 질서에 따라 ‘뎌와 나왜’에서도 끝 항목의 ‘나’ 다음에 ‘-와’를 달고서 주격 조사 ‘-ㅣ’를 연결하였다. 어찌 보면 마지막 항목의 접속 조사는 문법적으로 잉여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중세 국어에서도 이러한 질서는 유동적이서 끝 항목에 ‘-와/과’를 붙이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현대 국어에 와서는 접속 조사의 이런 용법이 물론 존재하지 않는다.
간겨기 주005)
간겨기:
간격(間隔)+-이(주격 조사). 간격이. 차이가.
업스니 포악 주006)
포악:
포악-[暴惡]+-ㄴ(관형사형 어미). 사납고 악한.
사미 혹 믈 주007)
믈(財物):
값나가는 물건이나 돈.
탐요 주008)
탐요:
탐-[貪]+-욤(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탐함을. 탐하기를. 가지거나 차지하고 싶어 욕심내기를.
인며 혹 원 주009)
원:
원슈(怨讐)+-ㅣ(주격 조사). 원수가.
되여 원을 인야 어드운 주010)
어드운:
어듭-[暗]+-은(관형사형 어미). 어두운.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어드’으로 나타난다.
밤 사 업슨 저긔 주011)
저긔:
적[時]+-의(목적격 조사). 적에. ~때에.
마니 주012)
마니:
가만히. 몰래.
주기

18ㄱ

주013)
제:
제 스스로.
너기되 주014)
너기되:
너기-[思]+-되(종속적 연결 어미). 여기되. 어미 ‘-되’가 15세기에는 삽입 모음이 수반된 ‘-오/우’로 쓰였으므로 ‘너기되’가 15세기에는 ‘너교’로 나타난다.
잘호라 주015)
잘호라:
잘-[能]+-오라(과거 시제 평서법 어미). 잘하였다.
니 하히 주016)
하히:
하ㅎ[天]+-이(주격 조사). 하늘이. ‘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아래 보시 심히 기 주017)
기:
-[明]+-이(부사 접미사). 밝히.
시고 귀시니 주018)
귀시니:
귀신(鬼神)+-이(주격 조사). 귀신이.
겨 주019)
겨:
곁[傍]+-(처격 조사). 곁에.
인디라 아모 제나 나타나 반시 앙어 주020)
어:
얼(殃孼)+(목적격 조사). 앙화(殃禍)를. 지은 죄의 앙갚음으로 받는 재앙을.
닙니 죄 업슨 사 주기고 평 주021)
(平生):
평생. 일생.
보젼 주022)
보젼:
보젼-[保全]+-ㄹ(관형사형 어미). 보호하여 유지할.
주023)
쟤:
쟈(者)+-ㅣ(주격 조사). 자(者)가. 사람이.
녜록 주024)
녜록:
녜[古]+-록(조격 조사). 예로. 조사 ‘-록’은 조격 조사 ‘-로’의 강세형이다.
브터 주025)
-브터:
-부터(보조사). ‘브터 〉부터’ (원순모음화).
잇디 아니니라 법에 야셔 주026)
야셔:
-[謀]+-야셔(종속적 연결 어미). 꾀하여서. 모의(謀議)하여서.
사 주기매 읏듬 주027)
읏듬:
으뜸.
으로  쟈 목 버히고 손 디 주028)
디:
딯-[搗]+-(관형사형 어미). 찧은. 손을 댄. 여기서는 손으로 친다는 뜻이다. 한문 원문에는 “손 디”을 ‘下手(하수)’로 나타내고 있는데 ‘하수’는 손을 대어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노 목 아 주기고 인여셔 므를 어든 노 읏드미며 조차 니 노 분간티 아니야 목 버히고 노을구러 주029)
노을구러:
노을굴-[咀呪]+-어(연결 어미). 저주하여. ‘노을구러’를 규장각본(1658)에는 “방졍야”(18ㄱ)로 번역하고 있는데, ‘방졍다’는 주술을 쓴다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남에게 재앙이나 불행이 일어나도록 빈다는 말이다.
사 주기 노란 목 버히고  주030)
:
한데. 함께.
사 사믄 비록  주031)
(情):
뜻.
을 아디 몯

18ㄴ

뉴 이쳔리 주032)
뉴이쳔리(流二千里):
유배(流配) 이천리.
 보내고 독 약을  사 주긴 노 목 버히고 부러 주033)
부러:
일부러. 고의(故意)로.
독 벌어지 주034)
벌어지:
벌레. 15세기에는 ‘벌에’가 쓰였으며 ‘벌어지’는 방언형으로 보인다.
여므로 주035)
여므로:
염[蛇]+-으로(조격 조사). 뱀으로.
주036)
:
써. ‘’[用]를 쓸 자리에 ‘’가 쓰였다. ᄥ은 이 문헌을 비롯해 17세기의 두 문헌에 그 용례가 등장한다. 된소리를 표기하는 한 방식으로 ᄥ의 사용이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사 믈여 주037)
믈여:
믈-[咬]+-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물게 하여. ‘믈다〉물다’(원순모음화).
죽게  쟈 목 버히고 서근 주038)
서근:
석-[朽]+-은(관형사형 어미). 썩은. ‘석다〉썩다’(경음화).
리 주039)
리:
다리[橋].
주040)
헌:
헐-[毁]+-ㄴ(관형사형 어미). 낡아서 쓸 수 없는. 어간 말음 ㄹ이 ㄴ 앞에서 탈락하였다.
과 주041)
과:
[舟]+-과(접속 조사). 배와. 중세 국어에서 접속 조사 ‘-와/과’는 체언의 음운 조건에 따라 현재와 같이 체언의 끝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와’, 자음인 경우에는 ‘-과’로 교체되지만, 체언의 끝소리가 ㄹ일 경우에는 현재와 달리 ‘-와’가 쓰였다. 그런데 여기서는 ‘’ 아래에서 ‘-과’가 쓰였다. 이처럼 ‘-와’가 실현되어야 할 환경에서 ‘-과’가 나타나는 혼란이 16세기부터 종종 발견된다.
기픈 므리며 주042)
므리며:
믈[水]+-이며(저복 조사). 물과. ‘믈〉물’(원순모음화).
즈러 주043)
즈러:
즐-[泥]+-어(연결 어미). 질어.
수의 주044)
수의:
수의-[水濘]+-(관형사형 어미). 수렁이 된. 진창이 된. 규장각본(1658)에는 축약형인 ‘쉬’으로 되어 있다.
 부러 사 소겨 주045)
소겨:
속-[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속여.
디내며 주046)
디내며:
디나-[通過]+-ㅣ-(사동 접미사)+-며(대등적 연결 어미). 지나게 하여.
건너여 주047)
건너여:
건너-[渡]+-여(연결 어미). 건너서.
죽게  노 목 아 주기라
Ⓒ 언해 | 김정국 / 1519년(중종 14) 10월

사람의 목숨이 지극히 소중하므로 남과 나 사이에 간격이 없으니, 즉 남이나 나나 서로 다르지 아니하니, 포악한 사람이 혹 재물을 탐함으로 인하여, 또는 원수가 되어 맺힌 원망을 인하여 어두운 밤 사람 없는 때에 몰래 죽이고는 제 스스로 잘하였다고 여긴다. 그렇지만 하늘이 아래로 굽어보시기를 가장 밝히 하시고, 귀신이 곁에 있어서 아무 때나 나타나 반드시 재앙(災殃)을 입게 되니, 죄 없는 사람을 죽이고 평생을 보전할 자가 예로부터 있지 않다.
법에는, 모의(謀議)하여서 사람을 죽인 경우에 우두머리는 목을 베고, 손을 대어 죽인 자는 목 졸라 죽이며, 이로 인하여 재물을 얻은 자는 우두머리와 따라다니는 부하를 구별하지 않고 목을 벤다. 주술을 써서 사람을 죽인 자도 목을 베고, 함께 살던 사람은 비록 그 뜻을 알지 못하였더라도 이천(二千) 리 밖으로 귀양 보내며, 독약을 사용하여 사람을 죽인 자는 목을 벤다. 고의로 독을 가진 벌레와 뱀으로써 사람을 물려 죽게 한 자도 목을 베고, 썩은 다리[橋]와 낡아서 쓸 수 없는 배[舟]와 깊은 물과 질어서 수렁이 된 곳에 고의로 사람을 속여 건너 지나가게 하여 죽게 한 자는 목 졸라 죽이라 하였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2월 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命)+-이(주격 조사). 생명이. 목숨이.
주002)
지그기:지극히. 15세기 문헌에는 ‘至極히’로 표기되어 있다.
주003)
디라:-[重]+-ㄴ디라(종속적 연결 어미). 소중한지라. 소중하므로.
주004)
뎌와 나왜:뎌[彼]+-와(접속 조사)+나[我]+-와(접속 조사)+-ㅣ(주격 조사). 남과 내가. 두 개 이상의 체언 항목을 나열할 때 사용되는 접속 조사 ‘-과/-와’를 중세 국어에서는 나열되는 맨 끝의 항목에도 붙인 다음 필요한 조사를 다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법 질서에 따라 ‘뎌와 나왜’에서도 끝 항목의 ‘나’ 다음에 ‘-와’를 달고서 주격 조사 ‘-ㅣ’를 연결하였다. 어찌 보면 마지막 항목의 접속 조사는 문법적으로 잉여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중세 국어에서도 이러한 질서는 유동적이서 끝 항목에 ‘-와/과’를 붙이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현대 국어에 와서는 접속 조사의 이런 용법이 물론 존재하지 않는다.
주005)
간겨기:간격(間隔)+-이(주격 조사). 간격이. 차이가.
주006)
포악:포악-[暴惡]+-ㄴ(관형사형 어미). 사납고 악한.
주007)
믈(財物):값나가는 물건이나 돈.
주008)
탐요:탐-[貪]+-욤(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탐함을. 탐하기를. 가지거나 차지하고 싶어 욕심내기를.
주009)
원:원슈(怨讐)+-ㅣ(주격 조사). 원수가.
주010)
어드운:어듭-[暗]+-은(관형사형 어미). 어두운.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어드’으로 나타난다.
주011)
저긔:적[時]+-의(목적격 조사). 적에. ~때에.
주012)
마니:가만히. 몰래.
주013)
제:제 스스로.
주014)
너기되:너기-[思]+-되(종속적 연결 어미). 여기되. 어미 ‘-되’가 15세기에는 삽입 모음이 수반된 ‘-오/우’로 쓰였으므로 ‘너기되’가 15세기에는 ‘너교’로 나타난다.
주015)
잘호라:잘-[能]+-오라(과거 시제 평서법 어미). 잘하였다.
주016)
하히:하ㅎ[天]+-이(주격 조사). 하늘이. ‘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주017)
기:-[明]+-이(부사 접미사). 밝히.
주018)
귀시니:귀신(鬼神)+-이(주격 조사). 귀신이.
주019)
겨:곁[傍]+-(처격 조사). 곁에.
주020)
어:얼(殃孼)+(목적격 조사). 앙화(殃禍)를. 지은 죄의 앙갚음으로 받는 재앙을.
주021)
(平生):평생. 일생.
주022)
보젼:보젼-[保全]+-ㄹ(관형사형 어미). 보호하여 유지할.
주023)
쟤:쟈(者)+-ㅣ(주격 조사). 자(者)가. 사람이.
주024)
녜록:녜[古]+-록(조격 조사). 예로. 조사 ‘-록’은 조격 조사 ‘-로’의 강세형이다.
주025)
-브터:-부터(보조사). ‘브터 〉부터’ (원순모음화).
주026)
야셔:-[謀]+-야셔(종속적 연결 어미). 꾀하여서. 모의(謀議)하여서.
주027)
읏듬:으뜸.
주028)
디:딯-[搗]+-(관형사형 어미). 찧은. 손을 댄. 여기서는 손으로 친다는 뜻이다. 한문 원문에는 “손 디”을 ‘下手(하수)’로 나타내고 있는데 ‘하수’는 손을 대어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주029)
노을구러:노을굴-[咀呪]+-어(연결 어미). 저주하여. ‘노을구러’를 규장각본(1658)에는 “방졍야”(18ㄱ)로 번역하고 있는데, ‘방졍다’는 주술을 쓴다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남에게 재앙이나 불행이 일어나도록 빈다는 말이다.
주030)
:한데. 함께.
주031)
(情):뜻.
주032)
뉴이쳔리(流二千里):유배(流配) 이천리.
주033)
부러:일부러. 고의(故意)로.
주034)
벌어지:벌레. 15세기에는 ‘벌에’가 쓰였으며 ‘벌어지’는 방언형으로 보인다.
주035)
여므로:염[蛇]+-으로(조격 조사). 뱀으로.
주036)
:써. ‘’[用]를 쓸 자리에 ‘’가 쓰였다. ᄥ은 이 문헌을 비롯해 17세기의 두 문헌에 그 용례가 등장한다. 된소리를 표기하는 한 방식으로 ᄥ의 사용이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주037)
믈여:믈-[咬]+-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물게 하여. ‘믈다〉물다’(원순모음화).
주038)
서근:석-[朽]+-은(관형사형 어미). 썩은. ‘석다〉썩다’(경음화).
주039)
리:다리[橋].
주040)
헌:헐-[毁]+-ㄴ(관형사형 어미). 낡아서 쓸 수 없는. 어간 말음 ㄹ이 ㄴ 앞에서 탈락하였다.
주041)
과:[舟]+-과(접속 조사). 배와. 중세 국어에서 접속 조사 ‘-와/과’는 체언의 음운 조건에 따라 현재와 같이 체언의 끝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와’, 자음인 경우에는 ‘-과’로 교체되지만, 체언의 끝소리가 ㄹ일 경우에는 현재와 달리 ‘-와’가 쓰였다. 그런데 여기서는 ‘’ 아래에서 ‘-과’가 쓰였다. 이처럼 ‘-와’가 실현되어야 할 환경에서 ‘-과’가 나타나는 혼란이 16세기부터 종종 발견된다.
주042)
므리며:믈[水]+-이며(저복 조사). 물과. ‘믈〉물’(원순모음화).
주043)
즈러:즐-[泥]+-어(연결 어미). 질어.
주044)
수의:수의-[水濘]+-(관형사형 어미). 수렁이 된. 진창이 된. 규장각본(1658)에는 축약형인 ‘쉬’으로 되어 있다.
주045)
소겨:속-[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속여.
주046)
디내며:디나-[通過]+-ㅣ-(사동 접미사)+-며(대등적 연결 어미). 지나게 하여.
주047)
건너여:건너-[渡]+-여(연결 어미). 건너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