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종족도
  • 진씨군식(陳氏群食)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씨군식(陳氏群食)


28ㄱ

陳氏群食

딘이 강 주001)
강:
강주(江州). 익주(益州) 파군(巴郡)에 속하는 현의 명이다. 군(郡)의 수부(首府)가 있었던 곳이다. 성터는 원래 현재의 사천성(四川省) 중경(重慶)에 위치해 있었다. 파군은 후한말에서 촉에 걸쳐 여러 번 분할되어 신군이 분립했지만, 결국 서진이 되어도 강주는 파군의 중심 도시 그대로였다. 현재의 중경시로 장강 상류의 요충. 유비의 촉평정전에서 장비가 파군태수 엄안을 생포한 장소이다.
사더니 열세   살며 얼운 아 모도아 주002)
모도아:
모도-[合]+-아(연결 어미). 모아서.
칠 귀로 주003)
칠 귀로:
칠(七百)+구(口)+-ㅣ(서술격 조사)+-로-(삽입 모음)+-(설명법 연결 어미). 칠백 명의 식구이되. 삽입 모음 ‘-오-’가 서술격 조사 ‘-이’ 다음에서는 ‘-로-’로 나타난다.
주004)
:
종[僕].
이며 고마 주005)
고마:
첩(妾).
 두디 아니코 주006)
아니코:
‘아니고’의 축약형.
아래 우히 주007)
우히:
우ㅎ[上]+-이(주격 조사). 위가.
화여  주008)
:
사이[間].
잡말리 주009)
잡말리:
잡(雜)말+-이(주격 조사). 잡말이. 잡소리가. ‘잡말리’는 중철 표기이다.
업더라  주010)
:
늘. 번번이. 15세기 국어에서는 ‘’으로 표기되었다.
머글 제 주011)
머글 제:
먹-[食]+-을(관형사형 어미)+제(時, 의존 명사). 먹을 때.
큰 집븨 모다 주012)
모다:
몯-[集]+-아(연결 어미). 모여.
안자 주013)
안자:
앉-[坐]+-아(연결 어미). 앉아.
져믄 아런 주014)
아런:
아[兒]+-런(보조사). 아이랑은. 아이는.
각별리 주015)
각별리:
각별히. 특별히.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부터 ‘각별히’로 쓰이다가 16세기에 들어서 ‘각벼리’ ‘각별이’ 등의 표기도 함께 쓰였다. 여기서의 ‘각별리’는 중철 표기이다.
주016)
돗:
돗자리. ‘’이 휴지(休止) 앞에서 어말 자음군의 단순화로 ‘돗’으로 교체되었다.
라 주017)
라:
깔아[鋪]. ‘라’는 라‘의 오각으로 보인다. 〈규장각본〉(1727)에는 ’라‘로 되어 있다.
안치더라 주018)
안치더라:
앉-[坐]+-히-(사동 접미사)+-더라(과거 시상의 평서법 어미). 앉혔다.
가히 주019)
가히:
개[犬].
일기 주020)
일기:
일(一百)+-이(주격 조사). 일백 마리가. ‘일기’는 ‘일이’의 중철 표기이다.
남모 주021)
남모:
남-[餘]+-오-(삽입 모음)+-(설명법 연결 어미). 남되. 남짓하되. ‘남모’는 ‘나모’의 중철 표기이다.
구 주022)
구:
구유. 가축들에게 먹이를 담아 주는 그릇.
예 밥 주어  가히나 주023)
 가히나:
[一]+가히[犬]+-나(보조사). 한 마리의 개라도.
아니 가면 모 가히 다 아니 먹더라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28ㄴ

陳兢 居江州 自倣至兢 十三世同居 長幼七百口 不畜僕妾 上下姻睦 人無間言 每食必群坐廣堂 未成人者 別爲一席 有犬百餘 亦置一槽共食 一犬不至 群犬皆不食
七百餘人未忍分 高曾叔姪曁仍雲 十三嗣世同炊㸑 每食長筵列作群
敦睦家風世所崇 詵詵長幼一堂中 欲知感化冥冥裏 看取槽中百犬同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진씨군식(陳氏群食 : 진씨가 모두 모여 밥을 먹다) 송나라
진긍(陳兢)이 강주(江州)에서 살았는데 십삼 대(十三代)를 내려오는 동안 한 집에 살면서 식구가 어른 아이를 합쳐 모두 칠백 명이 되어도 종이나 첩(妾)을 두지 아니하고 아래 위가 화목하여 서로 간에 쓸데없는 잡소리가 없었다. 늘 식사 때가 되면 큰 집에 모여 앉는데 어린 아이들은 특별히 돗자리를 깔고 앉혔다. 개[犬]가 백 마리 넘는데도 구유 하나에 밥을 주어 먹게 하였고 한 마리의 개라도 오지 않으면 모든 개가 먹지 않았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28ㄱ

딘긍이 강셔 사더니 열세 을  살며 얼운 아 모도와 칠 귀로 죵이며 쳡을 두디 아니코 아래 우히 화동여 이예 잡말이 업더라 양 밥 머글 제 큰 집의 모다 안자 져믄 아흴난 각별이 돗 라 안치다라 가히 일이 나모  구유예 밥 주어  가히나 아니 가면 모 가히 다 아니 먹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강:강주(江州). 익주(益州) 파군(巴郡)에 속하는 현의 명이다. 군(郡)의 수부(首府)가 있었던 곳이다. 성터는 원래 현재의 사천성(四川省) 중경(重慶)에 위치해 있었다. 파군은 후한말에서 촉에 걸쳐 여러 번 분할되어 신군이 분립했지만, 결국 서진이 되어도 강주는 파군의 중심 도시 그대로였다. 현재의 중경시로 장강 상류의 요충. 유비의 촉평정전에서 장비가 파군태수 엄안을 생포한 장소이다.
주002)
모도아:모도-[合]+-아(연결 어미). 모아서.
주003)
칠 귀로:칠(七百)+구(口)+-ㅣ(서술격 조사)+-로-(삽입 모음)+-(설명법 연결 어미). 칠백 명의 식구이되. 삽입 모음 ‘-오-’가 서술격 조사 ‘-이’ 다음에서는 ‘-로-’로 나타난다.
주004)
:종[僕].
주005)
고마:첩(妾).
주006)
아니코:‘아니고’의 축약형.
주007)
우히:우ㅎ[上]+-이(주격 조사). 위가.
주008)
:사이[間].
주009)
잡말리:잡(雜)말+-이(주격 조사). 잡말이. 잡소리가. ‘잡말리’는 중철 표기이다.
주010)
:늘. 번번이. 15세기 국어에서는 ‘’으로 표기되었다.
주011)
머글 제:먹-[食]+-을(관형사형 어미)+제(時, 의존 명사). 먹을 때.
주012)
모다:몯-[集]+-아(연결 어미). 모여.
주013)
안자:앉-[坐]+-아(연결 어미). 앉아.
주014)
아런:아[兒]+-런(보조사). 아이랑은. 아이는.
주015)
각별리:각별히. 특별히.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부터 ‘각별히’로 쓰이다가 16세기에 들어서 ‘각벼리’ ‘각별이’ 등의 표기도 함께 쓰였다. 여기서의 ‘각별리’는 중철 표기이다.
주016)
돗:돗자리. ‘’이 휴지(休止) 앞에서 어말 자음군의 단순화로 ‘돗’으로 교체되었다.
주017)
라:깔아[鋪]. ‘라’는 라‘의 오각으로 보인다. 〈규장각본〉(1727)에는 ’라‘로 되어 있다.
주018)
안치더라:앉-[坐]+-히-(사동 접미사)+-더라(과거 시상의 평서법 어미). 앉혔다.
주019)
가히:개[犬].
주020)
일기:일(一百)+-이(주격 조사). 일백 마리가. ‘일기’는 ‘일이’의 중철 표기이다.
주021)
남모:남-[餘]+-오-(삽입 모음)+-(설명법 연결 어미). 남되. 남짓하되. ‘남모’는 ‘나모’의 중철 표기이다.
주022)
구:구유. 가축들에게 먹이를 담아 주는 그릇.
주023)
 가히나:[一]+가히[犬]+-나(보조사). 한 마리의 개라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