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경민편

  • 역주 경민편
  • 제2 부모(父母)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 부모(父母)


父母第二
父如天 母如地 劬勞生我 辛勤乳哺 艱難養育 父母 恩德 昊天罔極 祖父母 生我父母 與父母 無異 是故 善事父母 孝順無違 鄕里稱善 國有褒賞 祖父母父母 謀殺則陵遲處死 歐打則斬 詈罵則絞 不聽敎令 不謹奉養則皆杖一百 父母 告訴 其罪至重 守信繼母

3ㄱ

與親母同
Ⓒ 필자 | 김정국 / 1519년(중종 14)

■구결 풀이■
: 오/이오
: 라/이라
爲時古 : 하시고
爲時尼 : 하시니
:
: 은/는
尼羅 : 니라/이니라
: 로/으로
爲尼羅 : 하니라
爲也 : 하야
爲面 : 하면
爲旀 : 하며
爲飛尼 : 하나니
:
: 을/를
爲古 : 하고
是五 : 이오
:

아비 주001)
아비:
아비[父]+-(보조사). 아버지는.
하 주002)
:
하늘[天]. ‘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고 주003)
고:
-[如]+-고(대등적 연결 어미). 같고. 이 낱말은 15세기 문헌에서 ‘-’와 ‘-’의 두 가지 형태가 쓰였다. 그것은 ‘다, 더라. 고’와 ‘다, 더라, 고’ 등의 예에서 보듯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와 ‘-’(-)이 함께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 밖의 동일한 어미 앞에서도 ‘니, 니라, , 호라, 홈, 히’와 ‘니, 니라, , 토라, 톰, 티’의 두 가지 형태가 공존했던 것을 볼 때 이 용언의 어간은 ‘-’와 ‘-’의 쌍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고’에 대해서도 어간을 ‘-’로 보고 폐쇄음 사이에서 ‘’가 탈락한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어간을 ‘-’으로 보고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으로 교체된 것이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어미 주004)
어미:
어미[母]+-(보조사). 어머니는.
주005)
ㅎ:
땅[地]. ‘ㅎ’는 ㅎ종성 체언이다.
디라 주006)
디라:
-[如]+-디라(종속적 연결 어미). 같은지라. ‘디라’는 어간 말음 ㅌ(ㄷ)을 다음의 모음 어미에 초성으로 한 번 더 적은 중철 표기이다. 아래에 나오는 ‘티’도 같은 방식의 중철 표기이다.
슈고로이 주007)
슈고로이:
슈고롭-[勞]+-이(부사 접미사). 힘들고 고되게.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슈고’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나 나시고 주008)
나시고:
낳-[生]+-시(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고(대등적 연결 어미). 낳으시고.
브즈러니 주009)
브즈러니:
부지런히.
주010)
졋:
젖[乳]. ‘졎’이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졋’으로 교체되었다.
머기시고 주011)
머기시고:
먹-[食]+-이-(사동 접미사)+-시-(주체 높임법)+-고(대등적 연결 어미). 먹이시고.
가난히 주012)
가난히:
힘들고 어렵게. 가난[艱難]하게.
주013)
쳐:
치-[養]+-어(연결 어미). 키워서.
기르시니 부모의 은혜와 더근 주014)
더근:
덕(德)+-은(보조사). 덕은.
하티 주015)
티:
-[如]+-이(부사 접미사). 같이.
그지업스니라 주016)
그지업스니라:
그지[限]+없-[無]+-으니라(평서법 어미). 그지없다. 끝이 없다.
하나비 주017)
하나비:
할아버지.
할미 주018)
할미:
할머니.
 내 아비 어미 나시니 부모와로 다디 주019)
다디:
다-[異]+-디(보조적 연결 어미). 다르지.
아니니라 이러호모로 주020)
이러호모로:
이러-[是]+-옴(명사형 어미)+-오로(조격 조사). 이러하므로. 이러므로. 여기서는 명사형 어미에 삽입 모음 ㅗ가 포함되어 있다. 조격 조사 ‘-오로’는 ‘-로’의 변이된 형태이다.
아비 어미 잘 셤겨 효도며 슌히 주021)
슌히:
순(順)하게. 온순히. 유순히.
야 어글읏치 주022)
어글읏치:
어글읓-[違]+-이(부사 접미사). 어긋나게. ‘어글으치’로 표기하지 않고 ‘어글읏치’로 표기한 것은 중철 표기의 하나로서, 유기음 ㅊ을 내파화된 ㅅ으로 표기한 뒤 현실음에 따라 다시 유기음을 그 다음에 적은 것이다.
말면 고을히며 주023)
고을히며:
고을ㅎ[郡]+-이며(접속 조사). 고을이며. 고을과. ≪용비어천가≫(2:22)에 ‘粟村 : 조’이라 한 데서 ‘고을’의 기원은 ‘’임을 알 수 있다. ‘’은 ≪용비어천가≫ 다음 문헌부터 ‘올’로 쓰이다가 그 이후 ‘고올’ ‘고을’이 되었다.
히 주024)
히:
ㅎ[里]+ㅎ(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 마을들이. ‘ㅎ’이 ㅿ의 소멸로 ‘ㅎ’이 되었다.
어디다 주025)
어디다:
어딜-[善]+-다(평서법 어미). 어질다. ‘어딜-’의 어간 말음 ㄹ은 ㄷ 앞에서 탈락한다.
일며 주026)
일며:
일-[稱]+-며(대등적 연결 어미). 일커르며. 칭송하며. ‘일다’는 ㄷ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말음 ㄷ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된다.
나라토 주027)
나라토:
나라ㅎ[國]+-도(보조사). 나라도. ‘나라ㅎ’는 ㅎ종성 체언이다.
어디다 야 주028)
:
상(賞).
인니 주029)
인니:
잇-[有]+-니(종속적 연결 어미). 있으니. ‘잇다’의 어간 말음 ㅅ이 ㄴ 앞에서 역행 동화로 ㄴ이 된 것을 표기에 반영하여 ‘인니’가 되었다. 이 문헌 19ㄱ에는 ‘잇니’로 표기하고 있다.
법에 하나비와 어버이 야 주030)
야:
-[謀]+-야(연결 어미). 꾀하여. 계략을 꾸며.
주기면 주031)
주기면:
죽-[死]+-이-(사동 접미사)+-면(종속적 연결 어미). 죽이면.

3ㄴ

능디 주032)
디(陵遲):
능지처사(陵遲處死)를 말함. 능지처사는 능지처참(陵遲處斬)과 같은 말로서,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 쳐서 각지에 돌려 보이는 극형이다.
야 주기고 티면 목 버히고 주033)
버히고:
버히-[斬]+-고(대등적 연결 어미). 베고. 자르고.
지즈면 주034)
지즈면:
짖-[叱]+-으면(종속적 연결 어미). 꾸짖으면.
아 주035)
아:
-[絞]+-아(연결 어미). 〈목을〉 졸라. 동사 어간 ‘-’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로 교체되며, 후에 어간 ‘-’은 다시 ‘ㄹ-’로 교체된다.
주기고 치시 주036)
치시:
치-[敎]+-시-(주체 높임법)+-(관형사형 어미). 가르치시는.
이 듣디 아니며 효양 주037)
효(孝養):
효성으로 봉양함.
기 삼가디 아니면 다 주038)
(杖):
곤장(棍杖)을 말함. 곤장은 예전에 죄인의 볼기를 치던 형구, 또는 그 형벌을 가리킨다.
일기오 주039)
일기오:
일(一百)+-이고(서술격 조사). 〈곤장이〉 백 대이고.
부모 할면 주040)
할면:
할-[讒訴]+-면(종속적 연결 어미). 남을 헐뜯어 윗사람에게 일러바치면.
그 죄 지그기 주041)
지그기:
지극히.
니라 주042)
니라:
-[重]+-니라(평서법 어미). 중하다. 무겁다.
슈신 주043)
슈신(守信):
수절(守節). 정절을 지킴.
야 인 다어미 주044)
다어미:
의붓어머니. 계모(繼母).
친 어미 주045)
친어미:
친-[親]+-ㄴ(관형사형 어미)#어미[母]. 친어머니.
가지니라 주046)
가지니라:
[一]+가지[種]+-이니라(서술격 조사). 한가지이다. 동일하다.
Ⓒ 언해 | 김정국 / 1519년(중종 14) 10월

아버지는 하늘과 같고 어머니는 땅과 같다. 수고롭게 나를 낳으시고 부지런히 젖을 먹이시며 힘들고 고생스럽게 키워서 길러 내시니 부모의 은혜와 덕은 하늘같이 끝이 없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내 아버지와 어머니를 낳으셨으니 부모와 다름이 없다. 이러므로 아버지 어머니를 잘 섬겨 효도하고 온순히 하여 어긋나게 하지 않으면 고을과 마을에서 선(善)하다고 칭송하며, 나라에서도 선하다 하여 상(賞)을 준다.
법에는, 조부모와 부모를 계략을 꾸며 죽이면 능지처사(陵遲處死)하고, 〈조부모와 부모를〉 때리면 목을 베며, 〈조부모와 부모를〉 꾸짖으면 목 졸라 죽이고, 〈조부모와 부모가〉 가르치시는 일을 듣지 아니하며 삼가 효성으로 봉양하기를 아니하면 모두 곤장(棍杖) 백 대를 치고, 부모를 참소(讒訴)하면 그 죄가 지극히 무겁다. 수절(守節)하고 있는 계모(繼母)는 친어머니와 한가지이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2월 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비:아비[父]+-(보조사). 아버지는.
주002)
:하늘[天]. ‘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주003)
고:-[如]+-고(대등적 연결 어미). 같고. 이 낱말은 15세기 문헌에서 ‘-’와 ‘-’의 두 가지 형태가 쓰였다. 그것은 ‘다, 더라. 고’와 ‘다, 더라, 고’ 등의 예에서 보듯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와 ‘-’(-)이 함께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 밖의 동일한 어미 앞에서도 ‘니, 니라, , 호라, 홈, 히’와 ‘니, 니라, , 토라, 톰, 티’의 두 가지 형태가 공존했던 것을 볼 때 이 용언의 어간은 ‘-’와 ‘-’의 쌍형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고’에 대해서도 어간을 ‘-’로 보고 폐쇄음 사이에서 ‘’가 탈락한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어간을 ‘-’으로 보고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으로 교체된 것이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주004)
어미:어미[母]+-(보조사). 어머니는.
주005)
ㅎ:땅[地]. ‘ㅎ’는 ㅎ종성 체언이다.
주006)
디라:-[如]+-디라(종속적 연결 어미). 같은지라. ‘디라’는 어간 말음 ㅌ(ㄷ)을 다음의 모음 어미에 초성으로 한 번 더 적은 중철 표기이다. 아래에 나오는 ‘티’도 같은 방식의 중철 표기이다.
주007)
슈고로이:슈고롭-[勞]+-이(부사 접미사). 힘들고 고되게.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슈고’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주008)
나시고:낳-[生]+-시(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고(대등적 연결 어미). 낳으시고.
주009)
브즈러니:부지런히.
주010)
졋:젖[乳]. ‘졎’이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졋’으로 교체되었다.
주011)
머기시고:먹-[食]+-이-(사동 접미사)+-시-(주체 높임법)+-고(대등적 연결 어미). 먹이시고.
주012)
가난히:힘들고 어렵게. 가난[艱難]하게.
주013)
쳐:치-[養]+-어(연결 어미). 키워서.
주014)
더근:덕(德)+-은(보조사). 덕은.
주015)
티:-[如]+-이(부사 접미사). 같이.
주016)
그지업스니라:그지[限]+없-[無]+-으니라(평서법 어미). 그지없다. 끝이 없다.
주017)
하나비:할아버지.
주018)
할미:할머니.
주019)
다디:다-[異]+-디(보조적 연결 어미). 다르지.
주020)
이러호모로:이러-[是]+-옴(명사형 어미)+-오로(조격 조사). 이러하므로. 이러므로. 여기서는 명사형 어미에 삽입 모음 ㅗ가 포함되어 있다. 조격 조사 ‘-오로’는 ‘-로’의 변이된 형태이다.
주021)
슌히:순(順)하게. 온순히. 유순히.
주022)
어글읏치:어글읓-[違]+-이(부사 접미사). 어긋나게. ‘어글으치’로 표기하지 않고 ‘어글읏치’로 표기한 것은 중철 표기의 하나로서, 유기음 ㅊ을 내파화된 ㅅ으로 표기한 뒤 현실음에 따라 다시 유기음을 그 다음에 적은 것이다.
주023)
고을히며:고을ㅎ[郡]+-이며(접속 조사). 고을이며. 고을과. ≪용비어천가≫(2:22)에 ‘粟村 : 조’이라 한 데서 ‘고을’의 기원은 ‘’임을 알 수 있다. ‘’은 ≪용비어천가≫ 다음 문헌부터 ‘올’로 쓰이다가 그 이후 ‘고올’ ‘고을’이 되었다.
주024)
히:ㅎ[里]+ㅎ(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 마을들이. ‘ㅎ’이 ㅿ의 소멸로 ‘ㅎ’이 되었다.
주025)
어디다:어딜-[善]+-다(평서법 어미). 어질다. ‘어딜-’의 어간 말음 ㄹ은 ㄷ 앞에서 탈락한다.
주026)
일며:일-[稱]+-며(대등적 연결 어미). 일커르며. 칭송하며. ‘일다’는 ㄷ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말음 ㄷ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된다.
주027)
나라토:나라ㅎ[國]+-도(보조사). 나라도. ‘나라ㅎ’는 ㅎ종성 체언이다.
주028)
:상(賞).
주029)
인니:잇-[有]+-니(종속적 연결 어미). 있으니. ‘잇다’의 어간 말음 ㅅ이 ㄴ 앞에서 역행 동화로 ㄴ이 된 것을 표기에 반영하여 ‘인니’가 되었다. 이 문헌 19ㄱ에는 ‘잇니’로 표기하고 있다.
주030)
야:-[謀]+-야(연결 어미). 꾀하여. 계략을 꾸며.
주031)
주기면:죽-[死]+-이-(사동 접미사)+-면(종속적 연결 어미). 죽이면.
주032)
디(陵遲):능지처사(陵遲處死)를 말함. 능지처사는 능지처참(陵遲處斬)과 같은 말로서,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 쳐서 각지에 돌려 보이는 극형이다.
주033)
버히고:버히-[斬]+-고(대등적 연결 어미). 베고. 자르고.
주034)
지즈면:짖-[叱]+-으면(종속적 연결 어미). 꾸짖으면.
주035)
아:-[絞]+-아(연결 어미). 〈목을〉 졸라. 동사 어간 ‘-’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로 교체되며, 후에 어간 ‘-’은 다시 ‘ㄹ-’로 교체된다.
주036)
치시:치-[敎]+-시-(주체 높임법)+-(관형사형 어미). 가르치시는.
주037)
효(孝養):효성으로 봉양함.
주038)
(杖):곤장(棍杖)을 말함. 곤장은 예전에 죄인의 볼기를 치던 형구, 또는 그 형벌을 가리킨다.
주039)
일기오:일(一百)+-이고(서술격 조사). 〈곤장이〉 백 대이고.
주040)
할면:할-[讒訴]+-면(종속적 연결 어미). 남을 헐뜯어 윗사람에게 일러바치면.
주041)
지그기:지극히.
주042)
니라:-[重]+-니라(평서법 어미). 중하다. 무겁다.
주043)
슈신(守信):수절(守節). 정절을 지킴.
주044)
다어미:의붓어머니. 계모(繼母).
주045)
친어미:친-[親]+-ㄴ(관형사형 어미)#어미[母]. 친어머니.
주046)
가지니라:[一]+가지[種]+-이니라(서술격 조사). 한가지이다. 동일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