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형제도
  • 복식분축(卜式分畜)
메뉴닫기 메뉴열기

복식분축(卜式分畜)


2ㄱ

卜式分畜

복식근 주001)
복식근:
복식(卜式, 인명)+-은(보조사). 복식은. ‘복식근’은 명사의 말음 ㄱ을 그 아래 조사의 두음에도 쓴 이중 표기의 중철 형태이다.
하람 주002)
하람:
하남(河南). 하남은 중국 동부에 있는 성(省)이다. 황하강 중ㆍ하류 지역에 있으며 예로부터 한족(漢族)의 중심지로 낙양, 개봉(開封)과 같은 옛 수도가 있다. ‘하람’은 모음 사이에서 ㄴ이 ㄹ로 혼기(混記)된 것이다.
사름미라 주003)
사름미라:
사름[人]+-이라(서술격 조사). 사람이다. ‘사름미라’는 명사 ‘사름’과 조사 ‘-이라’의 연결에서 명사 말음 ㅁ을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의 두음에 다시 쓴 이중 표기의 중철이다. ‘사’이 ‘사름’으로 표기된 것은 16세기에 와서 모음 ‘ㆍ’가 비어두(非語頭) 음절에서 소실된 데 따른 표기의 동요에 기인하는 것이다.
녀름 주004)
녀름:
여름[夏], 농사.
지 주005)
지:
짓-[耕]+-이(명사 접미사). 짓기. 짓는 일. ‘짓다’는 ㅅ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짓-’에 모음의 접사가 연결되면 ‘짓-’이 ‘-’으로 교체된다.
 주006)
:
짐승. 가축. 이 낱말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그 이후 ‘〉즘〉즘〉짐승’의 변천 과정으로 현재의 ‘짐승’이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는 또다른 형태인 ‘’을 보여 주고 있다. 규장각본(1727)에는 ‘즘’으로 나타난다.
치길 주007)
치길:
치-[養]+-기(명사형 어미)+-ㄹ(목적격 조사). 치기를. 기르는 일을.
더니 져믄 주008)
져믄:
졈-[少]+-은(관형사형 어미). 나이 어린. 중세 국어에서 ‘졈다’는 오늘날의 ‘젊다’의 뜻하고는 다르다. 이때의 ‘졈다’는 ‘유소(幼少)’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져믈 유:幼”(신증유합 상:17ㄱ), “져믈 쇼:少”(석봉 천자문 35ㄱ)
아 주009)
아:
아[弟]+-이(주격 조사). 아우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이’로 표기하고 있다.
잇더니 주010)
잇더니:
잇-[有]+-더-(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있더니. 중세 국어에서 ‘有(유)’를 뜻하는 용언은 ‘잇-, 이시-, 시-’ 등의 교체형을 갖는다. 먼저 ‘잇-’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나타나는 형태이고 ‘이시-’는 모음 및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특히 ‘이시-’가 쓰일 경우에 선행하는 낱말이 i 모음으로 끝날 때는 ‘이시-’의 ‘이’가 탈락하고 ‘시-’만 쓰인다.
앗이 주011)
앗이:
아[弟]+-이(주격 조사). 아우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 ‘이’로 표기된 말이 바로 위에서는 ‘아’로 쓰였고 여기서는 다시 ‘앗이’로 나타났다. 그만큼 이 문헌은 표기의 혼란된 모습을 노출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를 위에서 ‘아’로 표기한 것은 연철의 결과로 설명이 가능하지만 ‘이’를 ‘앗이’로 표기한 것은 무엇에 기인하는 것인가? 이에 대해서는 8종성 제한 규칙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이 시기에는 종성으로 쓸 수 있는 자음이 8종성으로 엄격히 제한되어 있었다. 그 8종성에 ㅿ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연철의 방법을 택하면 ‘아’에서 보듯이 ㅿ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지만, 연철을 택하지 않고 ‘이’의 분철 표기 방식을 그대로 취한다면 ㅿ을 더 이상 그 자리에 쓸 수 없게 되어 있어 종성 ㅿ을 8종성의 ㅅ으로 교체하여 ‘앗이’로 나타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라거 주012)
라거:
라-[成長]+-거(종속적 연결 어미). 자라므로. 자라매.
뎐디 주013)
뎐디(田地):
논밭. ‘뎐디〉전지’(구개음화).
믈 주014)
믈:
재물(財物). 돈이나 값나가는 물건.
주015)
믈를:
믈(財物)+-를(목적격 조사). 재물을. ‘믈를’은 중철 표기임.
다 아 주고 다 주016)
다:
다만. 오로지.
이ㄹ 주017)
이ㄹ:
일백(一百). ‘이ㄹ’이라고 표기한 것은 ‘일’자가 행(行)의 맨 끝에 쓰이면서 ‘일’자를 다 표기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이’자만 쓰고 ‘ㄹ’은 그 다음 행으로 옮겨 적어 놓은 것으로 보인다.
나닐 주018)
나닐:
남-[餘]+-(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남은 것을. 나머지를.
복식기 주019)
복식기:
복식(卜式, 인명)이. ‘복식기’는 중철 표기이다.
가지고 뫼헤 주020)
뫼헤:
뫼ㅎ[山]+-에(처격 조사). 산에. ‘뫼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드러가 주021)
드러가:
들-[入]+-어(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들어가서.
여나믄 주022)
여나믄:
여남은. 열이 조금 넘는 수의. 이는 ≪육조법보단경 언해≫에서 ‘열나’이 쓰인 이후로 ‘열라믄, 여라믄, 여나’등으로 쓰여 왔다.
 주023)
:
[年]+-(목적격 조사). 해를.
 치니 일쳔 나마 주024)
나마:
남-[餘]+-아(연결 어미). 넘어서.
도어 주025)
도어:
도-[爲]+-거(종속적 연결 어미). 되기에. 되므로. 되매. 이 동사는 ≪용비어천가≫에서 유일하게 ‘-’로 쓰인 경우 이외는 훈민정음 초기부터 ‘외-’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대략 16세기부터는 ‘도외-, 도-, 도의-, 도이-, 등의 변이된 표기가 여러 문헌에서 산발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뎐딜 주026)
뎐딜:
뎐디(田地)+-ㄹ(목적격 조사). 전지(田地)를.
 사니 그 아 주027)
아:
아[弟]+-ㄴ(보조사). 아우는. 15세기에는 ‘’으로 표기되었다.
셰간 주028)
셰간:
셰간[家産]+-(목적격 조사). 세간을. ‘셰간’은 중철 표기이다. 여기에 쓰인 ‘셰간’은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가재와 물건을 말하지만, 한자어인 ‘셰간(世間)’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가리킨다.
배오 주029)
배오:
배-[破]+-고(대등적 연결 어미). 결딴내고. 없애고. 망치고. 어미 ‘-고’의 ㄱ이 j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잇거 다시 논화 주030)
논화:
논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동사 ‘논호다’는 ‘호다’의 변이된 표기이다. ‘논호다’는 경상도 지방의 방언형으로 보인다.
주니라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2ㄴ

卜式 河南人 以田畜爲事 有少弟 弟壯 式脫身出 獨取羊百餘口 田宅財物 盡與弟 式入山 牧十餘年 致千餘頭買田宅 而弟盡破其産 式輒復分與之
世業遺財付友于 脫身甘伴牧猪奴 買宅何心吾獨富 千頭分向弟家輸
錐刀爭利世紛紛 誰念天親一體分 他日佐時輸粟盡 此心孝悌便移君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복식분축(卜式分畜 : 복식이 재산을 나누어 주다) 한나라
복식(卜式)은 한나라 때 하남(河南) 사람이다. 농사짓는 일과 가축 기르는 일을 하였는데, 그에게는 나이 어린 아우가 있어 그 아우가 자라게 되자 집과 논밭, 재물을 모두 아우에게 주고, 다만 양(羊) 백여 마리를 복식이 가지고 산으로 들어가 십여 년 동안 양을 쳤더니 천여 마리 넘어 되므로 또 집과 논밭을 샀다. 〈그러나 그 사이〉 그 아우는 가산을 다 없이하고 있어서 복식은 다시 자기의 재산을 나누어 주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2ㄱ

복식이 하남 사미라 녀름지이와 즘치기 더니 져믄 아이 잇가 그 아이 라거 집 뎐디 믈 다 아 주고 다 양 일 나니 복식기 가지고 모해 드러가 여라믄  양을 치니 일쳔이 나마 되어 집 뎐디  사니 그 아 셰간 다 패셜고 잇 다시 화 주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복식근:복식(卜式, 인명)+-은(보조사). 복식은. ‘복식근’은 명사의 말음 ㄱ을 그 아래 조사의 두음에도 쓴 이중 표기의 중철 형태이다.
주002)
하람:하남(河南). 하남은 중국 동부에 있는 성(省)이다. 황하강 중ㆍ하류 지역에 있으며 예로부터 한족(漢族)의 중심지로 낙양, 개봉(開封)과 같은 옛 수도가 있다. ‘하람’은 모음 사이에서 ㄴ이 ㄹ로 혼기(混記)된 것이다.
주003)
사름미라:사름[人]+-이라(서술격 조사). 사람이다. ‘사름미라’는 명사 ‘사름’과 조사 ‘-이라’의 연결에서 명사 말음 ㅁ을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의 두음에 다시 쓴 이중 표기의 중철이다. ‘사’이 ‘사름’으로 표기된 것은 16세기에 와서 모음 ‘ㆍ’가 비어두(非語頭) 음절에서 소실된 데 따른 표기의 동요에 기인하는 것이다.
주004)
녀름:여름[夏], 농사.
주005)
지:짓-[耕]+-이(명사 접미사). 짓기. 짓는 일. ‘짓다’는 ㅅ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짓-’에 모음의 접사가 연결되면 ‘짓-’이 ‘-’으로 교체된다.
주006)
:짐승. 가축. 이 낱말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그 이후 ‘〉즘〉즘〉짐승’의 변천 과정으로 현재의 ‘짐승’이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는 또다른 형태인 ‘’을 보여 주고 있다. 규장각본(1727)에는 ‘즘’으로 나타난다.
주007)
치길:치-[養]+-기(명사형 어미)+-ㄹ(목적격 조사). 치기를. 기르는 일을.
주008)
져믄:졈-[少]+-은(관형사형 어미). 나이 어린. 중세 국어에서 ‘졈다’는 오늘날의 ‘젊다’의 뜻하고는 다르다. 이때의 ‘졈다’는 ‘유소(幼少)’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져믈 유:幼”(신증유합 상:17ㄱ), “져믈 쇼:少”(석봉 천자문 35ㄱ)
주009)
아:아[弟]+-이(주격 조사). 아우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이’로 표기하고 있다.
주010)
잇더니:잇-[有]+-더-(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있더니. 중세 국어에서 ‘有(유)’를 뜻하는 용언은 ‘잇-, 이시-, 시-’ 등의 교체형을 갖는다. 먼저 ‘잇-’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나타나는 형태이고 ‘이시-’는 모음 및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특히 ‘이시-’가 쓰일 경우에 선행하는 낱말이 i 모음으로 끝날 때는 ‘이시-’의 ‘이’가 탈락하고 ‘시-’만 쓰인다.
주011)
앗이:아[弟]+-이(주격 조사). 아우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 ‘이’로 표기된 말이 바로 위에서는 ‘아’로 쓰였고 여기서는 다시 ‘앗이’로 나타났다. 그만큼 이 문헌은 표기의 혼란된 모습을 노출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를 위에서 ‘아’로 표기한 것은 연철의 결과로 설명이 가능하지만 ‘이’를 ‘앗이’로 표기한 것은 무엇에 기인하는 것인가? 이에 대해서는 8종성 제한 규칙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이 시기에는 종성으로 쓸 수 있는 자음이 8종성으로 엄격히 제한되어 있었다. 그 8종성에 ㅿ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연철의 방법을 택하면 ‘아’에서 보듯이 ㅿ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지만, 연철을 택하지 않고 ‘이’의 분철 표기 방식을 그대로 취한다면 ㅿ을 더 이상 그 자리에 쓸 수 없게 되어 있어 종성 ㅿ을 8종성의 ㅅ으로 교체하여 ‘앗이’로 나타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주012)
라거:라-[成長]+-거(종속적 연결 어미). 자라므로. 자라매.
주013)
뎐디(田地):논밭. ‘뎐디〉전지’(구개음화).
주014)
믈:재물(財物). 돈이나 값나가는 물건.
주015)
믈를:믈(財物)+-를(목적격 조사). 재물을. ‘믈를’은 중철 표기임.
주016)
다:다만. 오로지.
주017)
이ㄹ:일백(一百). ‘이ㄹ’이라고 표기한 것은 ‘일’자가 행(行)의 맨 끝에 쓰이면서 ‘일’자를 다 표기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이’자만 쓰고 ‘ㄹ’은 그 다음 행으로 옮겨 적어 놓은 것으로 보인다.
주018)
나닐:남-[餘]+-(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남은 것을. 나머지를.
주019)
복식기:복식(卜式, 인명)이. ‘복식기’는 중철 표기이다.
주020)
뫼헤:뫼ㅎ[山]+-에(처격 조사). 산에. ‘뫼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주021)
드러가:들-[入]+-어(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들어가서.
주022)
여나믄:여남은. 열이 조금 넘는 수의. 이는 ≪육조법보단경 언해≫에서 ‘열나’이 쓰인 이후로 ‘열라믄, 여라믄, 여나’등으로 쓰여 왔다.
주023)
:[年]+-(목적격 조사). 해를.
주024)
나마:남-[餘]+-아(연결 어미). 넘어서.
주025)
도어:도-[爲]+-거(종속적 연결 어미). 되기에. 되므로. 되매. 이 동사는 ≪용비어천가≫에서 유일하게 ‘-’로 쓰인 경우 이외는 훈민정음 초기부터 ‘외-’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대략 16세기부터는 ‘도외-, 도-, 도의-, 도이-, 등의 변이된 표기가 여러 문헌에서 산발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주026)
뎐딜:뎐디(田地)+-ㄹ(목적격 조사). 전지(田地)를.
주027)
아:아[弟]+-ㄴ(보조사). 아우는. 15세기에는 ‘’으로 표기되었다.
주028)
셰간:셰간[家産]+-(목적격 조사). 세간을. ‘셰간’은 중철 표기이다. 여기에 쓰인 ‘셰간’은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가재와 물건을 말하지만, 한자어인 ‘셰간(世間)’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가리킨다.
주029)
배오:배-[破]+-고(대등적 연결 어미). 결딴내고. 없애고. 망치고. 어미 ‘-고’의 ㄱ이 j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주030)
논화:논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동사 ‘논호다’는 ‘호다’의 변이된 표기이다. ‘논호다’는 경상도 지방의 방언형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